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축구

25년 만에 만나는 英-獨... 노이어·뢰브, “케인 두렵다”

독일 대표팀이 오는 30일 잉글랜드와 2020 유럽축구선수권대회(유로2020) 16강전을 치른다. 독일과 잉글랜드의 만남은 지난 유로 1996을 상기시킨다. 양 팀은 영국 런던의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유로 1996 준결승전을 치른 바 있다. 오는 16강전도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열린다. 당시 잉글랜드는 유로 우승의 꿈을 품에 안고 선전해 4강전에 올랐다. 잉글랜드와 독일은 치열한 접전을 펼치며 승부차기까지 경기를 이어갔지만, 여섯 번째 키커에서 희비가 갈리며 잉글랜드는 탈락의 고배를 마셔야 했다. 여섯 번째 키커는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잉글랜드 대표팀 감독이었다. 25년의 세월이 지나 선수가 감독이 된 지금, 같은 장소에서 양 팀이 다시 만나게 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일과 잉글랜드는 언론과의 기자회견에서부터 힘겨루기를 시작했다. 양 팀은 서로 “상대는 분명 강한 팀이지만, 이길 수 있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독일 대표팀이 유일하게 두려운 상대가 있었다. 바로 잉글랜드 주력 공격수, 해리 케인이다. 영국 ‘데일리 메일’은 29일(한국시간) 독일 대표팀 골키퍼 마누엘 노이어(바이에른 뮌헨)와 감독 요아힘 뢰브의 인터뷰 내용을 집중 조명했다. 노이어는 이번 경기가 독일 축구의 새 역사를 쓸 수도 있지만, 케인이 모든 것을 망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케인이 가장 두렵다. 그를 과소평가하는 것은 바로 자멸의 길”이라고 말했다. 케인이 이번 유로 대회에서 부진하지 않았냐는 질문엔 “이번 대회에서 케인의 기량이 떨어졌다는 말이 많던데 이는 그가 낮은 레벨의 공격수가 됐다는 뜻이 아니다. 케인이 득점하지 않고 자신을 희생했다는 의미다. 그는 이제 우리와의 경기에 100% 동기부여를 받았을 테고, 이는 아주 위험한 징조다”며 케인 부진설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나는 이미 그를 (지난 경기에서) 만났었다. 그렇기에 그가 얼마나 강한지 잘 안다.”고 말했다. 요아힘 뢰브 감독도 케인이 독일 대표팀에 위협이 된다고 인정했다. 그는 “잉글랜드는 사우스게이트가 지휘봉을 잡은 후로 엄청난 발전을 이뤘다. 잉글랜드엔 기량이 뛰어난 선수들이 많은데 특히 공격에서 그렇다. 케인 같은 진짜 위협이 있는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뢰브 감독은 “케인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골을 넣을 수 있다. 그는 양발로 공을 넣고 지키고 한다. 우리는 그에게 온갖 신경을 곤두세워야 하는데, 문제는 잉글랜드에 케인 말고도 필 포든, 라힘 스털링, 메이슨 마운트, 제이든 산초, 마커스 래시포드가 있다는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사우스게이트 잉글랜드 대표팀 감독은 독일과의 16강전에 선발 출전할 선수를 고심하는 중이다. 특히 지난 체코와의 조별리그 최종전에 빠진 포든, 마운트, 벤 칠웰을 선발 출전할 것인지에 고민 하고 있다. 포든은 옐로카드로 인한 페널티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 경기에 빠졌고, 마운트와 칠웰은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은 빌리 길모어(스코틀랜드)와의 접촉으로 인해 자가 격리에 들어가 지난 경기에 빠졌다. 서지수 인턴기자 2021.06.29 17:52
축구

