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1건
프로야구

후반기 타율 0.413, 퇴출 위기 잠재운 '외국인 연봉 1위'의 위엄 [IS 피플]

SSG 랜더스 외국인 타자 기예르모 에레디아(34)가 '후반기 반등'에 성공했다.에레디아의 후반기 첫 19경기 타율은 0.413(63타수 26안타)에 이른다. 전반기 0.277에 머물렀던 시즌 타율도 어느새 0.314까지 올랐다. 시즌 출루율(0.380)과 장타율(0.445)을 합한 OPS는 0.825이다.에레디아는 전반기 '위기의 남자'였다. 지난 시즌 KBO리그 타격왕(0.360)에 오르며 올해 외국인 선수 최고 연봉(160만 달러·22억원)을 보장받았으나 성적표가 기대 이하였기 때문이다. 가장 큰 원인은 부상. 지난 4월 오른 허벅지 종기(모낭염) 증상으로 6주간 이탈, 라이언 맥브룸이 부상 대체 선수로 그의 빈자리를 대신하기도 했다. 지난 6월 3일 1군에 복귀한 뒤에는 한동안 타격감이 오르지 않았다. 첫 6경기 타율이 0.160(25타수 4안타). 1991년생으로 적지 않은 나이가 맞물려 '퇴출론'이 고개를 들기도 했다. SSG로선 에레디아와 함께 중심 타선을 책임져야 할 최정마저 부진에 빠져 난감한 상황의 연속이었다. 지난달 초 이숭용 SSG 감독은 "최정과 에레디아가 못 쳐주는 게 큰 거 같다. 쳐야 할 때 못 친다"며 "두 선수가 작년엔 중심을 잡아줬는데 올해는 힘들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기우였을까. 에레디아는 조금씩 타격감을 끌어올렸다. 분위기 전환의 터닝 포인트는 수비였다. 여러 차례 나이스 캐치로 특유의 흥을 끌어올리더니 상승세를 타석까지 연결했다. 지난달 22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전부터 선발 출전한 15경기 중 14경기에서 안타를 때려냈고 이 중 9경기가 멀티 히트였다. 이 기간 타율이 0.429로 리그 1위이다.잠잠했던 홈런도 터지기 시작했다. 지난 7일 인천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8경기 만에 시즌 6호 홈런을 때려낸 데 이어 10일 부산 롯데 자이언츠전에선 6회 쐐기를 박는 스리런 홈런까지 폭발했다. 팀 내 분위기 메이커인 에레디아가 신바람을 내니 선수단 분위기도 달라졌다. 에레디아는 "긴 부상 공백 동안 팀에 도움이 되지 못해 늘 미안한 마음이 컸다"며 "타석에서의 집중력이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것 같아 기쁘다. 사실 타격감 자체에 크게 연연하진 않는다. 지금 가장 중요한 건 건강하게 매일 그라운드에 서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매 경기 나가는 걸 목표로 삼고 있고, 몸만 잘 버텨준다면 타격은 자연스럽게 따라올 거라 믿는다"며 "팀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꾸준히 해나가고 싶다"라고 힘주어 말했다.인천=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8.12 15:24
프로야구

