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KT, SKT 주파수 인접할당 반대 맹비난…“재벌의 독식 꼼수”
KT가 LTE 신규 주파수 할당과 관련해 경쟁사를 비판하고 나섰다. KT는 14일 보도자료를 내고 "경쟁사가 공정경쟁을 이유로 1.8GHz의 KT 인접대역을 할당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재벌기업이 시장독식을 위해 KT를 모바일 사업에서 몰아내려 하는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KT는 "현재 LTE 주파수 상황 자체가 불공정하며, 1.8GHz 인접대역까지 주파수 할당에서 배제된다면 KT는 '시장 퇴출'이라는 위기를 맞게 된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800MHz 대역 각 20MHz 대역폭(이하 상하향)을 주력망으로 LT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 2012년 하반기부터 SK텔레콤은 1.8GHz, LG유플러스는 2.1GHz 각 20MHz 대역폭에 주파수부하분산기술(멀티캐리어, 이하 MC)을 적용해 일부 지역에서 보조망으로 활용하고 있다.양사는 이와 함께 주력망과 보조망을 주파수집성기술(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이하 CA)로 묶어 현재 LTE보다 최대 2배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연내 84개시에 적용할 계획이다.KT는 1.8GHz와 900MHz 대역 각 20MHz 폭을 주력망과 보조망으로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KT는 900MHz의 경우 주파수 간섭 문제로 인해 상용화 가능 시기가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주장하고 있다.KT는 "900MHz의 경우 RFID(무선인식전자태그), 무선전화기 등과의 전파간섭 문제가 있어서 MC나 CA 기술을 보유하고도 적용을 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더구나 "지난해 10월부터 500여명의 인력과 30억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했지만 현재까지 서울 주요 4개 구조차 최초 적용이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KT는 1.8GHz 인접대역을 할당 받지 못한다면 경쟁사가 자동차로 고속도로를 달릴 때 KT는 자전거를 타고 오라는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또 40MHz 폭을 당장에 활용이 가능한 경쟁사에 비해 KT는 20MHz 폭 밖에 사용할 수 없는 현 상황 자체가 불공정하다고 했다. KT는 "이런 상황에서도 특혜 운운하며 인접대역 할당을 가로막는 것은 재벌기업이 KT를 모바일 시장에서 퇴출시키기 위한 '주파수 고사' 전략"이라고 말했다. KT는 오히려 경쟁사들이 특혜를 받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SK텔레콤은 지난 2002년 신세기통신과의 합병으로 2G용 800MHz 주파수를 10여 년간 독점했고 2010년에는 인접대역을 추가로 확보해 2.1GHz 대역에서 전세계 유일하게 연속된 60MHz 폭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 LG유플러스도 2006년에 2.1GHz 대역 이용을 스스로 포기했지만 2011년에 다시 타사 참여가 배제된 채 단독으로 2.1GHz를 확보했다는 것이다. 권오용 기자 bandy@joongang.co.kr
2013.05.14 1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