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와 한화는 엎치락 뒤치락하며 0.5~1게임 차를 유지했다. 잡고 잡혔다. 그러나 2일 현재 한화가 롯데를 2게임 차 앞선 채 9위를 지키고 있다. 큰 차이 없던 두 팀의 페이스에 차이가 생겼다. 한화는 지난 주 치른 다섯 경기에서 3승(2패)를 챙겼다. 리그 3위 키움, 4위 LG전에서 1승씩 얻었다. 5강 경쟁을 하고 있는 KT와의 주말 2연전에서도 1승1패를 기록했다. 반면 롯데는 5패(1승)을 당했다.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된 이대호. 연합뉴스 제공 두 팀의 승률은 3할 대에 불과하다. 전력이 약하고 경기 기복도 크기 때문에 2게임 차는 단숨에 좁혀질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롯데에 생긴 변수가 전망을 바꿨다. 롯데는 구단 차원에서 리빌딩 방침을 내세우며 베테랑 채태인(37)을 2군으로 내려보냈다. '대들보' 이대호(37)도 의혹을 남긴 채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됐다.
두 선수가 없는 네 경기에서 롯데는 모두 졌다. 공격력이 저하됐다. 3득점을 한 경기가 없다. 이대호와 채태인이 벤치에도 없는 롯데 타선은 상대 배터리에 부담을 주지 못했다. 롯데의 공격이 한창 잘 풀릴 때는 이대호를 향한 동료들의 믿음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개인 성적이 예년보다 좋지 않은 올 시즌도 의존도는 여전히 높았다.
무엇보다 팀 분위기가 어수선할 수밖에 없다. 지도자들이 전준우, 민병헌, 손아섭 등 중고참급 연차 선수에게 시즌 초반부터 힘을 실어 줬지만 롯데의 리더는 항상 이대호였다. 그가 어떤 리더였는지는 차치한다. 당장 '이대호가 없다'는 익숙하지 않은 더그아웃 분위기 속에서 경기를 치러야 한다. 코칭 스태프는 새 얼굴, 젊은 선수의 출전 기회를 늘리려는 방침을 내세운 상황. 기존 주축 선수는 개인 성적 관리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포스트시즌 진출이 어려운 한화도 롯데와 상황이 비슷하다. 그러나 원래 젊은 선수가 1군에서 꾸준히 기회를 부여받던 팀이다. 롯데에 비해 진정한 의미에 '유종의 미'를 추구할 수 있는 여건이다. 최소한 어수선하지는 않다. 최근에는 무기한 참가활동정지 처분을 받았던 외야수 이용규(34)가 다시 팀에 복귀했다. 겉으로는 갈등이 봉합된 결말. 선수단에도 나쁠 게 없다.
두 팀은 7·8일 대전 한화생명이글스파크에서 시즌 13·14차전을 치른다. 그 전에 소화하는 주중 네 경기에서 현재 승차보다 더 벌어지면 롯데는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 안 좋은 분위기가 맞대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나마 롯데는 상대 전적이 유일하게 앞선 삼성과 주중 첫 2연전을 치른다. 그러나 이어진 LG와의 잠실 원정은 부담스럽다. 최근 원정 12경기 연속 무승이다. 3일 주중 첫 경기부터 리그 에이스 양현종(31·KIA)을 상대해야 하는 한화도 순탄한 일정은 아니다.
두 팀이 애써 최하위 탈출을 노리고 있지 않을 수 있다는 시선도 있다. 특급 유망주로 평가되는 강릉고 2학년 김진욱을 2021 2차 신인 드래프트에서 얻기 위해서 말이다. 전학생인 김진욱이 1차 지명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1순위 지명권을 얻는 올 시즌 최하위 팀이 그를 얻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그러나 단장, 감독이 모두 떠나고 간판 타자까지 연일 구설수에 오르고 있는 롯데에 10위는 치명적이다. 지난해 11년 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한화도 또다시 '꼴찌'라는 수식어가 붙으면 차기 시즌 기대감이 급감할 수 있다. 무조건 벗어나야 한다. 9월 첫째 주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