지난 1년(2013.9~2014.9)간 국내 방송 시장은 급변했다. 시장은 넓어졌고, 다채널 시대에 맞는 새로운 영역의 방송 콘텐츠들이 쏟아져 나왔다.
드라마 부문에서 가장 주목할 키워드는 '중국'이다. 일본의 한류 시장이 주춤하자 중국이란 더욱 강력한 시장이 떠올랐다. 과거 한류콘텐츠의 인기와 다른점은 실시간의 온라인·모바일 콘텐츠 시장이란 점이다. SBS '상속자들'과 '별에서 온 그대' 등 드라마는 중국 젊은층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모았다. 두 드라마 모두 TV채널이 아닌, 포털사이트 중계를 통해서 소비됐다. 드라마에 출연한 배우들의 인기가 높아졌을 뿐 아니라 드라마 속 한국의 패션·식음료·주류 등 다양한 문화들이 동시에 수출효과를 누렸다.
예능 파트에선 외국인·비연예인 출연자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어떤 스타가 나오는지 보다는 얼마나 시청자들과 공감대를 잘 형성하는 포맷인지가 흥행을 결정했다.
세월호 참사의 여파로 언론과 보도 방향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도 그 어느 해 보다 높았다. 채널이 늘고 방송사간 보도경쟁이 심화되면서 시청자들은 얼마나 공정하고 정확한 보도를 하는지를 지켜봤다.
그렇다면 지난 1년간 방송가의 변화와 성장을 이끈 파워브랜드는 무엇일까. 일간스포츠가 창간 45주년을 맞아 지난 1년 동안 방송가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거나 활약이 돋보였던 파워브랜드를 조사했다. 방송사·제작사·홍보사·소속사·평론가 등 방송가 파워 피플 100인에게 직접 설문했다. 설문조사는 지난 11일부터 24일까지 전화와 직접 만남을 통해 2주간 진행했다. 각 참여자가 파워브랜드를 세 개씩 추천했다.
▶2위 전지현(배우) (6.6%·20표)
14년 만에 복귀한 드라마로 엄청난 영향력을 자랑했다. SBS '별에서 온 그대'에서 천송이 역을 열연해 제50회 백상예술대상에서는 TV부문 대상을 받았다. 대중들에겐 폭발적인 사랑을 받았다. 드라마에서 선보인 천송이 패션부터 헤어스타일까지 모든 게 화제였다. 광고계 섭외 0순위로 떠올라 수십 편의 광고 모델로 나섰다. 설문에 참여한 한 소속사 관계자는 "전지현의 이름이 브랜드 그 자체가 될 정도였다. 전지현의 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말했다.
▶공동 3위 손석희(JTBC 보도부문 사장) (6.3%·19표)
언론인 중 유일하게 톱10에 들었다. 30년간 몸 담았던 MBC를 떠나 지난해 5월 JTBC 보도부문 사장으로 자리를 옮긴 뒤 지난 1년간 JTBC 메인뉴스 '뉴스9'을 진행했다. 지난 4월 세월호 참사 관련 보도에서 지상파 뉴스를 압도하는 신뢰도를 얻으며 JTBC 뉴스를 이끌었다. JTBC '뉴스9'는 종합편성채널이 출범한 이래 비지상파 뉴스 중 가장 높은 5.6%대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설문에 참여한 방송사 고위 관계자는 "타방송사 입장에서 봐도 손석희라는 리더 한 명의 위력은 대단했다"고 말했다.
▶공동 3위 김수현(배우) (6.3%·19표)
또래 배우들이 한 단계씩 성장할 때 배우 김수현은 10단계 성장한 듯 하다. 지난 1년간 가장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고 영향력이 있었던 남자 배우는 단연 김수현이었다. SBS '별에서 온 그대'에서 외계에서 온 도민준 역을 연기하며 연기·인기 등 모든 면에서 업그레이드됐다. 한국을 넘어서 중국 여심까지 들끓게 했다. 설문에 참여한 방송사 고위 관계자는 "김수현은 20대 남자 배우 중 톱이다. 한국을 넘어서 중국까지 뻗어간 그의 인기와 영향력은 이전의 배우들이 이뤄낸 것과 비교도 안되는 수준"이라며 극찬했다.
▶5위 박지은(작가) (5.6%·17표)
김수현·김은숙·홍자매 등 스타작가를 제치고 '대세 작가'가 됐다. '내조의 여왕'(MBC)을 시작으로 '역전의 여왕'(MBC)·'넝쿨째 굴러온 당신'(KBS2)까지 연속 히트시키더니 '별에서 온 그대'에서 제대로 터졌다. 전지현과 김수현의 대사 한 줄 한 줄은 어록이 됐고, '15초 키스' '정지 키스' 등 숱한 명장면이 쏟아졌다. 설문에 참여한 소속사 관계자는 "박지은 작가 시대가 열렸다. 톱배우들이 박 작가와 함께 작품을 해보고 싶다는 러브콜을 많이 보낸다"며 영향력에 대해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