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은 부채비율이 커서 자본잠식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서울 서초구의 한 주차장에 세워진 쿠팡 배송 차량. 연합뉴스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지난해 국내 대기업의 부채 규모가 80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부채 비율이 높아진 데다 연내 상환해야 하는 유동부채가 확대되면서 부채의 질이 나빠졌다는 평가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21일 국내 500대 기업 중 지난해 결산보고서를 제출한 366개 기업의 부채 및 유동부채를 전수 조사한 결과, 지난해 대기업의 부채총액은 1524조5884억원으로 2019년(1446조297억원)보다 5.4%(78조5587억원)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자본은 전년보다 3.3%(46조1692억원) 늘었고, 부채비율은 105.8%를 기록해 전년(103.7%)보다 높아졌다.
연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부채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조사 대상 대기업의 지난해 유동부채는 779조7679억원으로 전년(731조3310억원)보다 6.6%(48조4368억원) 증가했다.
상환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유동부채가 1년 새 4.2%(30조1219억원) 늘어난 것과 비교해 유동부채의 증가폭이 커지면서 부채의 질이 나빠졌다.
유동부채비율도 2019년 52.4%에서 지난해 54.1%로 1.7%포인트 높아져 기업들의 단기 부채 상환 부담이 커졌다.
유동부채비율을 통해 본 결과, 쿠팡과 쌍용자동차, 쥴릭파마코리아는 자본잠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미국 증시에 상장한 쿠팡은 창립 후 계속해서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쌍용차는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다. 삼성전자 서비스의 경우에도 유동부채비율이 2846.7%로 높았다.
국내 10대 기업 중에서는 한화의 부채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한화의 부채비율은 273.7%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항공이 부채비율 241.2%인 점을 고려하면 높은 수치다.
부채 규모 면에서는 삼성전자가 75조6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부채비율은 27.4%로 양호했다. 현대차의 부채 규모와 부채비율은 각 59조5000억원과 77.9%였다. LG전자는 20조2000억원 부채 규모에 115.2의 부채비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