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8건
산업

'제주항공 참사' 애도, 대한상의 신년회 재계 총수 참석 불투명

‘제주항공 참사’로 경제계도 깊은 슬픔에 잠긴 가운데 일부 예정됐던 행사를 취소하거나 축소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30일 재계에 따르면 대한상공회의소는 내년 1월 3일 열리는 경제계 신년인사회에서 참사 피해자의 넋을 기리며 묵념하는 등 애도의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경제계 신년인사회는 매년 초 경제계와 정·관계, 노동계 등 각계 인사가 모여 덕담과 인사를 나누는 경제계 최대 규모 신년 행사다.대통령과 국무총리의 불참에도 경제계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재도약의 의지를 다지는 자리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제주항공 참사로 전 국민이 슬픔과 충격에 빠진 만큼 당초 계획보다 행사를 차분하게 진행하고 경제계의 지원 방안 등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대한상의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비롯해 기업인과 경제단체장, 정계 인사, 언론계 대표, 주한 외교사절 등 각계 인사 500여명에게 초청장을 보냈다. 그러나 실제 참석 규모는 이보다 줄어들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재계 관계자는 “1월 4일까지 ‘제주항공 참사’의 국가애도기간인 데다 대통령과 국무총리가 공석이라 예전처럼 재계 총수들이 참석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이날 내수·소비 진작을 위해 박일준 상근부회장과 신입직원 등 임직원 20여명이 남대문 시장을 방문해 '골목 시장 살리기' 캠페인을 할 예정이었으나 행사를 연기하기로 했다.한국무역협회도 이날 예정됐던 임원 송년회를 취소하기로 했다. 내년 1월 3일 열릴 시무식에서는 제주항공 참사 피해자를 위한 애도의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중기중앙회는 내년 1월 3일로 계획된 신년회 연기를 검토 중이다.개별 기업들도 다음달 4일까지 지정된 국가애도기간을 감안해 연말연초를 맞아 계획했던 이벤트를 취소하는 분위기다. 기업별로 사고 관련 지원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롯데그룹은 매년 12월 31일 자정 전 롯데월드타워에서 진행하는 카운트다운 행사를 취소했다. 신세계백화점이 서울 중구청 주관으로 준비한 명동 본점의 '카운트다운 쇼 라이트 나우' 축제도 개최 여부가 불투명하다. 중구청도 국민적 애도 분위기를 고려해 행사를 취소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12.30 11:37
경제

중소기업 49% "상반기 신입직원 채용"

중소기업 중 올해 상반기에 신입직원을 채용할 계획이 있는 기업이 절반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중소기업 429개사를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상반기에 신입 직원을 채용한다는 회사는 49.0%였다. 채용하지 않는다는 중소기업은 22.8%, 채용 여부가 미정인 회사는 28.2%였다. 지난해 같은 기업 중 상반기에 신입 직원을 채용한 회사는 78.6%였다. 올해 상반기 채용을 아직 결정하지 않은 기업들이 모두 채용한다고 해도 채용은 77.2%로 전년에 못 미친다. 상반기 중소기업 채용 규모는 예년 수준으로 전망된다. 상반기에 신입을 뽑겠다고 한 기업 중 41.0%가 예년 수준으로 채용한다고 답했다. 채용 규모를 축소한다는 기업은 22.4%였고, 채용을 확대한다는 기업은 18.6%였다. 중소기업 신입직 평균연봉은 2840만원으로 조사됐다. 신입 초임은 4년대 졸업 기준으로 기본 상여는 포함하고 인센티브는 포함하지 않은 수준으로, 작년(2790만원)보다 1.8% 올랐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1.23 10:22
경제

중소기업 61.9% “하반기 직원채용 한다”

