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에게 '나 왜 존재감 없어!'라고 외치거나 툴툴거리고 싶어질 땐, 거울을 한 번 더 보거나 나 자신을 들여다 보는 편이 여러모로 이득이다. 존재감, 그리고 그것을 뛰어넘는 임팩트는 결국 '나'로 인해 파생되기 마련이다. 영화 '신과함께(김용화 감독)' 시리즈의 염라 이정재는 '밀정(김지운 감독)' 이병헌에 이어 톱스타의 가장 영리한 특별출연으로 기억될 전망이다.
'특별출연, 특별출연' 하지만 쌍천만을 앞둔 시리즈의 주역으로 분량과 비중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1부 때부터 공식석상 한켠에서 조용히 홍보를 도왔던 이정재는 이제 '신과함께' 일정에 없으면 아쉬운 배우가 됐다. 1부가 대성공을 거둔 후 2부 개봉을 앞두고는 매체 인터뷰까지 나선다고 해 취재진을 깜짝 놀라게 했다. 이정재가 주연으로 촬영을 마친 '사바하(장재현 감독)'를 통해 곧 만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졌던 터라 그의 결정은 기분좋은 선물이 됐다.
사진 촬영을 하지 않음에도 깔끔한 댄디룩에 특유의 소년미 넘치는 미소로 기자들을 맞이한 이정재는 '이 배우가 원래 이렇게 멋졌나' 소근거리게 만들 정도로 움직이는 화보를 보는 듯 분위기 넘치는 비주얼을 자랑했다. 이정재의 표현처럼 '한국 영화계의 선배'가 된 존재다. 저승지배자 염라를 지금 만나 오히려 다행이라 생각될 정도. 이정재는 영화 안에서도, 밖에서도 정신적 지주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겸손의 미덕도 빛난다. 이정재가 인터뷰에서 언급한 내용들은 이후 하정우와 김용화 감독에 의해 다시 정리됐다. "염라는 명백한 조연"이라는 이정재의 발언에 김용화 감독은 "특별한 특별출연이다. 할리우드 영화에서도 'and(그리고) 누구'로 표기된다. 그 캐릭터를 이정재라는 배우가 맡아줘서 감사할 따름이다"고 단언했다. '신과함께-인과 연' 흥행을 "700~800만?"이라고 예측한 수치에 대해서는 하정우가 "우리 염라언니 너무 겸손했다"며 싹둑 잘랐다.
실제 '신과함께-인과 연'은 누적관객수 900만 명을 돌파, 1000만 가시권에 들었다. 한국 영화 최초 시리즈 쌍천만 대기록이다. 이정재는 '도둑들(최동훈 감독)', '암살(최동훈 감독)', 그리고 '신과함께' 시리즈로 연속 1000만 기쁨을 함께 나눈다. 한층 넓어진 팬층에 덤으로 얻은 친근함까지. '신과함께'와 이정재는 서로가 서로에게 행운의 존재가 됐다. - 인터뷰까지 나설 줄은 몰랐다. "내 말이. 하하. 내가 이렇게 인터뷰를 많이 해도 되나 싶다. 인터뷰 날짜를 3일이나 잡았다. (하)정우가 오후 1시부터 하는데 난 오전 11시부터 시작이다. 분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3일씩 이야기 할 것이 있을까 싶기도 하고. 다른 분들에 비해 분량이 현저히 적어 고민이 됐는데 어쩌다 보니 여기 앉아있게 됐다.(웃음) 그래도 오랜만에 뵙게 되니까 나는 좋고 반갑다. 즐겁게 이야기 나눌 수 있었으면 좋겠다." - 염라로서 '신과함께-인과 연'에 대한 총평을 한다면. "영화를 보는데 1부와 색이 많이 다르더라. '1부에 비해 좀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는 마음이 눈에 확 보였다. '현장에 없었으니까'라는 말이 인터뷰 내내 입에 붙을 것 같은데(웃음) 그들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고, 얼마나 정성을 들였을지 다시한번 생각하게 만드는 시간이었다. CG는 말할 것도 없고 사운드까지 굉장히 흡족했다."
- 어떤 부분이 다르게 느껴졌나. "일단 렌즈 자체를 다르게 썼다고 하더라. 보면 색이나 톤이 확연하게 다르다. 철저히 계산해서 찍었다는걸 확인할 수 있었다. 음악도 너무 좋다. 영화를 보면서 옆에 앉은 김용화 감독에게 '사운드 진짜 좋다'는 말을 여러 번 하기도 했다. 체코에서 작업한 결과물이다. '대사가 어쩜 이렇게 잘 들리나' 싶기도 했다. 특히 1000년 전 과거신에서 배우들의 감정신에 음악까지 받쳐주니까 빨려 들어가는 느낌이랄까? 내가 출연했지만 완벽한 관객 마인드로 보게 된 작품이다." - 큰 프로젝트를 마쳤다. "'당신의 정성이 느껴진다' 영화를 보고 김용화 감독에게 했던 첫 마디다. '1부에 대한 보답이 이런 것이구나'라는 생각이 들더라. 나 역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배우지만 '신과함께' 시리즈에 매달린 감독을 비롯한 스태프들의 노력은 그냥 노력이 아니다. 작품을 위해, 관객을 위해 온 정성을 다했다. 큰 사랑을 받았는데 정성으로 보답하게 되니 나 역시 너무 고맙다는 마음이 들었다. 흥행에 대한 부담은 결국 2부를 잘 만들어 1부를 봐 주신 관객들에게 감동과 애정을 그대로 돌려 드려야 한다는 것이다. 그걸 해낸 것 같아 감사했다."
- 1부도 그랬지만 2부 역시 버려지는 캐릭터가 하나도 없었다. "매번 감탄하고 있다. 1부 차태현 씨부터 반장 역할을 한 하정우의 뚝심, 주지훈에 김동욱까지 자신이 맡은 캐릭터를 연기해내는 배우들도, 완성된 모습들도 다 부러웠다. 하다못해 (김)향기 씨도 부러웠다. 아니 연기를 너무 잘 하시더라고.(웃음) 현동(정지훈)이까지 진심으로 대단했다고 생각한다." - 그 중심에서 '염라' 캐릭터를 처음 제의 받았을 땐 어땠나. "우린 1·2부 시나리오를 동시에 받았다. 염라라는 역할이 1부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지만 2부에서는 중요한 역할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고, 누구도 해보지 않았던 캐릭터라는데 흥미를 느꼈다."
- 캐릭터를 어떻게 구축했나. "염라 역시도 1000년이라는 시간을 기다린 인물이다. 내가 염라를 연기하는데 있어 가장 큰 설득이 된 스토리다. 차사들과 얽혀 1000년 동안 생각이 바뀌어지길 바랐고, 그 시간을 염라도 기다린 것이다. 그 '기다림'이 감정적으로 와 닿았다. 그 지점이 캐릭터 구축의 시작이었다." >>②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