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 안에서 '살아 숨쉬는' 유해진이다. 유해진이 숨통 트이는 영화 '완벽한 타인(이재규 감독)'을 만나 숨통 트이는 연기를 펼쳤다. 이미 수 많은 작품을 통해 '코믹연기의 대가'로 손꼽히는 유해진이다. 이번엔 작정하고 웃기려 한 것이 아니라 더 웃긴 캐릭터를 탄생시켰다. 서울대 법대 출신의 권위적이고 가부장적인 남편 태수는 캐릭터만 놓고 봤을 땐 어떤 욕을 먹어도 시원찮은 캐릭터지만, 그런 태수를 소화한 배우 유해진은 어떤 칭찬을 받아도 아깝지 않다.
'아어이다' 딱딱 맞아 떨어지는 연기는 물론, 빛나는 아이디어도 곳곳에서 돋보인다. '12살 연하'가 아닌 '12살 연상'의 폰친구 설정은 유해진의 아이디어가 받아들여져 다행이고, 유해진이 극도로 난색을 표했다는 '서울대 법대 출신' 타이틀은 이재규 감독의 버티기가 성공해 다행인 설정이다. 유해진의 손길을 거치며 조금씩 깎고 다듬어진 태수는 관객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는 선에서 영화적이면서 현실적인 캐릭터로 완성됐다. '완벽한 타인' 속 명장면의 중심에 늘 유해진이 있는 이유다.
의미있는 작품에서 신나게 뛰어 놀았기에 만족도는 어느 때보다 크다. 스스로 "좋은 작품 만났다"고 이야기 하는 유해진은 꽤 오랜만이다. 그만큼 배우 유해진으로, 또 인간 유해진으로 '완벽한 타인'을 함께 하며 얻은 것이 많다. 자신을 둘러싼 고급진 이미지는 "과대 포장된 면이 있다"며 껄껄 웃는 유해진이지만, 관객들에게는 언제나 '고급진' 배우였다. '완벽한 타인'은 대중이 사랑하는 배우 유해진을 고급지게, 하지만 조금은 다르게 활용한 아주 멋스러운 작품으로 기억 될 전망이다.
※인터뷰①에서 이어집니다.
-사람이 많으면 갈등과 불화가 생길 수 있지 않나. "'이런 영화가 잘 됐으면 좋겠어'라는 말을 많이 했던 것 같다. 그런 걸 보면 우리의 관계는 괜찮았던 것 같다. (송)하윤이를 제외하고는 나이도 얼추 비슷했다. '우리 저녁에 뭐 먹을까?' 했을 때 '파스타요!' 하는 사람도 없었다. '감자탕?' '어, 좋아' '순대국?' '완전 좋아' 이런 분위기였다.(웃음) 앙상블이 깨지면 골치 아픈데 잘 끝내 다행이라 생각했다."
-처음 만나는 배우들도 있었다. "이서진 씨가 그렇게까지 괜찮은 분인지 몰랐다. 이전부터 슬쩍 슬쩍 느끼긴 했지만 츤데레라는 표현의 대표적 인물인 것 같다. '진짜있는 사람이구나' 싶더라. 마음 씀씀이가 남다르다." -가끔은 호칭 문제도 따지지 않나. "그런 것이 다 무의미해지는 나이가 된 것 같다. '내가 형이야' 하면 '어, 네가 형이야~' 하고 만다. 요즘 누가 그거 갖고 '너 몇 년 생인데, 몇 월인데? 몇 일 빠른데?'하겠나.(웃음) 서로 좋은게 좋은 것 같다." -이재규 감독은 어땠나. "다 끝나고 감독님한테 문자를 보냈다. '모니터 뒤에서 감독님의 뒷모습을 봤는데 외로워 보였다. 고생했다'는 내용이었다. 처음엔 '선배도 고생했어요'라는 아주 형식적인 답변이 왔다. 근데 조금 있다가 '아, 왜 이런 문자를 보내서. 못 일어나고 펑펑 울고 있잖아요'라는 메시지가 하나 더 오더라. 갑자기 속에 있는 것이 빵 터져 밖으로 확 쏟아진 것 같았다. '이런 분이구나' 싶었고, 촬영이 끝난 후 감독님의 따스한 면을 더 많이 느꼈다. 감독님을 위해서라도 이 작품이 잘 됐으면 싶다." -작품에 대한 만족도는 공감이 그만큼 컸다는 걸까. "쭉 붙여놓고 보니까 인간의 본성에 대해 와 닿는 부분이 훨씬 많더라. '그래, 우리가 다 저렇게 살지. 모르는 척 눈 감아 주면서, 감추면서 살지. 별게 아닌데' 그런 것들을 많이 느꼈다. 그래서 좋은 방향의 영화가 아닌가 생각한다. 한 번 웃고 가는 것이 아니라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결말에 대한 호불호가 갈릴 것 같은데. "난 마음에 든다. 그것 역시 '우리 다 이렇게 살지 않냐'를 보여주는 것 같다. 난 그 주제가 좋았다. 배우 입장에서 자기가 했던 모든 작품은 다 소중하다. 근데 이번엔 내가 느끼기에도 '좋은 작품 했다'는 생각이 든다. 내 입으로 직접 말하긴 민망하지만.(웃음) 볼 때도 좋고, 돌아서도 좋다."
-연극으로 나와도 재미있을 것 같다. "이 작품은 분명 어떤 분이 판권을 사 연극으로 만들 것 같다. 연극적이어서 신선한 부분도 있지만 반대로 '영화적으로 단조로우면 어쩌지?' 싶었는데 그건 또 음악이 다 채워주더라. 개인적으로 음악이 쾅 들리면서 카메라가 쭉 빠졌다 들어오는 신을 우리 영화의 백미로 꼽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