중소기업 5곳 중 3곳은 올해 하반기 신입 및 경력직 직원 충원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중소기업 268개사를 대상으로 ‘하반기 직원 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전체 기업 중 61.9%가 ‘올해 하반기 직원 채용을 계획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들 기업 중에는 ‘신입 및 경력직 모두 채용할 계획’인 기업이 66.3%로 가장 많았고, 신입직만 채용(17.4%)하거나 경력직만 채용(16.3%)할 계획인 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채용규모는 ‘예년수준’을 계획하는 기업이 46.3%로 가장 많았다. 예년보다 채용규모를 확대하거나(18.7%) 축소(19.3%)를 계획하는 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었고, 15.7%는 ‘아직 채용규모를 확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이들 중소기업의 49.6%는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강화하는 채용프로세스가 있다’고 답했다. 그 1위는 ‘면접강화’로 우수 인재 채용을 위해 심층 역량면접을 준비하고 있다는 중소기업이 30.8%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학력, 학점, 어학점수 등 ‘스펙기준을 완화’를 통해 우수인재를 발굴하려는 중소기업이 26.3%로 다음으로 많았다. 이 외에는 필기시험 폐지 등 채용절차 간소화(25.6%), 직무역량 평가 강화(21.1%), 블라인드 면접 도입(21.1%) 순으로 답한 인사담당자가 많았다. 특히 신입사원 채용 시에는 ‘직무분야에서 일해 본 경험’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한다는 중소기업이 32.8%(응답률)로 가장 많았다. 신입사원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인을 복수선택으로 조사한 결과 ‘직무분야에서 일해 본 경험’을 꼽은 인사담당자가 32.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입사하려는 높은 의지’가 중요하다는 답변이 23.9%로 다음으로 많았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19.08.30 15:12
경제

신입직 구직자 희망 연봉은 3040만원, 선호 기업은 '공기업'

올해 신입직 취업을 준비하는 구직자들의 희망 연봉은 평균 3040만원으로 조사됐다. 신입직 구직자들의 희망 연봉 수준은 최종 학력과 취업을 준비하는 취업 목표 기업별로 차이를 보였다.잡코리아는 올해 신입직 취업을 준비하는 구직자 1347명(올해 졸업예정자 포함)을 대상으로 ‘신입직 희망 연봉 수준’에 대해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28일 발표했다.그 결과, 신입직 구직자들의 희망 연봉은 평균 3040만원으로 집계됐다.최종학력별로 희망 연봉도 달랐다.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신입직 희망 연봉이 평균 317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문대졸자(평균 2850만원)와 고졸자(평균 2870만원)의 희망 연봉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취업 목표 기업별로는 중소기업 취업을 준비하는 이들의 희망 연봉이 유일하게 2000만원대(2880만원)로 집계됐고, 이외에는 모두 3000만원대 초반을 희망했다.대기업 취업을 준비하는 이들의 희망 연봉은 평균 325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외국계 기업 취업을 준비하는 구직자의 희망 연봉이 평균 3170만원으로 높았고, 이어 공기업(3060만원) 중견기업(3030만원) 중소기업(2880만원) 순으로 높았다.공기업은 신입 구직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곳이었다. 10명 중 4명(46.0%)이 ‘공기업에 취업하고 싶다’고 밝혔다. 다음으로는 중견기업(22.5%) 대기업(17.7%) 중소기업(10.2%) 순으로 취업하고 싶다고 답했다.공기업에 취업하고 싶은 이유는 ‘복지 제도가 잘 갖춰져 있을 것 같아서’가 응답률 71.5%로 가장 높았다. 대기업에 취업하고 싶은 이유는 ‘연봉 수준이 높을 것 같아서’가 응답률 27.3%로 가장 높았고, 이어 ‘복지 제도가 잘 갖춰져 있을 것 같아서(26.9%)’라고 답한 응답자가 많았다.서지영 기자 seo.jiyeong@jtbc.co.kr 2019.01.28 15:32
경제