"더 일찍 쳤으면 어땠을까" LG 1위 이끈 한방인데, 4번 타자의 반성

LG 트윈스의 52일 만에 1위 탈환을 이끈 결정적 한방은 4번 타자 문보경(25)의 방망이에서 나왔다. LG는 지난 5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의 홈경기에서 4-2로 역전승했다. 이로써 지난달 29일 KT 위즈전부터 7연승의 신바람을 탔다.LG는 이날 승리로 승차 없이 승률에서 0.004 앞섰던 한화를 밀어내고 52일 만의 단독 선두가 됐다. LG는 후반기 16경기에서 14승 2패를 기록 중이다. LG는 이날 7회까지 1-2로 뒤졌으나, 7회 말 2사 1·2루에서 문보경의 3점 홈런(시즌 21호)으로 승기를 잡았다. 후반기 14승 중 역전승이 8차례다. 문보경은 경기 후 "팀이 1위로 올라서 정말 좋다. 남은 40경기를 잘 풀어나가 마지막에 정상에 서고 싶다"라고 말했다. 홈런의 짜릿한 순간을 묻자 문보경은 "이전 타석에서 모두 찬스를 맞았는데 이를 득점으로 연결 짓지 못해 아쉬웠다"라고 반성했다. 문보경은 0-0이던 3회 말 2사 만루서 초구 땅볼로 물러났고, 1-2로 끌려가던 5회 말 1사 2루에서 역시 내야 땅볼로 아웃됐다. LG는 1-2로 뒤진 7회 말 2사 후 문성주의 내야 안타와 오스틴 딘의 안타로 1, 2루 찬스를 잡았다. 이날 경기에서만 세 번째 득점권 타석을 맞은 문보경은 결국 해결사 본능을 발휘했다. 그는 두산 왼손 불펜 고효준의 시속 130.5㎞ 슬라이더를 받아쳤다. 타구는 37.1도의 높은 포물선을 그리며 우측 담장을 넘어갔다. 비거리 114m의 역전 3점 홈런은 결승타로 기록됐다.문보경은 "혹여 파울이 되지 않을까 걱정했다"라며 "물론 3점 홈런이 결정적이었지만 '(앞선 득점권에서) 좀 더 일찍 쳤으면 어땠을까' 싶었다. 그래서 7회에는 어떻게든 해결하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염경엽 LG 감독은 "7회 가장 중요한 순간에 문보경이 3점 홈런으로 4번타자다운 클러치 능력을 보여줬다"라고 칭찬했다.문보경은 이날 시즌 21호 홈런으로 전체 3위이자, 국내 선수 최다 홈런 1위(한화 이글스 노시환 20개 2위)가 됐다. 남은 경기에서 홈런 두 개만 추가하면 개인 한 시즌 최다홈런(2023년 22개)을 경신한다. 지난 6월 극심한 타격 슬럼프를 겪은 문보경은 최근 10경기에서 5홈런을 몰아쳤다. 올 시즌 타점(85개)과 득점(70개) 2위, 출루율(0.395)과 장타율(0.514)은 각각 5위다. 그는 "7월 말 광주 원정부터 타격감이 좋아졌다"라며 "최근 상대에 끌려가도 절대 패배하지 않을 거 같은 분위기"라고 전했다. 그는 "오스틴이 복귀해 확실히 좋다. 마음이 편하다"라고 반겼다. 잠실=이형석 기자 2025.08.06 08:44
프로야구

