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필요한 걸까. 부상에서 회복한 베테랑 나성범(36·KIA 타이거즈)이 침묵을 거듭하고 있다.
나성범은 지난 26일 부산 롯데 자이언츠전 선발 라인업에서 제외됐다. 팀이 연전연패하는 상황에서 그가 벤치를 지킨 건 극심한 타격 부진이 원인. 지난 17일 1군 엔트리에서 복귀한 나성범의 첫 6경기 타율은 0.167(18타수 3안타)에 머문다. 출루율(0.211)과 장타율(0.167)을 합한 OPS도 0.378에 불과하다. 특히 왼손 투수를 상대해서는 11타수 무안타로 진땀 뺐다.
타격감이 좀처럼 오르지 않는다. 나성범은 오른 종아리 근육 손상 문제로 지난 4월 27일 1군 엔트리에서 빠졌다. 81일 만인 지난 17일 1군에 복귀했는데 통산 276홈런(현역 5위) 타자의 위엄은 온데간데없다. 이는 어느 정도 우려한 결과다. 이범호 KIA 감독은 이달 초 복귀 예정인 부상 선수를 언급하며 "주전으로 있었던 선수들이 부상에서 다 돌아오지만, 그 선수들이 와서 한 번에 자기가 가지고 있는 성적(기량)을 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경기 감각을 끌어올리려면) 10경기 정도는 치러야 한다"라고 말한 바 있다. 다만 나성범은 경험이 풍부한 베테랑인 만큼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도 작지 않았다.
KIA 중심타선의 핵심 선수 중 하나인 나성범. 그가 살아나야 KIA 타선도 좀 더 매끄럽게 돌아갈 수 있다. KIA 제공
거듭한 하체 부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2023년 정규시즌 개막 전 종아리를 다친 나성범은 그해 9월 허벅지 근육 파열로 시즌 아웃됐다. 지난해에도 3월 중순 햄스트링(허벅지 뒤 근육)을 다쳐 4월 말 복귀했다. 2년 연속 하체를 다친 그는 올해 일본 오키나와 스프링캠프에서 연습 경기를 뛰지 않았다. 대신 러닝 훈련에 집중하며 관리에 힘쓰는 모습이었다.
그런데 3년 연속 하체 부상을 반복하면서 구단 안팎의 우려가 커졌다. 강한 타구를 만들어내려면 강한 허릿심과 탄탄한 하체가 필수. 30대 중반의 적지 않은 나이를 고려하면 운동 능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변수이기 때문이다. 나성범의 부진이 계속되자 "하체 부상을 신경 쓰다 보면 타격 밸런스가 흔들릴 수 있다"라고 말한 야구 관계자도 있다.
지난 2월 스프링캠프에서 훈련하는 나성범의 모습. KIA 제공
이범호 감독의 예상대로 좀 더 시간을 두고 타격감이 회복되길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다만 팀 내 상황이 긴박하다. KIA는 외국인 타자 패트릭 위즈덤의 타격감이 들쭉날쭉하다. 후반기 첫 6경기 타율이 0.160.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나성범까지 동반으로 부진하니 중심타선의 짜임새가 헐거워질 수밖에 없다. 후반기 초반 고전하고 있는 KIA가 풀어야 할 꼬인 실타래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