상반기 신입직 취업성공률 34.6%

계속되는 청년실업난으로 인해 올 상반기 신입직 구직자 10명 중 7명 정도는 입사지원 했던 기업으로부터 단 한 곳도 합격 통보를 받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19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올 상반기 동안 구직활동을 했던 신입직 구직자 811명을 대상으로 ‘2017년 상반기 신입직 취업성공률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설문에 참여한 구직자 중 34.6%만이 올 상반기 입사지원 했던 기업으로부터 최종 입사 합격통보를 받았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65.4%는 단 한 곳의 기업으로부터도 입사합격 통보를 받지 못해 신입 구직자들이 여전히 취업 문턱조차 넘기 힘들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0년 상반기 취업성공률 47.9% 보다 13.3%P 감소한 수준이다.한편, 잡코리아가 올 상반기 기업으로부터 최종 입사 합격통보를 받은 경험이 있는 구직자(281명)들을 대상으로 합격한 기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중소기업이 74.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대기업 16.7%, △공기업 6.0%, △외국계기업 3.2%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취업 성공했던 직무분야로는 서비스관련직이 17.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영업/영업관리직 14.6% △생산/기술직 13.2% △재무/회계/인사/총무직 11.7% △IT/정보통신직 11.0% △마케팅/홍보직 9.3% △디자인관련직 6.0% △전략/기획직 4.6% 등의 순이었다. 특히 이들을 대상으로 ‘취업활동을 시작한지 얼마 만에 첫 입사 합격통보를 받았는지’ 물은 결과, 1개월~3개월 미만이 35.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개월~6개월 미만 23.5% △한 달 미만 19.9% △6개월~1년 미만 13.9% △1년~2년 미만 4.6% 등의 순이었다. 또 48.8%만이 자신의 전공 분야와 맞는 직종에 취업했다고 밝혔으며, 절반이 넘는 51.2%는 전공 분야와 전혀 다른 직무분야에 합격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10명 중 8명 정도의 구직자들이 취업활동을 시작한지 6개월 안에 첫 입사 합격통보를 받은 경험이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전공 분야와 매칭된 취업률은 절반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사합격 통보를 받은 기업에 대한 만족도 역시도 25.6%만이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29.2%는 만족하지는 않지만 출근하고 있거나, 또는 출근할 예정이라고 응답했다.반면 45.2%는 다른 기업으로 구직활동을 계속 하고 있다고 응답해서 10명 중 4명 정도의 구직자는 입사 통보를 받은 기업에 출근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7.05.19 20:20
경제

신입직 희망연봉 '평균 2400만원'

올해 신입직 취업을 위해 구직활동을 해 온 구직자들의 희망연봉이 평균 24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초 잡코리아가 조사한 중소기업 대졸 신입직 평균연봉(2455만원)보다 낮은 수준이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올해 자사사이트를 통해 신입직 구직활동을 해 온 이력서 43만4982건을 분석한 결과, 올해 신입직 구직자의 희망연봉은 평균 2400만원으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최종학력에 따라 100만~800만 원의 차이를 보였다. 고졸 학력자의 희망연봉은 평균 2200만원으로 집계됐고, 2,3년제 대졸자의 희망연봉은 평균 2300만 원으로 고졸 학력자와 비슷했다.4년제 대졸자의 희망연봉은 평균 2600만원으로 고졸자 및 초대졸자 대비 300만~400만원 높았다. 대학원 졸업자의 희망연봉은 평균 3,000만원으로 4년대졸자 대비 400만원 높았고, 고졸자 대비 800만원 높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4년대졸 구직자의 희망연봉(2600만원)은, 올해 초 잡코리아가 각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4년대졸 신입직 평균연봉 중 대기업(평균 3893만원) 보다 크게 낮고, 중소기업 신입직 평균 연봉(2455만원)보다는 소폭 높은 수준이었다. 신입직 구직자들의 희망연봉은 취업하고 싶은 업·직종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업종 중에는 ‘건설·화학·제조’ 업계로 취업하고 싶어하는 신입직 구직자의 평균 연봉이 26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전기전자·IT정보통신(평균 2400만원)’과 ‘금융·서비스·유통(평균 2400만원)’ 업계 취업희망자의 희망연봉이 다음으로 높았다. 직종별로는 ‘연구개발·설계’ 직무로 취업하고 싶어하는 구직자의 희망연봉이 평균 270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외에는 ‘마케팅·무역·유통(평균 2500만원)’ ‘생산·제조(2500만원)’ 직무로 취업하고 싶어하는 구직자의 희망연봉이 높았다. 변지성 잡코리아 차장은 “취업의 어려움으로 신입직 구직자들의 눈높이가 소폭 낮아진 것으로 풀이된다”고 해석했다.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6.09.21 14:14
경제