개막 13승 2패→후반기 13승 2패, 어떻게 다른가…다시 찾아온 우주의 기운

개막 초반 압도적인 위용을 자랑했던 LG 트윈스가 후반기에 다시 신바람을 타고 있다. 염경엽 LG 감독이 말했던 "우주의 기운"이 점점 근접해 오고 있다. LG는 지난 3일 대구 원정에서 삼성 라이온즈에 6-3, 7회 강우콜드 게임승을 거뒀다. 지난주 6경기를 모두 승리로 장식한 LG는 선두 한화 이글스와 승차 없이 승률에서 0.004 뒤진 2위에 자리했다. 7월 21일 기준으로 한화에 5.5경기 뒤져 있던 승차를 2주 만에 싹 지웠다. LG는 개막 후 15경기에서 13승 2패를 기록했고, 후반기에도 지난 18일 롯데 자이언츠전을 시작으로 이달 3일까지 15경기에서 마찬가지로 13승 2패를 올렸다. LG는 개막 후 15경기에서 팀 평균자책점(2.44)과 팀 타율(0.283) 모두 1위였다. 이 기간 103득점을 올렸고, 36점만 내줬다. 1~3점 차 승부가 두 번(2승)밖에 없을 만큼 일찌감치 격차를 벌려 상대를 초전박살 냈다. 후반기 첫 15경기에선 팀 평균자책점은 3.05로 2위, 팀 타율은 0.292로 1위다. 특히 후반기 13승 가운데 역전승이 7번에 이른다. 또 1~3점 차 승부가 총 11차례 많았는데 9승 2패를 기록했다. 경기 후반 무서운 뒷심과 집중력을 자랑한다. 출발점은 지난달 22일 광주 원정에서였다. LG는 이날 '5선발' 송승기를 앞세워 '에이스' 제임스 네일이 등판한 KIA 타이거즈를 7회까지 4-1로 앞섰다. 그러나 8회 말 불펜진이 무너지며 6점을 뺏겨 패색이 짙었으나, 9회 초 박해민의 동점 3점 홈런 등을 앞세워 9-7로 역전했다. 염경엽 LG 감독은 "2년에 한 번 나올 만한 경기였다"라고 반겼다. LG는 다음날 연장 10회 문보경의 결승 홈런, 24일에는 0-0이던 8회 8점을 뽑아 광주 원정에서 4437일 만에 싹쓸이 승리를 거뒀다. 서울로 돌아온 염경엽 감독은 "우주의 기운이 (선두) 한화에 아직 있다. 그러나 우리 팀에도 우주의 기운이 조금씩 오는 것 같다"라고 반겼다. 지난 3일 대구 원정에서도 하늘의 도움에 반색했다. LG가 6-3으로 앞선 7회 말 수비를 마치고 강우콜드 게임이 선언됐다. LG는 1~2일 삼성전에서 김진성-장현식-유영찬을 모두 투입해 3일에는 등판이 어려웠는데, 우천으로 인해 필승조 투입 없이 경기를 매조졌다. 삼성이 타자 친화적인 홈구장에서 폭발적인 타격과 높은 팀 승률(0.566, 원정 0.383)을 기록 중인 점을 고려하면 8~9회 수비를 하지 않은 것이 다행이다. 반면 한화는 지난 2~3일 광주에서 열릴 예정이던 KIA전이 이틀 연속 우천 순연돼 손 쓸 틈도 없이 LG에 60승 선착을 허용했다. 역대 정규시즌 60승 선착 팀의 정규시즌 우승 확률은 77.1%(35차례 중 27차례)다. 쫓기는 입장에서 쫓는 입장으로 변화도 부담을 덜어준다. 4번 타자 문보경은 "2023년 통합 우승 당시 6.5경기 차 앞선 때도 '언제 따라잡힐 지 모른다'라는 불안함이 있었다. 지금은 한화가 쫓기는 입장이라 더 부담을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석 기자 2025.08.05 05:10
프로야구

후반키 LG 키플레이어 맞네, '주간 3승1S' 장현식이 돌아왔다

LG 트윈스 후반기 키플레이어 장현식(30)이 구위를 회복하자, 팀도 상승세를 타고 있다. LG는 지난 20일 롯데 자이언츠전부터 26일 두산 베어스전까지 6연승의 신바람을 타며 선두 한화 이글스를 3경기 차로 바짝 추격했다. '필승조' 장현식의 역할이 컸다. 장현식은 이번주 LG가 치른 5경기 중에 4차례 등판해 3승 1세이브를 올렸다. 장현식은 지난해 11월 LG와 4년 총 52억원 전액 보장 조건으로 FA(자유계약선수) 계약했다. 그러나 장현식은 전반기 30경기에서 2패 9홀드 2세이브 평균자책점 2.76에 머물렀다. LG가 기대한 성적은 아니었다. 장현식은 미국 애리조나 스프링캠프 도중 발목을 다쳐 4월 초 지각 합류했고, 5월 중순 부상으로 다시 한 달 정도 자리를 비웠다. 장현식은 6월 이후 평균자책점 4.50으로 부진했다. 이에 다른 불펜 투수에게 부담이 가중됐고, 경기를 내주기도 했다. 염경엽 LG 감독은 "분명 지난해 (KIA에서) 많이 던진 영향이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장현식은 지난해 80과 3분의 1이닝(포스트시즌 포함)을 던졌는데, 이는 선발 투수로 뛴 2017년(134⅓이닝)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투구였다. 등판 횟수는 커리어 최다인 75경기였다. 염 감독은 "현식이가 올해 (부상 등으로) 전반기에 (29⅓이닝으로) 많이 던지지 않았다"라며 "후반기에 좋은 역할을 해주면 불펜 운영에 훨씬 여유가 생기지 않을까 싶다"며 후반기 키플레이어로 꼽았다. 장현식은 지난 22일 광주 KIA전 4-6으로 역전 당한 8회 말 1사 후 등판해 아웃카운트 두 개를 잡았고, 팀이 9-7로 기적같은 역전승을 거둬 행운의 승리 투수가 됐다. 다음날엔 4-4로 맞선 8회 말 등판해 2이닝을 무실점으로 책임졌다. LG가 연장 10회 초 문보경의 2점 홈런 속에 6-5로 승리하자, 염경엽 감독은 "장현식이 2이닝을 책임져 승리의 발판을 만들었다"라고 말했다.장현식은 하루 휴식 뒤 25일 잠실 두산전 3-4로 뒤진 8회 말 1이닝 무실점으로 막았고, LG가 9회 초 결승점을 뽑아 이번 주에만 3승째를 챙겼다. 26일 두산전은 마무리 유영찬을 대신해 1과 3분의 1이닝 세이브를 거뒀다. 장현식은 이번 주 4경기에서 총 5이닝 동안 3피안타 무실점으로 호투했다. 멀티 이닝만 두 차례 소화하는 등 필승조에서 가장 든든한 모습이었다. 염경엽 감독은 7월 초 장현식의 부진에도 "구속이 점차 올라온다"라고 기대했다. 장현식의 올 시즌 직구 평균 구속은 146.5㎞. 이번 주에는 최소 147㎞~최고 149.8㎞에 형성되며 좋은 모습이다. 이형석 기자 2025.07.27 11:13
프로야구

