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게임업계,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강화…강신철 "책임감 갖고 준수해야"
게임업계가 확률형 아이템의 자율규제를 강화한다.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K-iDEA)는 15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건강한 게임문화 조성을 위한 자율규제 강령 선포 및 평가위원 위촉식’을 개최했다.K-iDEA는 확률형 아이템의 자율규제를 강화하는 개선안을 공개하고 오는 7월 1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확률형 아이템이란 모바일·PC 게임 아이템 중 구입 후 열어보기 전까지 내용을 알 수 없는 상품을 말한다. 확률형 아이템은 게임사들의 주요 수입원 중 하나이지만 게이머에게 과금을 유도하고 사행성을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국회에서 확률형 아이템을 규제하는 법안이 3개나 발의돼 있다.이에 게임업계는 2015년 7월부터 청소년 이용가 온라인·모바일 게임을 대상으로 확률을 공개해왔다. 그러나 게이머가 잘 볼 수 없는 곳에 공개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소비자·이용자 대표와 전문가, 정부기관이 정책협의체를 꾸려 개선안을 도출했다.이번 자율규제 강령은 확률 정보 공개 방식 개선 및 희귀 아이템 관련 추가 조치 도입, 확률형 아이템 결과 제공 등에 관한 준수 사항 신설, 자율규제 평가위원회를 통한 사후관리 강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특히 게임사들은 앞으로 확률형 아이템 결과물의 개별 구성비율과 등급별 구성비율을 공개해야 한다. 등급별 구성비율은 각 아이템 등급의 합산확률 공개 방식과 최대·최소 확률 공개 방식 중 한 가지를 선택하고 추가 조치를 취하게 했다.또 일정 구매 금액에 도달할 경우 희귀 아이템을 지급하는 방안을 도입하기로 했다. 희귀 아이템의 구성 비율과 출현 개수 공지도 강제한다. 일정 구매 금액 등의 자세한 사항은 세부세칙 제정 시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K-iDEA는 자율규제 이행 현황을 감독하고, 사후 관리할 평가위원회를 구성하고, 6명의 각 분야별 전문가를 평가위원으로 위촉했다.이번 개선안의 실효성 유무는 게임업체들이 얼마나 잘 지키느냐에 달렸다. 그래서 강신철 K-iDEA 협회장은 “모든 참여사들이 엄중한 책임감으로 자율규제 강령을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권오용 기자 bandy@joongang.co.kr
2017.02.15 1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