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일간스포츠 미국 뉴욕타임스가 5일(한국시간) 소속사 대표에게 폭행과 추행을 당했다며 법적 대응에 나선 그룹 오메가엑스 사태와 함께 기획사의 착취 논란을 집중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로스엔젤레스 호텔 언쟁 이후 다시 주목받는 K팝 학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지난달 미국 로스엔젤레스 호텔에서 벌어진 오메가엑스 소속사 대표의 폭언·폭행 사건이 한국 연예기획사가 젊은 뮤지션을 착취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다시 불러일으켰다”고 지적했다.
앞서 오메가엑스는 첫 해외 투어가 끝난 후 당시 소속사 대표 A씨가 로스엔젤레스의 호텔에서 멤버들에게 고성을 지르다 멤버 김재한을 밀쳐 바닥에 넘어뜨리는 장면이 시민의 카메라에 포착돼 국내 언론을 탔다.
이후 자비로 귀국한 오메가엑스는 기자회견을 통해 A씨가 상습적으로 성희롱 발언을 하고 멤버들의 허벅지, 얼굴을 억지로 만졌으며 폭언을 일삼았다고 폭로했다. 이들은 법원에 전속계약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했으며 형사고소도 검토 중이다.
이에 대해 A씨는 “오메가엑스가 더 큰 기획사로 옮기기 위해 자신을 상대로 마녀사냥을 한 것”이라고 반박했으나, 해외 반응은 싸늘했다. 오메가엑스의 미국 홍보와 일본 활동을 돕는 현지 회사 최소 2곳이 소속사 스파이어엔터테인먼트와 관계를 단절했고, 스태프 중 A씨의 폭언을 목격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뉴욕타임스는 멤버들의 주장이 K팝 산업의 내부자들이 그동안 내놓은 경험담과 일치하는 내용이라는 전문가들의 평가도 전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소규모 기획사들이 아이돌이 되기를 갈망하는 청년들을 상습적으로 착취한다”고 평가했다.
호주 커틴대의 아시아 대중문화 전문가인 진 리 연구원은 “1990년대 이후 착취의 정도가 체계화하고 일상화했다. K팝이 지배적인 위상으로 올라서고 더 많은 젊은이가 그 안에 끌려들어 오고 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뉴욕타임스는 연예기획사와 아이돌 사이의 계약 문제가 상대적으로 조명을 덜 받아온 데다 계약 체결 시점에는 대부분이 미성년자라는 점에서 더욱 ‘을’의 처지가 되기 쉽다고 했다.
한편 오메가엑스는 서울동부지방법원에 A씨를 상대로 전속계약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했다. 해당 소송은 오는 7일 심문기일을 통해 본격적인 재판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