"우리가 뛰는 원동력" 진격의 삼성, 사상 첫 160만 관중 간다 [IS 포커스]

삼성 라이온즈가 KBO리그 역대 단일 시즌 최다 관중 기록을 갈아치울 기세다.27일 기준으로 삼성의 올 시즌 홈 경기 관중은 평균 2만2806명이다. 만석(2만4000석) 대비 좌석 점유율이 95%에 이른다. 50경기에 누적 114만294명을 동원, 현재 페이스를 고려하면 잔여 경기(21경기)에서 약 48만명을 추가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산술적으로 160만명 돌파가 가능하기 때문에 지난 시즌 LG 트윈스가 달성한 역대 단일 시즌 최다 관중 기록(139만7499명)을 가뿐하게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삼성의 구단 단일 시즌 최다 관중 기록은 지난해 달성한 134만7022명이다. 1982년 출범한 프로야구 원년 구단 중 하나로 창단 42년 만에 100만 관중 시대를 열었는데 올해 페이스가 더 가파르다. 폭염 속에서 치러진 후반기 첫 3경기 홈 관중이 2만4000명(매진)-2만2896명-2만3304명으로 매진 혹은 매진에 준하는 수준이었다. 특히 주중 SSG 랜더스와의 홈 경기는 무더운 날씨와 매치업 등을 고려해 관중 동원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는데 결과는 달랐다. 가뿐하게 2만석 이상을 채워 빈자리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였다. 삼성은 지난 시즌 '성적'이라는 확실한 관중 유입 원동력이 있었다. 정규시즌을 2위로 마쳐 2021년 이후 세 시즌 만에 가을야구 문턱을 넘는 등 그라운드 안팎에서 신바람을 냈다. 그런데 올해 분위기는 약간 다르다. 전반기 8위에 머무는 등 1년 전과 비교해 성적에 기복이 크다. A 구단 마케팅 관계자는 "삼성의 관중 동원은 성적이나 날씨, 매치업 등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리그에서 안정적인 팬 베이스(기반)를 갖춘 거 같다"며 "삼성이 원정으로 오는 경기에서도 관중은 꽤 꾸준하다. 리그 전체 관중에도 영향을 끼친다"라고 말했다. B 구단 마케팅 관계자는 "대구는 전국적으로 사람이 몰리는 랜드마크나 유통 시설이 적어 보인다. 야구장이 다른 지역 대비 더욱 핫플레이스가 되는 거 아닐까 싶다. 가성비 좋은 야구가 빈자리를 채운다"라고 분석했다. 삼성은 후반기를 연승으로 시작했다. 전반기 8위에 머문 팀 순위도 조금씩 끌어올렸다. 5강 경쟁이 치열해지면 관중 동원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홈 경기 평균 관중이 시즌을 치를수록 조금씩 상향하고 있다는 게 고무적이다. 선수들도 반색한다. 주장 구자욱은 "(무더운 날씨에도) 팬분들이 찾아와주시고, 응원도 열심히 해주신다. 그 힘을 받아서 저희가 뛰게 되는 원동력이 된다"라고 감사함을 전했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7.27 10:12
프로농구

