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isp/image/2019/02/01/isphtm_20190201202453393669.jpg)
안랩이 1일 PC와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하는 설 연휴 기간 중 보안사고 피해 예방을 위해 ‘사용기기별 보안수칙’을 발표했다.
귀성길·휴가지 방문 중에도 스마트폰 사용이 많은 ‘랜선인싸(온라인에서 타인과 잘 어울려 노는 사람들)’라면 고속도로 휴게소, 기차역 등의 공개 와이파이 이용 시 주의해야 한다.
공격자는 주요 공공장소의 공유기를 해킹하거나 기관사칭 무료 와이파이를 개설해 해당 와이파이에 접속한 기기(스마트폰, 패드 등)의 정보 탈취를 시도할 수 있다.
또 명절에 기차표·항공권·숙박 예약, 여행지 정보 검색, 지인간 선물 교환, 안부인사 등으로 스마트폰 이용이 활발해진다.
공격자는 이를 노려 여행정보, 기차표·항공권, 택배, 안부 인사 등 명절 관련 내용을 사칭한 SMS(문자메시지), 이메일 등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금융정보, 주소록, 사진 등 민감한 개인 정보가 많아 더욱 주의해야 한다.
이에 꼭 지켜야 하는 스마트폰 기본 보안수칙으로는 공공장소에서 공개 와이파이 이용 시 제공자를 꼼꼼히 확인하고, 해당 와이파이에 연결된 기기로 금융거래를 자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출처가 불분명한 명절 관련 정보성(여행, 기차표/항공권, 택배, 안부인사 등) 문자메시지나 SNS, 메일 첨부 파일 및 URL 실행을 자제해야 한다.
스마트폰에 모바일 백신을 설치하고 업데이트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집에서 PC로 영화시청, 게임 등을 즐기는 ‘혼놀족(혼자노는 사람들)’이라면 보안 취약 웹사이트를 조심해야 한다.
안랩은 최근 토렌트 사이트, 불법 성인사이트 등 보안 취약 웹사이트에 악성광고를 올려 정보탈취 및 랜섬웨어 감염 유발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를 발견한 바 있다.
또 토렌트나 파일 공유 사이트를 중심으로 동영상, 게임, 만화 등 유명 콘텐트를 사칭해 악성코드를 유포한 사례도 있었다.
연휴기간에도 유사한 보안위협이 발생할 수 있어 ‘PC 기본 보안수칙’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OS(운영체제) 및 인터넷 브라우저(IE, 크롬 등), 오피스 SW 등 프로그램의 최신 버전을 유지해야 한다.
또 V3 등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자동 업데이트 및 실시간 감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성이 확인되지 않은 웹사이트 방문 자제 및 불법 공유 SW/콘텐트도 이용하지 않아야 한다.
안랩은 이번 설 연휴 기간 동안에 주요 대응 부서는 24시간 근무 체제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