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방탄소년단은 공공연한 암표 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추첨제라는 새로운 방식의 티켓팅을 도입하고 엄격한 본인 확인 절차 시스템도 마련했다.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콘서트와 달리 아미 5기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팬미팅이기 때문. 오롯이 팬과 함께 축제를 즐기고자 하는 의도를 엿볼 수 있다.
지난 15일과 16일 부산에 이어 서울에서 열린 팬미팅 'BTS 5TH MUSTER [MAGIC SHOP]'(머스터 매직샵)에서도 꼼꼼한 본인 확인 절차 후 관객 입장을 안내했다. 아미 5기 가입자와 티켓 예매자가 일치하고 여권 혹은 신분증 등을 지참해야 입장이 가능하다는 공지를 사전에 냈다. 얼굴이 불확실하게 찍힌 학생증을 제시할 경우 추가 본인 확인 작업도 이뤄졌다. 직계가족 예매 티켓이라도 가족관계증명서 등의 서류가 없으면 입장을 제한했다. 이 과정에서 본인확인에 실패한 팬들은 일부 눈물을 보이기도 하고 체념하고 집으로 돌아가기도 했다.
소속사도 팬들도 복잡한 절차였지만, 방탄소년단 측은 천정부지로 치솟는 암표를 막기 위해 직접 팔을 걷어붙였다. 새로 도입한 티켓팅 추첨제는 팬미팅 참가 희망자를 대상으로 사전 접수를 받아 신청일자별로 참석자와 좌석에 대해 무작위로 추첨하는 방식이다. 팬미팅 회당 최대 2회까지 선택해 응모할 수 있다. 당첨자들은 소속사의 안내에 따라 정해진 기간 안에 1인당 1매의 티켓만 구입할 수 있도록 했다. 소속사에 따르면 규모가 큰 방탄소년단 공연의 특성상 매크로(불법 프로그램)를 이용해 티켓을 일괄 쓸어가는 행위가 없도록 방지책을 마련해나갈 예정이다.
암표에 대한 논의는 정치권에서도 최근 활발하게 이뤄졌다.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정가보다 비싼 가격의 '암표'를 공식 판매자 동의 없이 판매할 경우 최대 1년 징역에 처하도록 하는 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신 의원은 지난해 8월 방탄소년단의 주경기장 콘서트 티켓이 암시장에서 300만 원 이상 거래되는 것을 언급하며 "최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막론하고 암표 매매가 횡행하는 가운데 거래 방식이 복잡한 형태로 변질되면서 처벌과 단속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암표 판매는 공정거래 시장경제 파괴행위"라며 "암표 예방을 위한 처벌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팬미팅에 참여한 대학생 팬은 "멤버들이 투어 중에도 열심히 준비한 팬미팅인데 팬도 아닌 암표상의 손에 티켓이 들어간다는 자체가 싫다. 아미 5기를 위한 행사인 만큼 주최측 공지에 따라 더이상의 암표는 없었으면 한다"고 바랐다. >>[BTS 팬미팅 ③] 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