[IS 승장] 1달 만에 최하위 탈출…김상식 감독 “브레이크까지 이길 수 있도록”

김상식 안양 정관장 감독이 시즌 첫 3연승에 성공한 뒤 미소 지었다. 동시에 다가올 휴식기까지 연승을 이어가겠다고 외쳤다. 김 감독이 이끄는 정관장은 28일 고양소노아레나에서 열린 2024~25 KCC 프로농구 정규리그 원정경기서 소노에 94-69로 크게 이겼다. 정관장은 시즌 첫 3연승에 성공, 지난해 12월 28일 이후 한 달 만에 최하위 명찰을 벗었다. 9위(11승 23패)에 오른 정관장은 후반기 반등을 외친 바 있다. 트레이드를 통해 합류한 디온테 버튼이 이날 24점 6리바운드로 맹활약했다. 조니 오브라이언트 역시 17점을 보탰다. 검증된 외국인 선수들의 활약에, 국내 선수 박지훈(16점) 정준원(14점) 배병준(13점) 등도 신바람을 냈다. ‘승장’ 김상식 감독은 경기 뒤 공식 기자회견에 참석해 “선수들이 열심히 했다. 전반에 3점을 많이 허용했지만, 정비 후 잘 막아줬다. 외국인 선수들도 열심히 해주니 팀 전체가 힘이 나는 것 같다. 팀워크가 잘 맞았다”라고 웃어 보였다.김상식 감독은 시즌 첫 3연승에 대해 “선수들도, 그리고 팬들이 가장 좋아할 것 같다. 휴식기까지 4게임 남았는데, 이길 수 있도록 하겠다. 그 이후로는 이종현, 변준형, 김종규 선수가 돌아온다. 합을 맞추는 게 중요할 것 같다. 상승세 이어서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한편 정관장 입장에선 다음 일정이 진짜 시험대다. 상위 팀인 울산 현대모비스, 부산 KCC< 서울 SK를 차례로 만난다. 김상식 감독은 “선수단 변화 뒤 붙어보진 않았지만, 이길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끝으로 김상식 감독은 “박지훈 선수가 주장을 맡고 열심히 해주고 있다. 배병준, 정준원 등 고참 선수들도 함께 얘기를 많이 해주고 있다. 선수들이 다 열심히 해주고 있다. 나도 열심히 치료하고 있다. 이기니까 덜 아픈 것 같다”라고 웃었다.정관장은 오는 2월 1일 현대모비스와의 홈경기를 벌인다.고양=김우중 기자 2025.01.28 18:40
프로야구

'무섭다 한화' 후반기 1위 KT까지 잡고 4연승, "무더위 혼신의 힘 다한 선수들 고맙다" [IS 승장]

