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비가 영화배우 정지훈(36)으로 돌아왔다. 일제강점기 국민적 영웅이었던 실존 인물 엄복동으로 변신했다.
정지훈이 '알투비: 리턴투베이스'(김동원 감독·2012) 이후 7년 만에 '자전차왕 엄복동(김유성 감독)'으로 스크린에 복귀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선수들을 꺾으며 국민적 영웅이 된 실존인물, 자전차 선수 엄복동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에서 타이틀롤인 엄복동 역을 맡았다. 성실의 아이콘답게 7개월간 죽어라 자전거를 타면서 엄복동이라는 일제강점기 인물을 2019년 스크린으로 불러들였다.
쉽지만은 않은 도전이었다. 배우 이범수가 제작자로 변신한 첫 작품이어서 위험 부담이 적지 않았다. 촬영 도중 김유성 감독이 하차를 선언했다가 다시 돌아오는 소동도 있었다. 엄복동의 자전거 절도 혐의가 뒤늦게 알려지며 미화 논란도 일었다. 순제작비만 100억원이 넘는 작품이지만 언론배급시사회에서 첫 공개된 후 조악한 CG로 혹평받기도 했다.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정지훈은 한 점 부끄럼 없이 최선을 다했다. "프로이기에 내 위치에서 최선을 다할 뿐"이라며 호평이든 혹평이든 그대로 받아들이겠다는 생각을 내비쳤다.
-오랜만에 스크린에 돌아왔다. "'알투비: 리턴투베이스' 이후 7년 정도 공백이 있었다. 군을 제대하고 나와서 앨범 활동을 하고 드라마를 했다. '자전차왕 엄복동'은 2017년에 촬영했고, 올해 개봉한다."
-'자전차왕 엄복동'을 복귀작으로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신중하게 선택했다. 제작자인 이범수가 시나리오를 건네줘서 읽어보게 됐다. 처음엔 가족 드라마인줄 알았다. 막상 시나리오를 읽었더니 고 손기정 선생님처럼 스포츠계에 한 획을 그었던 인물이더라. 조선인으로서 자전차 대회에 나가서 국가 대항전에서 이기며 조선인의 자부심이 된 인물이다. 실화인 것이 믿겨지지 않았다. 많은 분들이 이 분에 대해 알아주셨으면 하는 바람에서 참여하게 됐다. 또한, 김유성 감독님에게 신뢰를 느꼈다. 이 작품은 자전거 경주를 가장한 가족 영화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온가족이 다 와서 볼 수 있는 영화다. 그래서 참여하게 됐다."
-자전거 경주 장면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따로 자전거를 배웠다. 한체대에 들어가서 선수들과 국가대표 코치에게 훈련을 받았다. 크랭크인 전 3개월을 훈련하고, 영화가 크랭크인한 시점부터 하루에 8시간씩 꾸준히 탔다. 총 7개월 정도 탔다. 촬영에 들어가서는 하루에 찍어야할 분량이 있었다. 나에겐 주야장천 달리는 시간이었다. (자전거를 그만 타기 위해) 해가 빨리 떨어지길 바랄 정도로 정말 쉬운 작업은 아니었다."
-캐릭터 구축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나. "엄복동의 성격과 제스처와 걸음걸이를 알고 싶었다. 이분이 왜 자전거를 사랑하게 되셨는지. 과연 이분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알고 싶었다. 옛날 분들의 제스처를 파악해 보려고 할아버지 세대에게 많이 물어봤다. 할아버지 세대에도 먹고 살기가 힘들었다고 하는데 일제강점기엔 더 했을 것이다. 하루 삼시세끼 해결하는 게 목표였을 거다. 실제로 아버지가 젊은 시절 나무를 많이 하셨다. 지게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아시더라. 엄복동이 하는 행동의 디테일을 그렇게 잡아나갔다. 또한, 엄복동이 굉장히 순박하고 착한 청년이라는 가정을 세웠다."
-제작자 이범수의 데뷔작이기에 위험 부담도 컸다. "이범수가 제작을 한다는 이야기를 처음 들었을 때 '올곧게 열심히 할 것 같다'는 믿음이 있었다. 이범수라는 제작자를 의심하지 않았다. 믿어 의심치 않았다. '하필 왜 이 작품이냐'고 물으면 시나리오가 정말 마음에 들어서 참여한 거다. 위험성은 그 어떤 제작자가 하더라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범수가 그냥 대충하지는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개봉 이후 관객의 심판을 받게 될 터인데, 결과가 어떨지는 관객에게 맡길 뿐이다. 나는 연예인이 되기 전, 연습생 때부터 남의 평가를 많이 받았다. 결과에 승복하고 반성하고 칭찬 받는 걸 좋아하는 타입이다."
-100억원 영화의 주연이라는 부담감도 있겠다. "이 영화에 아주 큰 돈이 들어갔다. 손익분기점을 넘길 수 있느냐가 관건일 거다. 열심히 했고, 연기에 대해 부끄러움 없이 잘해낸다면, 모두들 현장에서 잘해낸다면 (만족한다). 나머지는 후반작업을 하는 이들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분명히 훌륭한 부분도 잇겠지만 아주 안 좋은 부분도 있을 거다. 여러가지 부분이 있을 거라 생각한다." >>[인터뷰②] 에서 계속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사진=레인컴퍼니,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