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isp/image/2018/05/28/isphtm_20180528165330333108.jpg)
‘라돈 매트리스’로 논란이 된 대진침대의 2010년 이전 생산 제품에서도 고농도 방사능이 검출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28일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서울 종로구 피어선빌딩에서 라돈 침대 관련 2차 기자회견을 열고 대진침대의 2010년 이전 제품에 대한 방사능 측정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센터는 지난 20일 서울 여의도에 거주하는 대진침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2007년 구매했다는 대진침대 ‘뉴웨스턴슬리퍼’에 대해 방사능을 측정했다.
그 결과 해당 제품에서 연간 피폭 기준 1미리시버트의 6.6배에 해당하는 시간당 0.724마이크로시버트가 검출됐다.
센터 관계자는 “실내 라돈 측정기인 ‘라돈아이’로 측정하니 라돈이 254베크렐이 나왔다”며 “이는 안전기준 148베크렐의 1.7배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그동안 원자력안전위원회가 3차례 발표한 조사 결과와 차이가 있다.
앞서 원안위는 2010년 이후 생산된 제품에서만 연간 기준치 이상의 라돈과 방사능 수치가 나왔다고 발표한 바 있다.
센터 관계자는 “이달 25일 발표한 원안위의 3차 보도자료에도 2010년 이전에 생산된 라돈침대는 누락돼 있었다”고 강조했다.
‘라돈 침대’ 논란으로 대진침대가 교체한 매트리스 모델에서도 높은 수치의 라돈이 측정됐다는 주장도 나왔다.
센터 관계자는 “대진침대는 서울 노원구 한 아파트에서 대진침대 매트리스 ‘네오그린헬스’를 회수한 뒤 이달 제조돼 안전하다는 ‘모젤’로 교체했다“며 ”하지만 새 매트리스에서도 안전기준의 6배가 넘는 932베크렐의 라돈이 측정됐다“고 밝혔다.
해당 침대 사용자는 원안위에 이 내용을 알렸고, 현재 문제의 ‘모젤’ 매트리스는 원안위가 인수해 간 상태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