독일VS아르헨, 브라질월드컵 결승전은 한풀이 무대

메이저 대회에 한(恨) 많은 두 나라가 만났다. 독일과 아르헨티나가 14일(한국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2014 브라질월드컵 결승전을 치른다. 두 나라는 유럽, 남미를 대표하는 강호들이지만 우승 트로피인 FIFA(국제축구연맹)컵을 들어올릴 나라는 단 하나다. 그만큼 치열한 승부가 점쳐지고 있다.두 나라 모두 월드컵은 모처럼 들어올릴 수 있는 기회를 맞았다. 독일은 1990년 월드컵 이후 24년째, 아르헨티나는 1986년 월드컵 이후 28년째 월드컵을 들어올리지 못했다. A대표팀 국제 메이저 대회 우승 역시 마찬가지다. 독일은 유로1996(유럽축구선수권대회) 이후 18년동안 메이저 대회 우승이 없다. 아르헨티나는 1993년에 열릴 코파 아메리카(남미축구선수권대회) 이후 21년동안 메이저 대회 우승을 하지 못했다. 말 그대로 이번에 우승을 해야 그동안 느껴왔던 우승 트로피 갈증을 씻어낼 수 있다.아르헨티나는 24년 전의 아픔을 씻어내려 하고 있다.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 결승에서 독일을 만났던 아르헨티나는 0-1로 패해 2회 연속 우승 기회를 날렸다. 당시 디에고 마라도나를 내세워 정상을 노렸지만 결승에서 정작 단 한 골도 넣지 못하고 패배를 당해 씁쓸하게 대회를 마쳐야 했다. 반면 독일은 유럽을 대표해 1930년 이후 84년째 이어온 개최대륙 국가 우승 징크스를 깰 수 있다. 그동안 미주 대륙에서 열린 7차례 월드컵에서 브라질이 3차례, 우루과이, 아르헨티나가 각각 2차례씩 우승을 했다. 그러나 유럽은 한번도 남미에서 열린 월드컵에서 우승하지 못했다.김지한 기자 hanskim@joongang.co.kr 2014.07.11 08:14
축구

독일 명장 포그츠, 미국 대표팀 고문 맡는다

독일 출신의 감독 베르티 포그츠(68)가 특별 고문 자격으로 미국 대표팀에 합류한다.미국축구협회는 31일(한국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포그츠 감독이 미국 대표팀의 특별 고문직을 맡아 훈련 계획의 수립과 스카우팅 리포트 작성, 월드컵 상대국의 전력 분석 등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로써 포그츠 고문은 독일 대표팀 후배이자 미국 대표팀 감독인 위르겐 클린스만과 함께 고국을 꺾을 방법을 구상하게 됐다. 미국은 2014 브라질월드컵에서 독일, 포르투갈, 가나와 함께 G조에 편성돼 ‘죽음의 조’로 평가를 받고 있다.포그츠 고문은 1990년부터 1998년까지 독일 대표팀 감독을 맡아 1996년 유럽축구선수권대회(유로1996) 정상에 올려놨다. 클린스만 감독은 당시 독일의 주전 스트라이커였다. 현재 아제르바이잔 대표팀 감독이기도 한 그는 미국 대표팀 고문을 겸직할 예정이다.피주영 기자 akapj@joongang.co.kr 2014.04.01 08:58
축구

각국 대표팀 불화의 역사, 한국이 참고해야 할 사례는?

