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스포츠일반

T1, 통산 9번째 LCK 우승…젠지에 3-0 완승

e스포츠팀 T1이 9번째 ‘LoL 챔피언스 코리아(이하 LCK)’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T1은 25일 서울시 종로구 롤파크에서 열린 ‘2020 LCK 스프링’ 결승전에서 젠지 e스포츠를 3대 0으로 꺾고 우승했다. 이날 경기는 코로나19로 롤파크에서 무관중으로 진행됐다. 1세트는 젠지에게 유리하게 시작했다. T1이 규정을 위반해 밴 카드 두 장을 잃은 채로 경기가 시작됐다. 그러나 T1은 흔들리지 않았다. 경기 초반 부쉬에 와드를 박기 위해 깊숙이 침투한 젠지의 ‘비디디’ 곽보성을 T1의 정글러 ‘커즈’ 문우찬이 놓치지 않고 잡아내면서 선취점을 얻었다. 이후 문우찬의 성장을 바탕으로 미드라이너 ‘페이커’ 이상혁과 원거리 딜러 ‘테디’ 박진성이 날카로운 데미지를 계속해서 퍼부었다. T1은 우세한 킬과 골드 획득량을 바탕으로 완벽한 T1식 운영을 펼쳤고, 경기 시작 45분 만에 ‘내셔 남작’ 앞 한타에서 대승한 후 그대로 상대 넥서스를 파괴하는데 성공했다. T1은 2세트도 손쉽게 따냈다. 문우찬과 이상혁의 활약이 돋보였다. 경기 초반 팽팽하게 흐르던 긴장감은 T1이 첫 번째 ‘드래곤’을 획득한 후 깨졌다. 문우찬이 젠지의 공격을 아슬하게 피하면서 역습에 성공하였고, T1은 흐름을 완전히 자신들의 쪽으로 가져왔다. 이후 다시 한번 문우찬이 젠지의 원거리 딜러 ‘룰러’ 박재혁을 잡으며 영향력을 과시했다. 24분 경 벌어진 한타에서 T1이 대승한 뒤 ‘내셔 남작’ 버프를 얻고 골드 격차를 7000골드까지 벌리며, 29분 자신들의 진영에서 강렬히 저항하던 젠지를 뚫고 넥서스를 파괴하며 1승을 추가했다. T1은 3세트도 29분 만에 가져갔다. 문우찬는 경기 초반 탑 갱킹에 성공하며 같은 팀의 ‘칸나’ 김창동의 오른이 안정적인 버팀목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하였다. 이후 연달아 이어진 ‘협곡의 정령’과 ‘드래곤’ 강타 싸움에서 모두 이기며 팀의 성장을 이끌었다. 경기 초반 라인전 주도권을 갖고 폭발적인 성장 이뤄낸 ‘칸나’ 감창동는 기세를 몰아 바텀에서 2대 1 싸움을 이긴 후 이어진 ‘내셔 남작’ 앞 전투에서 철옹성같은 모습으로 적들을 무력화하면서 승리에 쐐기를 박았다. 22분 ‘드래곤’ 앞 한타에서 상대팀 전원을 처치한 T1은 경기 시작 29분 만에 젠지의 넥서스를 파괴했다. 이날 파이널 MVP는 3경기 내내 ‘소환사의 협곡’ 전체를 지배하며 우승에 혁혁한 공을 세운 문우찬로 선정됐다. 이번 우승으로 통산 9번째 우승에 성공한 T1은 우승 상금 1억 원(총상금 3억 원)을 거머쥐었다. 또, 3스플릿 연속 우승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두 번이나 달성했다. 2020 LCK 서머 승강전은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다. 샌드박스 게이밍과 그리핀, 챌린저스에서 올라온 서라벌 게이밍과 팀 다이나믹스가 2장의 LCK 진출권을 놓고 승부를 펼칠 예정이다. 2020 LCK 서머는 오는 6월 17일 열린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20.04.26 12:12
경제

김가을, 위기의 그리핀 구원투수로…“선수·팬과의 소통 리더십 기대”