한화 이글스의 기세가 무섭다. '후반기 상승세' KT 위즈까지 꺾고 신바람 4연승을 달렸다. 한화 이글스는 30일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린 2024 신한은행 SOL 뱅크 KBO리그 KT 위즈와의 원정 경기에서 6-4로 이겼다. 이날 승리로 한화는 4연승을 달렸다. "5이닝 이상 던져달라"는 김경문 감독의 바람대로 선발 투수 제이미 바리아가 6회까지 비교적 잘 버텨줬다. 바리아는 이날 5⅔이닝 동안 85개의 공을 던져 8피안타(1피홈런) 3탈삼진 4실점하며 승리 투수가 됐다. 뒤이어 나온 박상원이 7회 2사 2,3루 위기를 잘 이겨내면서 1⅓이닝 무실점 호투로 승리를 지켰다. 타선에선 김인환과 김택연, 하주석이 2안타씩 때려냈고, 노시환이 2타점으로 뒤를 받쳤다. 경기 후 김경문 한화 감독은 "선수들이 무더위 속에서 혼신의 힘을 다한 모습을 보여줘 고맙다"라면서 "선발 바리아가 5⅔이닝을 소화했고, 위기 상황에서 등판한 박상원이 추가 실점 없이 1⅓이닝을 잘 막아줬다. 한승혁, 주현상까지 역할을 완벽하게 소화하며 팀 연승을 견인했다"라며 투수들을 칭찬했다. 이어 김 감독은 "야수들도 수비와 공격에서 여러차례 집중력있는 플레이를 하며 팀승리에 대한 의지를 보여줬다"라며 승리의 공을 선수들에게 돌렸다. 수원=윤승재 기자 2024.07.30 22:02
프로야구

'선두 독주' KIA 4연승, 이범호 감독이 LG전 승리를 더 반겼던 이유

KIA 타이거즈가 후반기 첫 경기를 승리로 장식했다. 상대가 2위 LG 트윈스여서 더 의미 있는 승리였다. KIA는 9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LG 트윈스와의 후반기 첫 경기에서 장단 17안타를 터뜨리며 11-4로 크게 이겼다. 삼성 라이온즈와의 전반기 마지막 3연전을 쓸어 담은 KIA는 최근 4연승의 신바람을 탔다.이범호 감독은 "투타 모든 선수들이 잘해준 덕분에 기분 좋게 승리했다"고 말했다. 이범호 감독이 이날 승리를 더욱 반겼던 건 상대가 LG였기 때문이다. KIA는 전반기를 2위 LG에 3.5경기 차 앞선 채 마쳤다. KIA는 6월 초~중순 LG에 닷새간 1위 자리를 내주기도 했다. 이후 다시 선두를 탈환했지만 LG는 디펜딩 챔피언이어서 저력을 무시할 수 없다. 이범호 감독은 "2위 팀(LG)과의 승부였기 때문에 첫 경기가 중요하다고 봤다"면서 "닷새만의 경기라 타자들의 타격감을 다소 우려하기도 했는데 전체적으로 좋은 타격감을 유지해준 거 같아 만족스럽다"고 반겼다. 선두 KIA는 이날 승리로 공동 2위 LG-두산 베어스와 승차를 4.5경기 차까지 벌렸다. 특히 올 시즌 LG와 상대 전적에서도 7승 3패의 우위를 이어갔다. 김도영-최형우-나성범-김선빈으로 이어진 KIA의 3~6번 타선은 10안타-11타점을 합작했다. 이범호 감독은 "1회 초 김도영의 적시타를 시작으로 3득점에 성공하면서 기선을 제압했다. 이어 6회 초 최형우의 결정적인 만루 홈런이 터져 이길 수 있었다"며 "중심 타선을 비롯해 모든 타자들이 고른 활약을 했다"고 칭찬했다. 이어 "마운드에서는 선발 투수 네일이 4실점을 했지만 초반 분위기를 잘 이끌었다. 불펜진도 실점 없이 경기를 잘 마무리했다"고 덧붙였다.이날 경기장에는 KIA 원정 팬이 3루측 관중석을 가득 채워 평일 경기였음에도 2만2038명이 현장에서 관전했다. 만원 관중에 500여명이 부족했다. 이범호 감독은 "후반기 시작을 잘한 만큼 앞으로의 경기도 잘 준비하겠다. 팬들의 변함 없는 성원에 감사드린다"고 인사했다. 잠실=이형석 기자 2024.07.10 00:46
프로야구

