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야구

'야구전도사' 이만수 전 감독, 국민포장 수상

불모지 라오스에 야구를 전파한 이만수(63) 전 SK 감독이 국민추천포상 국민포장을 받았다. 이만수 감독은 3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된 제10기 국민추천포상 수여식(주최: 행정안전부)에서 국민포장을 수상했다. 국민추천포상 수여식은 소외되고 어려운 이웃에게 나눔과 헌신을 꾸준히 실천하는 공로자들에게 정부가 수여하는 행사이다. 이번 국민추천포상에는 국민훈장 6점, 국민포장 7점, 대통령표창 15점, 국무총리표창 18점이 수여됐다. 2019년 7월1일부터 2020년 6월30일까지 1년간 국민이 추천한 755건을 대상으로, 현지 조사와 국민추천포상심사위원회 심사를 거쳐 엄정하게 수상자를 선정했다. 올해 심사부터는 국민 온라인 투표를 실시하는 등 국민 참여를 확대했다. 이만수 전 감독은 지난 7년간 야구 불모지 라오스에 야구를 보급하며 2018 아시안게임 참가, 라오스 야구협회 설립, 전용 야구장 건설 등 라오스 청소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최근 저변을 확대해 베트남 야구협회 설립, 베트남 야구 대표팀 구성 등에 참여하며 동남아 야구 보급에 힘쓰는 등 한국과 라오스, 베트남 간의 우호 증진 및 스포츠 외교관 역할을 하는 점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국내 아마추어 엘리트 야구선수들을 위해 꾸준하게 재능 기부를 하고, 피칭머신 후원을 했다. 대한민국 야구를 위해서도 헌신한 모습도 인정됐다. 이만수 감독은 "비록 내가 상을 받았지만 이 상은 지난 7년간 나와 함께해 준 우리 스태프들이 받았다고 생각한다"며 "나와 함께 묵묵히 그리고 성실하게 야구 보급에 동참해 준 스태프들에게 이 상의 영광을 돌린다. 더불어 지금까지 곁에서 응원해 주는 아내에게도 고맙다는 말을 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형석 기자 2021.03.04 11:11
야구

'야구전도사' 이만수 전 감독, 라오스 이끌고 태국과 평가전

이만수 전 SK 감독이 이끌고 있는 라오스 야구 대표팀이 태국 대표팀과 평가전을 치렀다.이만수 전 감독이 이사장을 맡고 있는 헐크 파운데이션은 13일 오후 '지난 10일부터 이틀 동안 라오스 국가대표 야구팀이 태국 국가대표와 평가전을 소화했다'고 밝혔다. 태국 방콕의 위성도시 빠툼타니 스타디움에서 열린 평가전에서 라오스 대표팀은 2경기(5-11, 7-13)를 모두 패했다. 태국 대표팀은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한국 대표팀에게 0-15로 패했지만 성장 가능성을 보였던 팀이다.3년째 라오스 야구를 이끌고 있는 이만수 전 감독은 "지난 3년 동안 라오스 선수들의 기량이 급성장했다. 매년 열리는 친선으로 열리는 한국-라오스 국제 야구 대회에서도 연속 우승하는 등 이번 평가전 전까지 기대가 컸던 게 사실이다“며 ”비록 패했지만 경험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던 좋은 경기다. 라오스에 야구장이 없다보니 선수들이 경기 룰과 실전 감각을 익히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 향후에도 야구장 없이는 국제 대회에서 1승을 거두는 게 불가능하다고 본다. 태국의 좋은 야구장 시설을 보고 너무 부러움을 느꼈다. 라오스에도 하루빨리 야구장이 건설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고 복잡한 속내를 내비쳤다.태국 대표팀을 이끌고 있는 일본인 아오야마 감독은 "한국의 전설적인 선수였던 이만수 감독이 라오스에서 야구를 보급한다는 소식은 간간이 전해 듣고 있었다. 이번에 직접 만나서 라오스와 대결해보니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강하다는 것을 느꼈다. 향후 태국과 라오스가 동남아시아 야구를 위해 동반자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소감을 밝혔다.이 전 감독은 "매년 태국과 라오스가 평가전을 치르기로 합의했다. 또한 인도차이나 5개 국가들 간의 야구 대회를 신설할 예정이다. 아직 걸음마 수준이지만 해야 할 일들이 너무 많다. 많은 관심과 후원을 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배중현 기자 bae.junghyune@joins.com 2017.11.13 18:25
야구

