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공급하고 있는 HBM3E. SK하이닉스 제공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가 늘면서 올해 2분기 SK하이닉스가 글로벌 D램 시장점유율에서 삼성전자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3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 세계 D램 매출은 107억 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57% 줄었지만 전 분기보다는 15% 늘었다.
업체별로 보면 1위 삼성전자의 D램 매출은 41억 달러로 전 분기보다 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시장점유율은 전 분기 42.8%에서 38.2%로 4.6% 하락했다.
SK하이닉스의 2분기 D램 매출은 전 분기보다 무려 49% 증가한 34억 달러로 집계됐다. 시장점유율은 31.9%로 전 분기(24.7%)보다 7.2% 상승했다. 이로써 SK하이닉스는 미국의 마이크론(점유율 25.0%)을 제치고 점유율 2위 자리를 되찾았다.
또 삼성전자와의 점유율 격차는 1분기 18.1%에서 2분기 6.3%로 줄었다. 양사의 D램 점유율 격차가 10%포인트 안쪽으로 좁혀진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옴디아는 양사의 점유율 격차가 최근 10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D램 점유율 추이를 보면 삼성전자의 연간 시장점유율이 30%대를 기록한 것은 2013년(36.2%)이 마지막이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최근 10년 동안 연간 점유율이 30%를 넘긴 적이 한 번도 없었다.
이후 삼성전자는 줄곧 40%대 초중반, SK하이닉스는 20%대 중후반의 점유율을 유지해왔다.
올해 1분기에 점유율 3위로 밀려나는 굴욕을 겪은 SK하이닉스가 반등을 만든 것은 AI 열풍 덕분이다. 챗GPT 같은 AI 분야 데이터 처리에 쓰이는 그래픽처리장치(GPU)에 HBM이 대거 탑재되기 때문이다.
또 AI 수요의 강력한 모멘텀이 D램 시장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옴디아는 내다봤다.
옴디아는 "연초 5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던 HBM 수요가 올해와 내년에 100% 이상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GPU 강자인 엔비디아의 '깜짝 실적'도 이런 기대감을 뒷받침하고 있다. 앞서 엔비디아는 지난달 23일 실적 발표를 통해 회계연도 2분기(5∼7월) 매출과 주당순이익이 시장 전망을 각각 20%, 30%가량 상회했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차세대 D램으로 꼽히는 HBM3를 독점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