김가을 전 삼성 갤럭시 사무국장이 e스포츠팀 그리핀의 구원투수로 등판했다. 카나비 선수의 노예계약 논란으로 촉발된 일명 ‘카나비 사태’로 위기를 맞은 그리핀을 재건하는 책임을 맡았다. 스틸에잇은 지난 27일 그리핀 신임 대표 겸 단장으로 김 전 사무국장을 선임했다. 김 신임 대표는 프로게이머에 감독·사무국장 등을 두루 경험한 대표적인 1세대 e스포츠인이다. e스포츠 태동기인 2000년부터 스타크래프트 선수로 활동했으며, 삼성전자 칸 감독을 거쳐 삼성 갤럭시의 사무국장을 지냈다. 특히 선수 시절 각종 여성부 리그를 수차례 우승했고, 2004년 삼성전자 칸 감독으로 부임한 뒤 2007년 프로리그 감독상 수상, 2008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우승, 2012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시즌2 정규시즌 우승 등 맹활약했다. 김 대표는 삼성전자 갤럭시 사무국장 시절에는 2016년 LOL 월드챔피언십 준우승, 2016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 시즌 XI 경기 우승, 2017 LOL 월드챔피언십 우승을 이끌며 ‘리그 오브 레전드(LoL) e스포츠’에서도 실력을 입증했다. 스틸에잇은이같은 실력과 함께 지도자 시절에 선수나 스태프들과 호흡을 맞춰 팀을 잘 이끌었고, e스포츠팬 사이에서도 이미지가 좋다는 점에서 김 대표를 낙점한 것으로 알려졌다. e스포츠계 관계자는 “스틸에잇이 팀을 추스르는 것뿐 아니라 악화한 팬심을 되돌릴 수 있는 리더를 찾는 데 고심한 것으로 안다”며 “그런 점에서 그동안 선수들과의 소통 리더십을 보여준 김 단장이 적임자다”고 말했다. 단장을 겸임한 김 대표는 올해까지 진에어 그린윙스 LoL팀을 이끌었던 한상용 감독과 함께 그리핀 재정비에 나선다. 김 대표는 “중책을 맡아 어깨가 무겁다”며 “더욱 건강해진 LoL 구단 그리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스틸에잇은 카나비 사태와 관련해 종목사인 라이엇게임즈가 요구한 서경종 대표 등 경영진의 퇴진을 받아들여 지난 26일 이들에 대한 사임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 해당 경영진의 지분 매각도 내년 LCK 스프링 시즌 후 승강전까지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19.12.31 07:00
생활/문화

LCK 우승으로 부활한 T1…SKT, e스포츠 사업에 힘 싣는다

SK텔레콤이 인기 e스포츠 리그인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이하 LCK)’에서 우승, e스포츠 콘텐트 산업 공략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SK텔레콤 e스포츠팀인 T1은 13일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2019 스무살 우리 LCK’의 스프링 결승전에서 그리핀을 3-0으로 꺾고 우승했다.LCK는 국내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이하 LoL)'로 진행하는 지역 리그다. 특히 전 세계에서 진행되는 지역 리그 중 '롤드컵'으로 불리는 LoL 월드챔피언십·MSI(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롤 올스타전 등 LoL 3대 국제 대회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수준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SK텔레콤은 이날 승리로 통산 7번째 LCK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으며 우승 상금 1억원을 거머쥐었다.더구나 작년 부진을 말끔히 씻어냈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 SK텔레콤은 작년 LCK 스프링 4위, 서머 7위를 각각 기록한 데 이어 LoL 국제 대회 중 가장 큰 롤드컵에도 나가지 못했다. 롤드컵 3회 우승팀으로 자존심이 상한 한 해였다.그러나 올해는 팀의 상징인 '페이커' 이상혁을 제외하고 선수 대부분을 교체하며 전력을 새롭게 하고, LCK 우승컵까지 다시 찾아오면서 LoL 명문팀의 컴백을 알렸다.T1의 이번 우승은 최근 e스포츠 콘텐트 산업 공략에 시동을 건 SK텔레콤에게는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SK텔레콤은 지난 2월 미국의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그룹 컴캐스트와 e스포츠·게임 공동 사업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데 이어 지난 11일에는 LCK를 비롯해 롤드컵·MSI·올스타전의 중계권을 확보했다.이는 SK텔레콤이 e스포츠 콘텐트 산업에 본격 뛰어든 것이다.이런 상황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선수인 페이커와 그 팀인 T1이 이번 LCK 우승으로 다시 부활을 알려 SK텔레콤은 향후 e스포츠 사업 전개에 있어 천군만마를 얻게 됐다.SK텔레콤은 LCK에서 5G 마케팅을 펼칠 예정인데, 자사 팀과 페이커가 잘할수록 마케팅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특히 롤드컵 등 국제 대회에서 페이커와 T1이 활약한다면 전 세계적으로 주도권 경쟁이 불붙은 5G 리더의 이미지를 세계 젊은층에게 손쉽게 심을 수 있다. 작년 롤드컵 결승전의 순 시청자 수는 9960만 명에 달했다.SK텔레콤은 LCK와 관련해 AR·VR 콘텐트도 개발할 계획인데, 명문 LoL e스포츠팀을 갖고 있어 콘텐트 품질은 물론이고 소구력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한 e스포츠 업계 관계자는 "T1이 롤드컵 등 국제 대회에 가면 항상 'SKT'를 연호하는 글로벌 팬들이 있다"며 "이들을 상대로 마케팅을 하면 아주 큰 효과를 볼 수 있는데 그동안 SKT가 글로벌하게 마케팅을 펼칠 상품이나 서비스가 없어 아쉬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하지만 이제 SKT가 e스포츠 사업을 적극 펼치고 있어 페이커나 T1이 좋은 성적을 내면 회사 사업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 13일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2019 스무살 우리 LCK’의 스프링 결승전에서 우승한 SK텔레콤 선수 및 코칭 스태프들. 라이엇게임즈 제공 2019.04.15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