한은회, '최고선수상' 최형우…박원순 시장·이만수 공로패

(사)한국프로야구 은퇴선수협회(이하 한은회, 회장 이순철)가 '2016 최고의 선수상' 수상자로 삼성 최형우를 선정했다.한은회는 12월 8일 '2016 레전드 야구존 한국프로야구 은퇴선수의 날' 행사를 연다. 이 자리에서 프로야구 은퇴선수들이 직접 선정한 '2016 최고의 선수상'을 시상한다.삼성 최형우는 올 시즌 타율 0.376, 31홈런, 144타점, 195안타, OPS1.115를 기록했다. 타율과 타점, 최다안타 1위를 차지했다.'최고의 타자상'은 타격 전 부분에서 고른 활약을 펼치며 출루율 부문 1위에 오른 김태균(한화), '최고의 투수상'은 평균자책점 2위, 다승 3위를 차지하며 소속팀을 한국시리즈 2연패로 이끈 장원준(두산)이 선정됐다. '최고의 신인상'은 15승을 거둔 신재영(넥센)이 뽑혔다.이 밖에 한은회는 고대하던 대한민국 최초의 돔구장 고척 스카이돔의 탄생과 프로야구단 입성에 큰 공헌을 한 박원순 서울시장과 '야구전도사'로서 야구 불모지에서 야구 보급과 인프라 확대, 야구재능기부활동 등 다방면으로‘야구를 통한 사랑 나눔’을 실천 중인 이만수 헐크파운데이션 이사장에게 공로패를 전달하는 시간도 갖는다. 이형석 기자 2016.11.23 09:36
야구

'야구전도사' 이만수 "역전홈런 기쁨 하루, 재능기부 일년 내내"

이만수 KBO(한국야구위원회) 육성위원회 부위원장이 재능기부의 기쁨을 전했다.이만수 부위원장은 18일 JTBC 뉴스 '아침&'에 출연해 야구전도사로 활동하고 있는 근황을 전했다. 그는 "야구를 하면서 사랑만 받았다. 현역에서 물러난 뒤 봉사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현역에 있을 때 성공을 위해 밤잠을 설쳤다. 고생을 해서 정상을 섰는데, 그 기쁨이 길어야 일주일 가더라. 그러나 재능기부는 기쁨이 일년 내내 간다. 사람들이 봉사를 하는 이유를 알게 됐다"고 밝혔다.이 부위원장은 2014년부터 라오스에 야구를 전파하고 있다. 2013년 라오스에 있는 지인의 연락이 계기가 됐다.그는 "지인이 '라오스에 야구를 보급하고 싶다'며 도움을 청하더라. 건성으로 '한 번 가겠다'고 이야기했는데, 발목이 잡혔다. 2014년 감독 퇴임 후 라오스에 건너가 야구를 가르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친선대회도 준비 중이다. "1월29일~31일 라오스 수도 비엔티엔에서 한국-라오스 친선경기가 열린다. 대회 준비를 위해 주위의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덧붙였다.이 감독이 라오스행을 결심하게 된 건 아내의 한 마디 때문이었다.그는 "감독 퇴임 후 아내와 동유럽 여행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그런데 아내가 '여행 대신 라오스를 다녀오라. 받은 사랑을 되돌려 줄 때가 됐다'고 하더라. 아내의 이야기를 듣고 총알 같이 라오스로 달려갔다"고 밝혔다. 이어 "재능기부는 자비로 하고 있다. 받은 사랑을 돌려드리는 것 뿐이다"라며 겸손함을 나타냈다. 국내 재능기부도 소홀히 하지 않고 있다. 이 감독은 전국을 다니며 초·중·고교 학생들에게 야구를 가르치고, 강의에 나서고 있다. "작년 40군데를 가서 야구를 가르쳤다"고 밝힌 이 감독은 "화려한 현역 생활이 그리울 때가 있다. 그러나 아이들과 함께 있는 지금이 더 기쁘다. 역전홈런을 쳐도 다음날 병살을 기록하면 역적이 됐다. 기쁨이 하루에 불과했다. 재능기부는 일년 내내 행복하다. 어린 학생과 볼모지에 야구를 가르치는 일이 얼마나 행복한지 깨닫게 됐다"고 말했다 유병민 기자 2016.01.18 13:04
야구

[엑스트라 이닝] KBO 슬림화에 육성위원회가 타깃?

