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6회 칸국제영화제 레드카펫 행사에 참석한 '거미집' 송강호 전여빈 임수정 정수정 장영남 박정숙 김지운 감독(왼쪽부터). 사진제공=바른손이앤에이 김지운 감독의 ‘거미집’은 정부의 영화 검열이 심했던 70년대에 영화를 만드는 과정에서 드러난 인간 욕망의 아이러니를 담은 영화다. 형식적으로는 주인공인 감독이 찍는 영화 속 영화의 내용과, 그 영화를 찍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겹쳐지면서 영화의 자기 쓰기 과정을 탐구하는 독특한 구조로 돼 있다. 신연식 감독이 쓴 각본이 김지운 감독의 세밀한 미장센을 통해 매력적인 블랙코미디로 탄생됐다. 76회 칸국제영화제 비경쟁 부문에 초청돼 월드 프리미어로 선을 보인 이 영화에 대한 현지 반응은 너무도 열광적이었다.
지난 25일 칸 뤼미에르 극장에서 ‘거미집’을 본 관객들은 영화의 곳곳에 숨겨진 코믹 포인트에 웃음으로 반응을 보였다. 엔딩 크레딧이 올라갈 때 가수 장현이 부른 ‘나는 너를’이 흘러나오자 시작된 10여 분간의 기립박수와 김지운을 외치는 관객들의 박수와 호응은 식을 줄을 몰랐다. 한국 기자들과 한국 영화인들은 소리 높여 ‘나는 너를’을 함께 따라 불렀고, 관객들의 박수는 박자를 맞춰가며 끝가는 줄 모르는 듯 했다. 왜 칸국제영화제가 영화 축제인지를 보란 듯이 보여줬다. 필자가 만난 해외 평론가들과 기자들도 ‘거미집’에 대해 물어보면 엄지 손가락을 들어 올리며 호평 일색이었다.
‘거미집’의 주역들과 영화제 공식 기자회견에서 만났다. 김지운 감독과 송강호, 임수정, 오정세, 전여빈, 정수정, 박정수, 장영남 등은 영화에 대한 내외신 취재에 진지하게 답했다. 25일 열린 제76회 칸국제영화제 공식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지운 감독(왼쪽에서 두 번째)과 송강호, 임수정, 오정세, 전여빈, 정수정, 박정수, 장영남. 사진제공=바른손이앤에이 김지운 감독은 “감독이란 직업은 현장에서 여러 경우의 수를 놓고 판단을 빨리 내려야 하기에 시한폭탄을 켜놓고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 때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영화에 대한 (감독의)첫 이미지가 있다. 배우들과 스태프가 참여하면 그 이미지가 구체화된다. (감독)자신의 비전을 영화에 담으려면, 감독이 실패든 성공이든 첫 이미지를 믿어야 한다. 그게 감독이 영화를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지점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김지운 감독은 “영화 속에서 송강호가 연기한 김기열 감독이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이틀만 다시 촬영하면 인생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생각으로 끝까지 악전고투 하는 모습에서 감독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의 모습을 환원해서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송강호는 “과분하게도 네 번 연속으로 (칸에)오게 됐다”면서 “숫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매번 훌륭한 다른 감독과 다른 배우와 함께 왔다는 것이 의미가 있다. 다른 배우들과 톱니바퀴처럼 잘 돌아갔던 것 같다”며 동료들과 앙상블이 잘 됐다고 강조했다.
영화 속에서 베테랑 배우 역을 맡은 임수정은 “김지운 감독의 ‘장화홍련’이 데뷔작이어서 특별한 느낌으로 남아있었기에 다시 작품으로 만나기를 고대해 왔는데, 20년 만에 다시 만나게 돼 감회가 새롭다”고 말했다. 이어 “캐릭터를 어떻게 잡고 연기했느냐”는 질문에 “감독님께서 배우로서 또다른 새로운 얼굴을 찾아주시기 때문에 ‘장화 홍련’과는 다른 모습이 나온 것 같다. 감독님이 임수정은 눈매가 선해 보이니까 질투와 분노의 강한 이미지를 위해 눈분장을 강하고 매섭게 하라고 하셨고, 그래서 강하게 보이도록 연기했다”고 설명했다. 칸영화제 레드카펫에 나란히 선 임수정과 김지운 감독, 정수정. 사진제공=바른손이앤에이 영화 속 영화가 7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터라 극 중 발성과 현재 발성이 차이가 나는 것에 대해선, 임수정은 “김기영 감독님의 ‘하녀’ 같은 영화를 보면서 당시의 톤을 많이 참고로 했다”고 말했다. 또한 “감독님이 신인 배우 역을 정수정이 맡으면 어떨까 말씀했을 때, ‘애비규환’에서 정수정이 너무 뛰어난 연기를 했기에 너무도 반가웠다”고 설명했다.
전여빈은 그간 강렬한 연기를 많이 했는데, ‘거미집’도 그런 점에서 끌렸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자 “작품을 선택할 때, 전여빈이 맡은 역할을 관객이 궁금해지느냐가 배우로서의 동력과 동기가 되는 것 같다. 그런 점에서 극 중 역할의 주저하지 않는 선택을 모험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극 중 일본 유학파로 영화 제작사 재정 담당자를 연기한 전여빈은 “이 모험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서로 처음과 끝이 단계별로 정해져 있지 않고 거미줄처럼 얽혀 있다”면서 “그렇기에 이 소동극이 굉장히 흥미롭게 느껴졌으며, 그중의 한 부분으로 나도 참여한다면 신나는 작업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참여하게 되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