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항저우 스포츠파크 경기장에서 열린 중국과 호주의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C조 8차전. AFP=연합뉴스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을 향한 중국 축구 대표팀의 여정에 먹구름이 꼈다. 현지 매체에선 “2030 월드컵을 준비해야 할지도 모른다”라고 탄식했다.
중국은 25일(한국시간) 중국 항저우의 항저우 스포츠파크 경기장에서 열린 호주와의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C조 8차전에서 0-2로 완패했다. 호주는 3승(4무1패)째를 올리며 조 2위(승점 13)를 지켰다. 반면 중국은 6패(2승)째를 안으며 조 최하위에 머물렀다.
중국은 전반 16분 만에 선제 실점했다. 호주 잭슨 어바인이 박스 안 혼전 상황에서 왼발 슈팅으로 중국의 골문을 열었다.
중국은 7만 명이 넘는 관중의 응원에 힘입어 반격했으나, 좀처럼 유효타를 만들어내지 못했다. 그러던 전반 29분에는 충격적인 실점이 나왔다. 호주 니샨 벨루필레이의 슈팅을, 중국 골키퍼 왕 다레이가 제대로 처리하지 못했다. 공이 왕 다레이의 가랑이 사이로 지나가는 황당한 실점. 결국 중국은 만회 골을 터뜨리지 못한 채 안방에서 고개를 떨궜다.
25일 항저우 스포츠파크 경기장에서 열린 중국과 호주의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C조 8차전. 호주 게리아와 중국 장위니잉 경합을 벌이고 있다. EPA=연합뉴스 중국은 이날 패배로 3차 예선을 통한 월드컵 본선 직행 경우의 수가 사라졌다. 18개 팀이 3개 조로 나뉘어 경쟁하는 3차 예선에선 각 조 1·2위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한다. 조별리그 10경기를 소화해야 하는데, 중국은 잔여 2경기를 모두 이기더라도 2위 호주의 승점을 넘어설 수 없다.
물론 월드컵의 꿈이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다. 각 조 3·4위는 4차 예선으로 향해 추가 진출권을 노릴 수 있다.
다만 현지 매체에선 이미 2030 월드컵을 언급하며 팬들의 눈길을 끌었다. 같은 날 중국 매체 소후닷컴은 “국가대표팀이 꿈에서 깨어났다”며 “중국이 8경기에서 19실점 한 대가를 치르게 됐다. 본선 진출 상황은 매우 좋지 않으며, 남은 경우의 수는 플레이오프를 통한 진출 기회뿐”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매우 절망적인 상황이 하나 있다. 중국이 남은 2경기를 모두 이기더라도, 여전히 탈락하고 2030년 월드컵을 준비해야 할 수도 있다는 점”이라며 “이 시점에서 중국의 최고 승점은 12점이지만, 득실차는 –10 근처일 것이다. 득실차에서 크게 밀리기 때문에, 조 5위에 그칠 수도 있다”라고 내다봤다.
매체는 이어 “말하면 말할수록 잔혹한 현실이지만, 결국 중국은 스스로 득실차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대가를 치르게 된다. 일본에 7골을 허용하지 않았다면,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기에서 한 번이라도 이겼다면, 오늘 같은 상황에 이르지 않았을 거”라며 “팬들이 이렇게나 지지해 줬지만, 중국은 여러 차례 실망만 안겨줬다”라고 꼬집었다.
끝으로 “중국은 일본, 호주, 사우디를 상대로 승점을 단 1점도 따내지 못했다. 인도네시아와 바레인은 이 세 팀을 상대로 이미 5점을 따냈다. 중국이 어떤 근거로 이 두 팀을 넘어 진출하겠다고 주장할 수 있을까”라고 혹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