최근들어 아마야구는 침체기에 접어들고 있다. 선수 부족으로 인해 최소한의 인원마저 구성하지 못해 해체되는 팀이 나오고 있다. 다행스러운 것은 아마·프로야구의 ‘젖줄’인 유소년 팀들이 하나 둘 늘어나는 것이다. 2006년까지만 해도 전국의 리틀팀이 17개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무려 52개로 늘어났다. 3배나 증가했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그래도 야구에 희망이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일시적인 수급불균형으로 프로야구라는 나무 가지는 조금 말라갔지만 그래도 뿌리는 조금씩 땅속으로 뻗어가는 모양새이다.유소년 야구의 폭발적인 증가는 &#39야구가 좋아서&#39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난 것은 아니다. 한국야구위원회(KBO) 육성위원회의 보이지 않는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원래 육성위원회는 2003년 아마야구를 관장하는 대한야구협회에 생겼다. 하지만 2년 정도 명목상 운영되던 위원회는 재정난을 겪으면서 2005년부터 KBO로 이관됐고 이때부터 야구 원로들이 힘을 보태기 시작했다. 초대 위원장이었던 김인식 현 한화 감독 등 육성위원들은 야구의 밑바닥을 살리기위해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39야구전도사&#39노릇을 했다.2006년부터 그 자리를 물려받은 이광환 위원장 때부터 본격적인 열매를 맺기 시작했다. 하나 둘 창단 팀이 늘어났고 지난 해 7월에는 포항에서 열린 KBO총재배 전국 유소년 야구대회에는 135개팀이 참가한 가운데 성대하게 열렸다.이를 본 한 야구인은 &#39유소년 야구의 고시엔대회&#39라고 부르며 감격하기도 했다. 그래서 일간스포츠는 지난해 연말 제일화재 야구대상 공로상을 이위원장에게 주었다.육성위원회가 공격적으로 일을 벌일 수 있었던 것은 토토에서 제공해주는 운영자금이 큰 도움이 됐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은 문화부지침에 따라 수익금의 일부를 주최단체 지원금으로 내려보내는데 그중 최소 70%이상은 유소년 사업에 사용하도록 지정되어 있다.지난해 육성위원회는 20억원가량을 유소년 팀 창단 물품 지원, 야구 기본을 가르칠 수 있는 DVD제작 공급, 야구 이론서 번역 출간, T볼 보급, 여자야구의 활성화와 연맹 창립 등에 사용했다. 올 해는 진흥공단으로부터 60여억원(지난해 36억원)을 받으면 그중 일부를 야구 클리닉 개최에 사용할 예정이었다.그런데 최근들어 육성위원회의 축소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KBO내부에서 일고 있다고 한다. 현대 사태를 겪으면서 KBO조직의 슬림화를 요구하자 위기감을 느낀 일부 KBO 실무진 사이에서 난데없이 돈만 많이 들어가는 육성위원회의 축소를 들고 나온 것이라고 한다. 어른들이 자기 자리 보전을 위해 KBO가 가장 신경써야만 할 유소년 야구의 싹을 자르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니 어이없다. 하일성 사무총장은 "구단과 겹치는 부문에 대해서는 조정이 좀 필요한 것 같다. 그래서 그런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나 생각한다. 오해다"며 "절대로 축소는 없다"고 했다.야구의 씨를 뿌리고 가꾸어 열매를 맺도록 온갖 뒷바라지를 해주어야 할 KBO가 그동안 음지에서 고생을 한 육성위원회의 의욕을 꺾지 않을 것으로 믿는다. 소문이 소문으로 끝나기를 바란다.이석희 기자 2008.01.28 09:5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