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는 오는 9월 30일 와이브로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30일 밝혔다.
2006년 개시된 와이브로 서비스는 우리나라 토종 기술로, LTE보다 5년 빨리 상용화됐다. 이후 12년 동안 정부 지원으로 세계 주요 국가에 수출됐다.
그러나 각국의 이해관계로 글로벌 확장이 어려워졌고, LTE-A나 5G 등 기술 진화와 대체 서비스가 급성장해 와이브로 단말·장비의 생산 중단 및 서비스 가입자 하락으로 인해 사업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이에 2012년 105만 명에 달했던 국내 와이브로 가입자 수는 현재 KT 5만 명, SK텔레콤 1만8000명 등 총 6만8000명 수준으로 줄었다.
KT는 와이브로 서비스 종료에 따라 LTE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와이브로 이용 고객이 추가 비용 부담 없이 'LTE 에그 플러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와이브로 이용 고객이 해지를 원하거나 LTE 에그 플러스로 전환할 경우 기존 위약금과 단말 잔여 할부금이 모두 면제된다.
신규 LTE 에그 플러스 단말 구매에 따른 고객 부담금도 보급형 단말 공시 지원금 기준으로 24개월 약정 시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단말 무료 교체 프로그램은 9월 말 서비스 종료 전까지 전환하는 고객에게 적용된다.
와이브로 하이브리드 요금제를 이용 중인 고객은 별도의 단말 교체 없이 LTE 에그 플러스 요금제로 전환되며, 이는 와이브로 하이브리드 요금제와 같은 가격에 10%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KT는 오는 9월 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종료 승인이 나더라도 네트워크 종료는 연말까지 단계적으로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내년 3월 와이브로 주파수를 반납해야 하는 SK텔레콤도 서비스 종료를 검토하고 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