"사람 셋이 모이면 정치가 시작된다"는 말이 있다. 세상 어느 조직에나 갈등은 존재한다. 이 갈등을 해소하고 단결력을 키울 때 축구팀의 성적이 좋아진다. 홍명보호가 참고할만한 해외 각국 축구대표팀의 성공과 실패 사례를 소개한다.◇성공-감독이 먼저 악수를 청하다홍명보(44) 감독의 은사인 거스 히딩크(67) 안지 감독은 네덜란드 사령탑 시절 에드가 다비즈(40)와 '밀고 당기기'를 했다. 유로1996 대회 당시 23세였던 다비즈는 "선수들 좀 그만 들이받으라"며 히딩크 감독을 노골적으로 비난했다. 히딩크 감독은 즉시 다비즈를 대표팀에서 내쫓는 강수를 뒀고, 네덜란드는 8강에 그쳤다. 감정의 골이 깊어진 듯 보였으나, 1998프랑스월드컵을 준비하며 스승인 히딩크 감독이 먼저 손을 내밀었다. 돌아온 다비즈는 인터뷰를 자제하며 경기에 집중했고, 맹활약해 대회 베스트팀에도 선정됐다. 다비즈를 잘 활용한 히딩크 감독은 2년 전보다 나아진 경기력으로 4강에 올랐다.◇성공-미꾸라지를 내보내다2002 한일월드컵을 준비하던 아일랜드는 간판 스타이자 주장인 로이 킨(42)이 골칫거리였다. 킨은 끝없는 말썽 끝에 대회 직전 팀을 이탈했다. '구심점이 사라졌다'는 우려와 달리 아일랜드는 남은 선수들의 결속력이 강해졌고, 결국 통산 세 번째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차기 주장감인 로비 킨(33)을 발굴하는 성과도 남겼다. 비슷한 시기 브라질을 이끌던 펠리페 스콜라리(65) 감독 역시 플레이메이커 자우미냐(43)를 제외했다. 당시 소속팀 데포르티보의 감독에게 대든 자우미냐가 대표팀에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였다. 자우미냐 대신 중용한 호나우지뉴(33)의 대활약에 힘입어 브라질은 우승컵을 품에 안았다.◇실패-미봉책으로는 안 된다프랑스는 내부 갈등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을 미룬 채 미봉책으로 버티다 2010년 추락했다. 2006 독일월드컵을 앞두고 선수단 내 갈등이 심화돼 구심점이 필요해진 레이몽 도메네크(61) 프랑스대표팀 감독은 지네딘 지단(41) 등 은퇴한 스타 플레이어를 복귀시켜 문제를 해결했다. 이 조치가 적중해 프랑스는 준우승을 거뒀다. 그러나 내분의 씨앗은 여전히 남아 있었고, 지단 없이 치른 2010 남아공월드컵에서 팀이 산산조각났다. 선수단이 여러 패로 갈라진 프랑스는 조별리그에서 1무 2패로 일찌감치 탈락했다. 은퇴를 결심한 박지성을 복귀시켜 대표팀의 구심점으로 삼으려는 한국축구가 신중히 검토할 만한 사례다. 김정용 기자 cohenwise@joongang.co.kr 2013.07.04 18:10
축구

[유로 2012] 2004년 득점왕 바로시, 콜러 떠나니 위력 ‘뚝’

밀란 바로시(31·갈락타사라이)는 체코의 영웅이었다. 그는 유로 2004에서 5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에 올랐다. 체코도 4강까지 오르며 유로1996 준우승 이후 최고 성적을 거뒀다. 그러나 8년이 지난 유로 2012에서 바로시는 홀로 서기에 실패했다. 바로시는 22일 폴란드 바르샤바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유로 2012 8강 포르투갈 전에서도 선발 출전했다. 이번 대회 네 경기 연속 선발 출전이었다. 그러나 포르투갈과 경기에서도 그는 보이지 않았다. 이렇다할 기회도 잡지 못했고 슛 한 개를 날린 것이 전부였다. 그마저 골문을 벗어났다. 체코는 수비적으로 나왔다지만, 슛 두 개를 날리는데 그쳤다. 포르투갈이 20개의 슛을 날린 것과 대조됐다. 조별리그 첫 경기 러시아 전부터 바로시는 부진했다. 체코는 이 경기에서 러시아를 몰아 세웠다. 허리에서 압박이 좋았고 경기를 주도했다. 그러나 최전방 바로시가 러시아 수비에 꽁꽁 묶이며 골을 넣지 못했다. 바로시는 85분 동안 뛰었지만 슛 하나도 못 날렸다. 체코는 이 경기에서 1-4로 대패했다. 그리스와 경기에서도 그의 존재감은 0이었다. 바로시는 그라운드를 누빈 64분 동안 조용했다. 이번 대회에서 그의 발끝이 뜨거웠던 것은 폴란드와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였다. 바로시는 이 경기에서 이번 대회 유일한 공격포인트를 기록했다. 후반 27분 이라첵의 결승골을 도왔다. 또 두 개의 날카로운 슛으로 폴란드의 수비를 위협했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 포르투갈 전에서도 침묵한 바로시는 쓸쓸하게 경기장을 빠져나왔다. 한준희 KBS 해설위원은 "2009년 얀 콜러가 대표팀에서 은퇴한 이후 대표팀에서 바로시의 위력이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콜러는 202㎝의 장신 공격수다. 포스트 플레이가 좋아 헤딩으로 바로시의 골을 많이 도왔다. 수비도 콜러에 집중됐고 바로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었다. 2001년 체코 대표팀에 합류한 바로시는 콜러와 함께 뛰던 2009년까지 80경기에서 38골을 넣었다. 그러나 콜러가 은퇴한 뒤 바로시는 11경기에 3골에 그쳤다. 김민규 기자 gangaeto@joongang.co.kr사진=KBS SPORT 2012.06.22 09:1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