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일의 결과물을 선보일 때가 됐다. 2020년 새해, 역대급 만남을 확정지은 배우 이성민이다.
이성민이 1월부터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넘나들며 굳건한 존재감을 뽐낸다. 같은 날 개봉하는 영화가 두 편, 그에 앞서 먼저 선보이는 드라마가 한 편이다. 단 한 작품도 빠짐없이 중요한 시즌 무게감 있게 선보이는 기대작인 만큼 이성민 어깨에 얹어진 책임감도 만만치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배우들의 다작 행보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같은 시기 여러 작품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모습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당장 지난 겨울만 해도 '시동(최정열 감독)'과 '백두산(이해준·김벙서 감독)'으로 관객들과 만났던 마동석이 있고, 이병헌은 '백두산'에 이어 '남산의 부장들(우민호 감독)'으로 쉼없는 활동을 펼친다.
의도치 않은 '겹치기 개봉'이 됐지만 분위기는 좋다. 스스로와 흥행 경쟁에서 모조리 승리했다. 마동석은 연타석 홈런을 날렸고, 이병헌 역시 만족스러운 성과를 일궈냈다. 단순 흥행 뿐만 아니라 '이 배우들 덕택에 잘 됐다'는 호평도 따내는 성과를 일궜다. 그 바통을 이성민이 이어받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마동석과 이병헌이 그러했듯 이성민도 극과 극 장르에서 전혀 다른 매력의 캐릭터를 선보일 예정이라 오히려 반가움이 더 크다.
'미스터 주: 사라진 VIP' 스틸 먼저 스크린에서는 '남산의 부장들'과 '미스터 주: 사라진 VIP(김태윤 감독)'를 오는 22일 나란히 내놓는다. 이성민은 지난 2018년 여름시즌에도 한 주 차로 개봉했던 '공작(윤종빈 감독)', '목격자(조규장 감독)'를 통해 '이성민 vs 이성민'을 이미 치러낸 바 있다. 두 작품 모두 손익분기점을 넘기며 함박미소를 짓기도 했다.
특히 '공작'에서 엘리트 북경 주재 대외경제위 처장이자 북한 외화벌이 총책임자 리명운 역할을 맡아 열연한 이성민은 백상예술대상을 비롯한 주요 시상식 남우주연상을 휩쓸며 완벽한 주연배우로 자리매김한 것은 물론, 흥행보증수표라는 신뢰까지 얻어냈다. 이번에도 두 작품으로 두 마리 토끼 그 이상을 잡을지 관심이 쏠린다.
당시엔 떼주물 시대극과 스릴러의 전쟁이었다면, 이번엔 장르의 폭이 더욱 크다. 떼주물 시대극과 코미디다.'남산의 부장들'은 1979년, 제2의 권력자라 불리던 중앙정보부장이 대한민국 대통령 암살사건을 벌이기 전 40일 간의 이야기를 담아낸 작품이다. '미스터 주: 사라진 VIP'는 국가정보국 에이스 요원 태주가 갑작스런 사고로 온갖 동물의 말이 들리면서 펼쳐지는 사건을 그린 영화다.
'공작'에서 황정민·조진웅·주지훈 사이 발군의 존재감을 드러냈던 이성민은 '남산의 부장들'에서는 이병헌·곽도원·이희준과 호흡 맞췄다. 캐릭터는 더욱 강렬하다. 베일에 싸인 인물 '박통'으로 소개되지만 실존 인물이자, 다소 민감하고 예민할 수 있는 시대적 인물 박정희 전 대통령을 소화해낸 이성민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이성민은 극중 지금껏 보지 못했던 전혀 다른 결의 내면 연기를 소름끼치게 표현해냈다는 후문이다.
이에 따라 '미스터 주: 사라진 VIP' 속 이성민이 연기한 주태주는 '같은 배우 다른 얼굴'의 좋은 예가 될 전망. 주태주는 동물과 대화할 수 있는 능력을 득템한 국가정보국 에이스 요원으로, 엘리트 군견 알리와 함께 사라진 VIP를 추적하며 완벽한 콤비 플레이를 선보이는 인물이다. 다소 까칠하지만 예리한 수사 감각만은 무시할 수 없는 에이스 요원 면모에 코믹 연기까지 능청스럽고 즉흥적인 이성민의 원맨쇼가 준비돼 있다.
여기에 5년만 브라운관 복귀작까지 1월 시청자들을 찾아간다. 대한민국의 운명이 걸린 최대의 금융스캔들 속에서 국가적 비극을 막으려는 이들의 숨가쁜 사투와 첨예한 신념 대립을 그린 드라마 '머니게임'. 이성민은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것을 위해 못할 일이 없는 야망가 금융위 부위원장 허재로 분한다. "공들이지 않은 장면이 하나도 없다"고 자평한 만큼 새 장르의 탄생을 기대케 한다.
한 관계자는 "지난해 개봉한 영화 '비스트'의 성적이 꽤 좋지는 않았지만, 연기력은 이견없는 호평을 받았다. 이제는 자타공인 무게감 있는 배우 반열에 올랐고, 단역부터 주연까지 수 많은 작품 속 차근차근 쌓아 올린 내공으로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 가능한, 스펙트럼 넓은 배우임을 스스로 증명한 케이스다. 새해 무려 세 작품을 선보이는 만큼 배우 이성민의 진가를 더욱 명확히 확인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가 크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