'도영-형우-성범-선빈 총 10안타-11타점' KIA 타선 무섭네, LG 꺾고 독주 채비 갖추나

KIA의 중심 타선이 폭발했다. KIA는 9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LG 트윈스와의 후반기 첫 경기에서 장단 18안타를 터뜨리며 11-4로 크게 이겼다. 삼성 라이온즈와의 전반기 마지막 3연전을 쓸어 담은 KIA는 최근 4연승의 신바람을 탔다. 선두 KIA는 공동 2위 LG-두산 베어스와 승차를 4.5경기 차까지 벌렸다. 특히 KIA는 올 시즌 LG와 상대 전적에서도 7승 3패의 우위를 이어갔다. 이날 득점 과정에선 김도영-최형우-나성범-김선빈으로 이어진 3~6번 타자의 활약이 돋보였다. KIA는 1회 초부터 화끈한 타격을 자랑했다. 1사 후 최원준이 LG 선발 케이시 켈리와 9구까지 가는 끈질긴 승부 끝에 볼넷으로 출루했다. 그러자 후속 김도영이 1타점 결승 2루타를 쳤고, 최형우는 추가 1타점 적시타를 기록했다. 5번 나성범의 안타로 1사 1, 3루 찬스를 이어간 KIA는 김선빈의 1타점 적시타로 3-0을 만들었다. 3회에는 선두 김도영의 안타 뒤 최형우의 2루타로 무사 2, 3루가 이어졌고 나성범의 1타점 희생 플라이가 나왔다. 5회에는 1사 후 나성범의 2루타와 김선빈의 적시타로 한 점을 더 달아났다. LG는 5회 말 1사 1, 3루에서 구본혁의 적시타에 이은 2사 후 홍창기의 적시타로 2-5로 추격했다. KIA는 6회 초 공격에서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선두 타자 박찬호가 바뀐 투수 김영준에게 행운의 안타를 뽑아 출루했고, 후속 소크라테스 브리토의 안타-최원준의 내야 땅볼로 1사 2, 3루 찬스를 이어갔다. LG 벤치는 김도영을 자동고의사구로 걸렀다. 그러자 최형우는 바뀐 왼손 투수 이상영과 승부에서 시속 125km 슬라이더를 잡아당겨 우측 담장을 넘기는 비거리 110.8m의 만루 홈런으로 연결했다. 최형우의 시즌 17호 홈런이다. 개인 통산 만루 홈런은 9번째다. LG는 6회 말 오스틴 딘의 2점 홈런으로 추격했으나 더 이상 점수 차를 좁히진 못했다. KIA는 8회 나성범의 2타점 2루타로 두 자릿수 득점을 기록했다. 올스타전 최고령 MVP 최형우는 후반기 첫 경기에서 5타수 3안타 5타점 2득점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나성범은 4타수 3안타 3타점, 김도영은 3타수 2안타 1타점 4득점을 올렸다. 김선빈도 5타수 2안타 2타점을 기록했다. 이들 넷 모두 멀티 히트(한 경기 2안타 이상)와 타점을 기록한 가운데 3~6번이 10안타 11타점을 합작했다. 선발 투수 제임스 네일은 타선의 지원 속에 5와 3분의 1이닝 6피안타 4실점을 기록했다. 시즌 8승째. 네일은 평균자책점이 2.66에서 2.86으로 올라, 부문 선두를 NC 다이노스 카일 하트(2.74)에게 내줬다. KIA는 10일 양현종을 내세워 5연승에 도전한다. LG는 디트릭 엔스를 선발 투수로 예고했다. 잠실=이형석 기자 2024.07.09 21:42
프로야구

29년 만에 막힌 혈 뚫었다…경기 없던 LG 정규시즌 '우승'

