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닝 USB 어댑터. 애플 제공 유럽이 스마트폰 표준 충전 포트를 USB-C타입으로 잠정 합의하면서 애플이 오랜 기간 고수해오던 라이트닝 포트를 버리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통일할지 관심이 쏠린다.
유럽연합(EU) 이사회와 유럽의회는 공통 충전기를 도입하는 제안에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8일 밝혔다. 향후 다양한 브랜드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하나의 충전기를 쓸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새로운 규칙은 지침 발효 후 24개월이 지나면 대부분의 기기에 적용해야 한다. 대상은 스마트폰·태블릿·전자책 리더기·디지털 카메라·게임 콘솔·무선 이어폰·내비게이션 등이다. 노트북은 40개월 뒤부터다.
또 소비자가 새로운 기기를 구매할 때 충전기를 포함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충전기 생산·운송·폐기 절차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조치다.
이번 합의는 이사회와 유럽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공식 채택된다.
MFi 인증 마크. 애플 제공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삼성전자와 구글, 중국 브랜드는 USB-C타입 충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 문제는 라이트닝 포트로 충전하는 애플의 아이폰이다.
애플은 2012년 '아이폰5'를 공개하는 자리에서 8핀 라이트닝 포트를 처음 선보였다. 앞뒤로 각각 4개의 금색 선이 존재해 어느 방향으로 꽂아도 된다.
당시 애플은 "향후 10년을 책임질 현대적인 커넥터"라고 소개했다. 이전까지는 양옆으로 길이가 훨씬 긴 30핀 포트를 제공했다.
EU의 법안이 통과하면 애플은 2024년까지 충전 생태계를 USB-C타입으로 전환해야 한다. 단순히 충전기를 바꾸면 될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애플은 자사 모바일 디바이스의 액세서리 등에 공식 인증 제도인 MFi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MFi 인증을 받지 않은 액세서리는 케이블이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발열이 생기거나 기기에 맞지 않을 수 있다고 안내하고 있다. 기기 동기화나 iOS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도 경고한다.
액세서리 제작 업체들은 MFi 인증을 받기 위해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애플이 라이트닝 포트를 포기하면 여기서 발생하는 수익도 잃게 된다. 하지만 수량 기준 압도적 점유율의 USB-C타입이 대세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애플 전문가로 알려진 블룸버그의 마크 거먼은 지난해 뉴스레터에서 "라이트닝 포트는 2012년부터 애플을 잘 뒷받침했지만, USB-C는 분명히 업계에서 우위를 점했다"고 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