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희 SK브로드밴드 사장은 "오는 2021년 '넘버원 유무선 미디어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이 사장은 7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기자간담회을 갖고 경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형희 SK브로드밴드 사장. 이 사장은 유무선 미디어 플랫폼 1위 달성을 위해 연 평균 1조원씩 5년간 5조원을 투자하겠다고 했다. 또 빅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의 미디어사업 혁신, Tech 기반의 인프라 고도화, 홈 IoT 등 홈 Biz 확대, 미디어 산업 내 모든 사업자들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환을 적극 추진한다고 했다.
이 사장은 "2021년까지 유무선 미디어 가입자 기반을 2700만 명 수준으로 확대하고 매출도 매년 10% 성장해 4조5000억원까지 끌어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SK브로드밴드는 빅 데이터와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활용해 B tv를 '홈 & 미디어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옥수수의 글로벌 진출을 추진해 한류 대표 플랫폼으로 키울 방침이다.
또 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광고, 커머스 등 다양한 연관 플랫폼을 육성해 PP, 중소기업, 지역 중소상공인 등의 성장을 지원하는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장은 "B tv와 옥수수를 빅 데이터와 AI 기술을 통해 고객을 가장 잘 아는 똑똑한 폴랫폼으로 탈바꿈 시킬 것"이라며 "이를 통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경쟁사를 포함해 모든 파트너들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수익모델 발굴에도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SK브로드밴드는 미디어 Biz 혁신으로 2021년까지 B tv 가입자 650만, 옥수수 가입자 2050만 등 총 2700만의 가입자 기반을 확보, 국내 유무선 미디어 플랫폼 1위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SK브로밴드는 HDR, HEVC 등 고화질 미디어 제공 기술을 활용해 B tv 및 옥수수 화질을 개선하고, 대용량 미디어 트래픽 증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현재 40G 수준인 광가입자망을 오는 2020년까지 100G까지 고도화할 계획이다.
또 5G 활용 고정형 무선 접속 기술(FWA), 전력선 통신기술(PLC) 등 다양한 기술을 적극 활용해 고객의 주거형태 및 지역 차이로 인한 서비스 품질 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SK브로드밴드는 빅 데이터 및 AI 기반의 홈·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해 홈 Biz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SK그룹의 R&D 및 브랜드 경쟁력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우선 B tv와 누구(NUGU)의 연동을 고도화하고 클라우드 캠 등 홈 모니터링 서비스와 홈 시큐리티 서비스를 확장해 나가기로 했다.
이 사장은 "SK그룹의 역량을 적극 활용해서 '인텔리전트 홈 플랫폼'을 구축해 인공지능 서비스 기반의 IoT, 홈오토메이션 서비스를 진화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홈오토메이션이란 가정 내 컴퓨터 기기, 통신 회선 등을 이용해 생활을 기능화·자동화하는 것을 말한다. 원격으로 냉난방 조절, 자동 방재, 방범, 홈 뱅킹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사장은 "현재의 경쟁구도 때문에 미래 먹거리를 놓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개방과 협력을 통해 미디어 산업 내 모든 사업자들이 동반할 수 있는 새로운 판을 만드는데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