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 안 하면 죽을 병에라도 걸린 것처럼 끊임없이 연기하는 배우 최전방에 있는 조진웅이다. '충무로 다작 끝판왕'이라는 말이 과언이 아닐 정도로 차기작에 차차기작까지 몇 편을 손에 쥔 채 공백없이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주연급으로 올라선 후 더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지금의 조진웅에게 휴식은 사치다.
열일의 행보는 흥행이라는 보상으로 돌아왔다. 최근 성적이 썩 좋지 않아 아쉬움이 차곡차곡 쌓이던 찰나 '독전(이해영 감독)'의 성공은 큰 선물이 됐다. '독전'은 누적관객수 300만 명을 돌파, 손익분기점을 가뿐히 넘긴 것은 물론 개봉 후 12일 연속 박스오피스 1위 자리를 지켜내고 있다.
연기가 주는 고통은 아이러니하게도 배우를 살게 만드는 원동력이 될 때가 많다. 배움은 늘 뒤따르기 마련. 인터뷰 내내 촬영 당시를 회상하며 몇 번이나 머리를 쥐어뜯은 조진웅이었지만 그만큼 얻은 것도 많아 보였다. 감히 헤아릴 수 없는 고민의 깊이는 늘 응원과 기대감으로 번진다.
※인터뷰②에서 이어집니다. - 원호는 츤데레 같은 모습도 있다. "호텔에서 부하 직원을 때리고 괜히 불러서 한번 스윽 보지 않냐. 영화에 담길까 싶었는데 그건 나왔더라. 난 이상하게 그런 것이 좋다."
- 실제로도 그런 선배인가. "살갑게는 못 챙긴다. 회사 직원들한테도 '안녕하세요~ 오셨어요~' 하면 '어어' 그러고 만다. '밥 먹었냐? 밥 챙겨먹어' 이 정도지 '어땠니~'이런 식으로 말을 못 한다.(웃음) 홍보 때문에 사진을 찍어야 할 때도 '안 해! 윤계상이나 시켜!'라고 한다. 해줘야 하고 결국 해주긴 하면서 '어~ 그래, 내가 해 줄게~'가 안 된다. 하하."
- 배우들과는 어떤가. "연기할 때는 더 더욱 말을 안 한다. 특히 선수들끼리는 잘 이야기 안 한다. 대사 한 두 번 맞춰 보는게 전부다. 그래서 편하다. 이것 저것 따질 일도 없고. 관록있는 선배들과 연기할 땐 아예 연기를 안 해도 된다. 그냥 자연스럽게 따라가면 된다. 오히려 뭔가 연기를 하려고 하면 '아오, 나 방금 대학생 같았어. 학교에서 연습하는 줄?' 그런다. 너무 창피하다. 현장은 최전방이기 때문에 완성본이라는 것이 있어야 한다."
- 그런 것에서 오는 재미가 연기의 원동력일까. "그럴 수 있다. 진짜 재미있다. 관객들이 보기 전에 내가 제일 먼저 보는 것 아닌가. '잘 됐다, 안 됐다' 감독님의 OK 사인도 있지만 스태프들의 분위기나 반응이 대부분 그대로 일어질 때가 많다. 프로들이 모인 자리라서 그런지 좋을 땐 다 같이 좋고, 아닐 땐 다 같이 아닌 경우가 많더라." - 다작을 하는 에너지의 원천은 무엇일까. "재미있는 책이 너무 많다. '좀 쉴까' 하다가도 책을 보면 그게 안 된다. 나도 상상이라는 것을 하지 않나. 하지만 내가 여기까지 생각한 것을 작가나 감독들은 저기까지 글로 풀어낸다. '와, 그래. 이거 나도 고민해 봤던 지점이야'라는 생각이 들면 놓칠 수가 없다. 물론 감독과 미팅을 했을 때 그 자리까지 재미있으면 가는 것이고 아니면 '죄송합니다'라고 한다. 선택은 객관적으로 하려고 노력한다. '나쁘지 않은데 가실까요?' 하는건 문제가 있다. 시작부터 고민이 있으면 현장에서는 난리나지."
- 다작하는 배우들은 '똑같은 연기'에 대한 고민이 많던데. "어떤 배우를 만나 차를 마시건 술을 마시건 하는 이야기는 백이면 백 똑같다. 바로 그 고민에 대해 화를 내듯이 고민한다. '미치겠다'면서 머리카락을 잡아 뜯는다. 지금 '광대들'이라는 영화를 촬영 중인데 (손)현주 형님, 고창석 선배 등 많은 배우들이 나온다. 다들 촬영만 마치면 '나 또 똑같지'가 단골 멘트다. '뭔 소리야. 아니야'라고 해도 '아니야. 왜 이렇게 똑같지?'가 무한 반복이다. 계속 그 이야기만 하는 것이다."
- 답이 찾아지기는 하는건가. "어떤 감독도 '전작에서 했던 것만큼 보여주세요'라고 말하지 않는다. 어떻게든 다른 재료로 쓰려고 한다. 아주 충실하게 따르다 보면 뭔가 다른 것들이 나오기 마련이다. 결국 캐릭터를 처음 구축시킨 사람은 감독이기 때문에 소통을 하면 할 수록 빠져들게 된다. 타고난 DNA를 어떻게 바꾸겠나. 최대한 캐릭터와 맞닿을 수 있는 지점까지는 가보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가끔은 '왜 이렇게 발음이 안돼. 혀를 자를까' 하기도 한다. 어쩔 수 없지만 어쩌고 싶은 마음이 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