LG 트윈스가 29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을 차지했다.LG는 경기가 없던 3일 2위 KT 위즈와 3위 NC 다이노스가 모두 패하면서 우승 매직 넘버를 모두 지웠다. 정규시즌 82승 2무 51패(승률 0.617)를 기록, 잔여 9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1위를 확정했다. 1990년과 1994년 두 차례 통합 우승을 이룬 LG는 지난 28년 동안 '무관'에 그쳤다. 올 시즌엔 달랐다. 투타 짜임새를 앞세워 지난 6월 27일 1위로 도약한 뒤 줄곧 선두를 지켜 대업을 이뤄냈다.'2인자 징크스' 털어낸 염경엽지난겨울 LG는 류지현 감독과 재계약하지 않았다. 후임 사령탑으로 염경엽 전 SK 와이번스 감독이 선임되자 '의외'라는 반응이 많았다. 염 감독은 넥센 히어로즈(현 키움·2013∼2016년)와 SK(현 SSG 랜더스·2019∼2020년)에서 1군 사령탑을 맡았지만, LG가 원하는 '우승 경력'이 없었다. 팀을 가을야구로 이끌더라도 매번 우승 문턱에서 좌절해 2인자라는 달갑지 않은 꼬리표도 있었다. LG는 염경엽 감독의 지도력을 인정, 3년 계약을 안겼다. 염 감독은 감독 취임식에서 '우승'이라는 단어를 10번이나 외칠 정도로 강한 열망을 드러냈다. 특유의 카리스마로 선수단을 빠르게 장악한 그는 이른바 '뛰는 야구'로 새바람을 불러일으켰다. 주전 선수들의 부진과 부상 속에서도 흔들림이 없었다. 악착같은 LG의 야구는 역전승 리그 1위(40승), 5회까지 뒤진 경기 승률 리그 1위라는 결과로 이어졌다.염경엽 감독은 최근 '우리는 밑에도 위에도 보지 않고 시즌 개막전부터 매 경기 최선을 다했다. 그게 내가 가고자 하는 방향이었다"며 "선수들이 너무 잘해줬기 때문에 포기하는 경기가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의 위치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선수들에게 공을 돌렸다. 적극적인 전력 보강LG로서는 지난 7월 26일이 고비였다. 수원 KT전을 패하면서 시즌 최다 5연패 늪에 빠졌다. 2위 SSG 랜더스와의 승차가 0.5경기까지 좁혀져 위기론이 고개를 들었다. LG 프런트는 적극적으로 움직였다. 선발 보강이 필요하다고 판단, 7월 28일 키움 히어로즈와 트레이드로 토종 에이스 최원태를 영입했다. 염경엽 감독은 "최원태 영입으로 막힌 혈이 뻥 뚫렸다"고 반색했다.트레이드 과정에서 애지중지 키운 군필 내야 유망주 이주형(22), 2023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전체 17순위로 지명한 투수 김동규(19), 2024년 신인 1라운드 전체 8순위 지명권을 키움에 넘겼다. 여러 팀이 물밑에서 트레이드 카드를 맞추다 시장에서 철수했지만, LG는 달랐다. 외국인 선수 트레이드를 알아본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주전과 비주전을 가리지 않고 카드를 맞췄다.최원태 영입은 '메기 효과'를 만들어 냈다. 기존 선발 투수들이 각성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임시 선발로 투입된 이정용과 이지강이 기대 이상의 활약으로 힘을 보탰다. 전반기 11승을 따낸 외국인 투수 아담 플럿코가 후반기 전열에서 이탈했지만, 때마침 케이시 켈리가 안정감을 회복했다. 최원태 트레이드 후 LG의 선발 평균자책점은 3.09로 리그 1위다. '화룡점정' 오스틴과 김진성LG는 매년 외국인 타자가 문제였다. 거물급 선수를 영입해도 성적이 기대를 밑돌았다. 지난해에도 리오 루이즈와 로벨 가르시아가 별다른 활약 없이 짐을 쌌다. 올 시즌엔 달랐다. 오스틴이 131경기에서 타율 0.310(497타수 154안타) 22홈런 92타점으로 맹타를 휘둘렀다. 결승타가 14개로 리그 공동 1위. 출루율(0.372)과 장타율(0.507)을 합한 OPS가 0.879에 이른다.불펜에선 '애니콜' 김진성의 활약이 돋보였다. 김진성은 리그에서 가장 많은 77경기에 등판, 20홀드를 쌓았다. 지난해 홀드왕 정우영, 구원왕 고우석이 부진과 부상에 허덕이는 동안 김진성이 중심을 잡았다. 순위 싸움이 치열해진 9월 이후 그의 평균자책점은 1.17에 불과하다. 이 밖에 2루수 신민재, 선발 투수 임찬규를 비롯해 개막전만 하더라도 크게 주목받지 못한 선수들이 '신바람 야구'에 날개를 달아줬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3.10.03 17:2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