중기 신입직 면접시간 한 명 평균 28분

중소기업의 신입직 채용에서 지원자 한 명 평균 면접시간은 28분으로 집계됐다. 또 올해 상반기 중소기업 신입직 채용에 경력자가 다수 지원한 것으로 드러났다.21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상반기 신입직을 채용한 중소기업의 면접관 162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신입직 면접 특징'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조사 결과 이들 기업의 면접단계는 1단계로 진행하는 기업이 과반수정도(53.1%)로 가장 많았고, 2단계로 실무진 면접과 임원 면접을 진행하는 기업(34.6%)이 다음으로 많았다.면접방식은 ‘일대일 개별면접’이 응답률 63.6%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다수의 면접관과 지원자 한 명이 참여하는 ‘다대일 면접’을 진행하는 기업이 37.0%로 많았다.면접시간은 지원자 한 명 기준 평균 28분으로 집계됐다. 시간별로는 약 20분(30.9%)에서 약 30분(29.0%) 정도 진행하는 기업이 과반수이상으로 많았다.‘면접에서 주로 평가하는 요인’ 1위는 ‘인성’ 으로 조사됐다. 복수선택으로 조사한 결과 중기 면접관 10명중 약 6명에 달하는 55.6%가 ‘성실성과 책임감 등 인성’을 본다고 답했다.이어 ‘채용하는 직무분야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본다는 면접관이 응답률 39.5%로 많았다.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6.05.21 11:15
경제

대기업 신입 평균연봉 3893만원···중소기업 2455만원

올해 대기업 신입직 연봉이 평균 3893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 신입직 평균연봉 2455만원보다 1438만원이 높아 기업 간 연봉격차가 지난해 보다 더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취업포털 잡코리아는 국내 거주 기업 301개사(대기업 150개사, 중소기업 113개사, 공기업 38개사, 외국계기업 17개사)를 대상으로 ‘2016년 대졸 신입사원 연봉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이번 조사는 각 기업의 4년제 대졸 신입사원의 연봉으로 기본상여금은 포함하고 인센티브는 제외한 기준으로 조사했다.전체 대상기업의 4년 대졸 신입사원 평균연봉은 3228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동일조사 결과(3048만원) 대비 5.9% 인상된 수준이다.기업별로는 대기업 신입직 연봉이 평균 3893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공기업 신입직 연봉이 평균 3288만원으로 다음으로 높았다. 이어 외국계기업 신입직 연봉이 평균 3277만원, 중소기업 신입직 연봉이 평균 2455만원으로 조사됐다.반면 중소기업 신입직 평균연봉은 대기업 신입직 평균연봉(3893만원)보다 1438만원이 낮았다. 즉 대기업 신입직 평균연봉의 63.1%에 그쳐 기업 간 심각한 연봉격차를 드러냈다.대기업 중에는 업종별로 자동차운수 업종의 신입직 평균연봉이 4289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금융(4225만원) 업종과 건설(4167만원) 업종의 신입직 평균연봉도 4000만 원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 외에는 기계철강 3981만원, IT정보통신·전기전자 3951만원, 석유화학 3925만원, 유통무역 3900만원 순이다.김훈 잡코리아 상무는 “기업 간 신입직 연봉격차가 줄지 않고 있다"며 "큰 연봉격차는 취업 후에도 소속감이나 충성도를 낮추는 등의 영향을 줄 수 있어 이를 줄여나가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6.03.07 15:5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