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비가 영화배우 정지훈(36)으로 돌아왔다. 일제강점기 국민적 영웅이었던 실존 인물 엄복동으로 변신했다.
정지훈이 '알투비: 리턴투베이스'(김동원 감독·2012) 이후 7년 만에 '자전차왕 엄복동(김유성 감독)'으로 스크린에 복귀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선수들을 꺾으며 국민적 영웅이 된 실존인물, 자전차 선수 엄복동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에서 타이틀롤인 엄복동 역을 맡았다. 성실의 아이콘답게 7개월간 죽어라 자전거를 타면서 엄복동이라는 일제강점기 인물을 2019년 스크린으로 불러들였다.
쉽지만은 않은 도전이었다. 배우 이범수가 제작자로 변신한 첫 작품이어서 위험 부담이 적지 않았다. 촬영 도중 김유성 감독이 하차를 선언했다가 다시 돌아오는 소동도 있었다. 엄복동의 자전거 절도 혐의가 뒤늦게 알려지며 미화 논란도 일었다. 순제작비만 100억원이 넘는 작품이지만 언론배급시사회에서 첫 공개된 후 조악한 CG로 혹평받기도 했다.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정지훈은 한 점 부끄럼 없이 최선을 다했다. "프로이기에 내 위치에서 최선을 다할 뿐"이라며 호평이든 혹평이든 그대로 받아들이겠다는 생각을 내비쳤다.
-CG가 조악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CG가 들어가지 않는 장면이 거의 없다. 이 정도 예산에 이 정도 세트와 CG를 만들어냈다는 것에 '다들 열심히 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결과론적으로 어떤 결과가 나오든 오늘 하루 최선을 다하고 싶다. 이 영화가 개봉한 후에도 '자전차왕 엄복동'은 나에게 뜻깊은 작품으로 남을 것이다."
-김유성 감독이 중도 하차하는 소동이 있었다. "6~7개월 가량, 오랫동안 촬영한 영화다. 마무리가 잘 됐고, 중간에 빠져나가는 스태프는 없었다. 끝까지 잘 진행된 걸로 알고 있다. 사람이 일하는데 잡음이 없을 수는 없지 않나."
-작품 외적인 잡음에 속상하기도 했겠다. "잡음이 없는 작품은 없다. 그것이 드러나느냐, 드러나지 않느냐의 차이다. 우리는 드러난 것 뿐이다. 협의를 잘 해서 어떻게 끌고 오느냐가 문제라고 생각한다. 촬영을 잘 끝냈다는 것을 높이 평가하고 싶다. 쉽게 이야기해 지금 애들 장난하는 것이 아니다. 저는 프로다. 문제가 생겼다고 짜증을 내는 것은 프로답지 못하다. 진짜 프로는 배가 흔들리면 내 위치에서 키를 쥐면서 열심히 제 몫을 해야한다."
-굉장히 솔직한 스타일인 것 같다. "나에겐 솔직함이 무기다. 숨기고 싶지 않다. 뭘 숨기고 가리려고 하면 상처와 부작용이 생기더라. 평가는 관객 분들이 해주시는 거다."
-가수 비와 배우 정지훈은 어떻게 다른가. "무대 위의 나는 틀리지 않기 위해 수만번을 연습한다. 끝나고 나서 아쉬움이 남으면 기싸움에서 진 거다. 배우로서는 더 배우는 입장이라 겸손해진다. 그런데 (연기가) 재밌다. 가상의 인물로 산다는 것이 흥미롭다. 무대는 정말 많이 해봤기 때문에 긴장감보다는 즐기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작품을 하는 것은 연기라는 콘텐츠를 가지고 다른 모두가 호흡하는 작업이다. 나 혼자만 잘 하면 되는 무대와는 다르다."
-가수와 배우 중 하나만 선택하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일을 너무 많이 하다보면 가족을 잘 못 챙겨줄 때가 있다. 가족을 위해 살 것인지, 그래도 내가 하고 싶은 직업을 하면서 가족을 챙길 것인지, 그것부터 나의 노선이 정리돼야 할 것 같다. 그 후에 가수와 배우, 두 길 사이의 노선도 정해질 것 같다. 2년 후면 마흔살이다. 아직은 그것을 정리하기엔 어리다." >>[인터뷰③] 에서 계속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사진=레인컴퍼니,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