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20일 지난달 22∼28일 전국 성인 10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AI·로봇 분야가 최고로 꼽혔다고 밝혔다. 5∼10년 후 국내 산업을 선도할 유망산업에 관한 질문에 MZ세대는 AI·로봇(3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반도체(19.2%), 이차전지(11.1%), 콘텐츠산업(7.3%), 제약·바이오(6.4%) 등 순이었다.
윗세대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X세대(1975∼1984년생) 와 베이비부머세대(1955∼1974년) 역시 유망산업으로 AI·로봇, 반도체, 이차전지산업을 톱3으로 꼽았다. 세대 구분은 서울대인구학연구실의 기준에 따라 나눴다는 설명이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 3명 중 1명은 인공지능(AI) 기반 대화형서비스인 챗GPT를 사용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챗GPT 사용 경험을 묻자, '호기심에 한두 번 사용해 봤다'는 응답자가 30.2%에 달했다. '실효성과 재미를 느껴 자주 사용한다'는 응답 비율은 5.6%였다. '한 번도 사용해본 적 없다'는 응답자는 64.2%를 차지했다.
세대별로는 X세대에서 한 번 이상 사용해봤다는 응답 비율이 42.2%로 가장 높았다. 이어 MZ세대 40.2%, 베이비부머세대 29.2%였다.
챗GPT 결과 내용을 신뢰하는지에 대해서는 '보통'이란 응답 비율이 62.1%로 가장 많았다. 신뢰한다(그렇다+매우 그렇다)는 응답 비율은 27.4%, 신뢰하지 않는다(그렇지 않다+매우 그렇지 않다)는 응답 비율은 10.5%였다.
특히 국민 10명 중 9명가량이 챗GPT 결과 내용에 대해 '보통 이상' 신뢰도를 드러냈다. 세대별로는 베이비부머세대(93.1%), X세대(91.5%), MZ세대(83.4%) 순으로 보통 이상의 신뢰도를 보였다.
챗GPT의 유용한 기능으로는 정보검색(50.7%), 아이디어 확보(15.3%), 작문·대필(11.9%), 코딩(11.3%), 요약(7.9%) 순으로 답변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