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한남2구역 재개발 사업을 잡기 위한 대우건설과 롯데건설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이미 조합으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은 양사는 하이엔드 브랜드는 물론 파격적인 이주비 지원안까지 내걸면서 수주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최근 건자재 가격이 상승하는 반면 주택 매매 시장은 냉각된 것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업계는 대우건설과 롯데건설이 부촌의 상징인 한남동에 하이엔드 브랜드를 심고, 홍보 효과를 노리고 있다고 분석한다.
한남2구역 재개발 사업은 서울 용산구 보광동 일대 11만5005㎡ 규모의 부지에 지하 6층~지상 14층 아파트 30개 동 총 1547가구 규모의 공동주택과 근린생활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대우건설과 롯데건설은 각각 하이엔드 브랜드인 '한남 써밋'과 '르엘 팔라티노'를 단지명으로 제안했다. 대우건설은 여기에 '118 프로젝트'라는 혁신 설계를 별도로 제시했다. 건폐율을 기존 32%에서 23%까지 낮췄고, 층수 역시 기존 14층에서 21층 설계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롯데건설은 '베러 댄 호텔'이라는 문구를 걸고, 글로벌 설계 그룹 HBA와 건축가 최시영 등 9명이 협업해 명품 디자인을 적용하겠다고 약속했다. 약 4000평 규모의 호텔식 커뮤니케이션 시설은 덤이다.
양사가 내건 '당근'은 더 있다. 대우건설은 기본 이주비 법정 한도인 주택담보대출비율(LTV) 40% 외에 추가 이주비 110%를 지원해 총 150%의 이주비를 내걸었다. 감정평가액이 적은 조합원에게도 최저 이주비 10억원을 보장했다. 롯데건설 역시 한남2구역 노후주택 유지보수비 명목으로 조합원당 7000만원과 함께 분담금 납부 기한을 입주 4년 후까지 연장했다. 입주 시까지 금융 비용은 롯데건설이 떠안는다는 방침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대우건설과 롯데건설의 이런 제안이 다소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은 0.20% 떨어지면서 2012년 12월 3일(-0.21%) 이후 9년 10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증권가는 DL이앤씨 등 국내 건설사들이 원자재 가격 급등과 주택 사업 부진의 영향으로 목표치를 하향 조정해야 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보광동은 한남2구역으로 불리긴 하지만, 전통적인 부촌인 한남동과 비교할 때 다소 격차가 있는 곳으로 평가받는 곳이기도 하다.
건설사 관계자는 "대우건설과 롯데건설이 조합 측으로부터 규정 위반 등을 이유로 조합으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은 것으로 안다. 서로 압도적인 조건을 제시했다고 자평할 정도로 파격적인 제안을 조합 측에 내놨다"고 말했다. 그는 "한남2구역은 사업성을 떠나 떠오르는 지역인 용산 중에서도 한남동이라는 특성을 고려해 브랜드 이미지를 끌어올린다는 차원에서 들어가는 곳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고 했다.
조합은 오는 29일 1차 합동 설명회를 갖고, 내달 5일 2차 합동 설명회 및 시공사 선정총회를 연다. 준공 및 입주는 2027년 말에서 2028년 초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