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대기업 간판값 1000억 이상 7곳...LG·SK·한화 1~3위

지난해 대기업 지주회사나 대표회사가 챙긴 상표권 사용료(이하 간판값)가 2조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공시대상기업집단(자산 5조원 이상·이하 대기업)의 간판값은 작년에도 늘어나 또 역대 최대를 경신했다. 올해 대기업으로 지정된 92개 그룹 중 지난해 기준 72개 집단이 897개 계열사로부터 총 2조1530억원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간판값은 대표회사가 계열사로부터 유·무상으로 상표권을 넘겨받거나, 신규 기업이미지(CI) 도입으로 대표회사가 신규 상표권을 취득할 때 발생한다. 간판값 총액은 2022년까지 1조원대를 유지하다가 2023년 2조354억원으로 처음으로 2조원을 넘어선 뒤 지난해에 1176억원이 더 늘어났다.지난해 사용료를 가장 많이 받은 그룹은 LG로 3545억원 규모였다. 이어 SK(3109억원), 한화(1796억원), CJ(1347억원), 포스코(1317억원), 롯데(1277억원), GS(1042억원), 효성(617억원), HD현대(534억원), 현대자동차(521억원) 순이었다. 1000억원 이상 간판값을 챙긴 기업은 모두 7곳이었다. 간판값 자체는 상표권 소유자에게 사용자가 경제적 대가를 제공하는 행위이므로 위법이 아니다. 간판값이 많다고 해서 꼭 비난받을 일이라고 할 수도 없다. 하지만 그룹마다 산정방식이 달라서 총수일가 사익편취에 동원될 '약한 고리'로 지적 받아왔다. 현재 대다수 그룹은 매출액에서 광고선전비를 뺀 액수에서 일정 수수료율을 곱하는 수식으로 간판값을 산출한다. 여기서도 지난해 간판값 1·2위인 LG와 SK는 수수료율로 각각 0.2%를 적용했지만, 한국앤컴퍼니는 0.5%로 산정하는 등 그룹마다 차이가 있다.셀트리온의 경우 상표권을 10년 넘게 그룹 총수인 서정진 회장이 대주주인 2개 계열회사에 무상으로 제공해 부당 이익을 줬다.이양수 의원은 "계열사가 마케팅과 광고 등을 통해 자신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공로가 큰데도 지주사가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로 대가를 받아가는 것은 계열사가 이중으로 지출하는 부당한 행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두용 기자 2025.08.18 09:10
경제

미투 말하며 성폭행 한 그곳…18억 들인 안희정 관사 보니

━ 성폭행 장소로 피해자가 지목한 안희정 관사 안희정 지사가 정무비서를 성폭행한 장소로 충남지사 관사(공관)가 지목됐다. 안 지사 정무비서 김지은(33)씨는 지난 5일 JTBC 뉴스룸에 나와 “2월 25일에도 안 지사가 자신의 관사로 불러 ‘’내가 미투를 보면서 너에게 상처가 됐음을 알게 됐다’고 한 뒤 또다시 성폭행했다”고 주장했다. 이 관사는 내포신도시 충남도청에서 걸어서 15분 거리의 용봉산 자락에 있다. 관사는 2013년 준공됐다. 당시 도청이 대전에서 이곳으로 이전하면서 관사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관사가 권위주의 시대 유물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와 관련, 익명을 요구한 충남도청 관계자는 “안희정 지사가 도정 수행에 필요하다고 주장해 관사를 건립하기로 결론이 났다”고 말했다. 충남지사(1급) 관사는 대지면적 2150㎡(650평), 건축면적 231.08㎡(70평) 규모다. 보안·출입 방범을 위해 설치된 경비실(초소), 용역 쉼터용으로 쓰이는 대기실까지 더하면 건축면적이 모두 340.8㎡(100평)으로 늘어난다. 관사건립에는 토지매입비를 포함해 18억 4270만원이 쓰였다. 신축 관사에 들어간 물품도 TV 4대, 냉장고 2대, 식기세척기, 주방기구 소독기 등을 포함해 8000만 원 이상이다. 관사 규모가 크다 보니 입주 당시인 2013년 매달 전기료만 100만 원 이상을 지출했다. 지금도 전기료를 포함한 공과금 지출액이 매년 1000여만원을 넘는다. 행정안전부는 2010년 지자체 예산 절감을 위해 자치단체장 관사운영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이 때 관사 폐지를 원칙으로 하되 꼭 유지해야 할 경우 면적 등에 대해 관한 규정을 두도록 권고했다. 하지만 충남도는 아직 관사에 대한 면적 기준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 충남지사(1급) 관사 규모는 행정안전부 청사시설 기준표의 차관급 단독주택 면적인 198㎡(60평)를 훨씬 넘는다. 관사 논란은 지난해 충남도 국정감사에서도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이양수 의원(자유한국당·강원 속초·고성·양양)은 “안 지사가 쓰고 있는 1급 관사가 30%의 낮은 도 재정자립도에 비하면 지나치게 호화롭게 신축·운영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충남도의 관사 사용은 다른 광역단체와도 대비된다. 도청을 경북 안동으로 이전한 경북도는 별도의 관사를 짓지 않고 현재 아파트를 도지사 관사로 사용중이다. 경기도는 수원시 팔달산 자락 3850㎡ 부지에 자리 잡은 도지사 공관을 숙박시설로 개조해 사용중이다. 온라인 일간스포츠 2018.03.06 16:32
연예

롯데리조트속초, 20일 그랜드 오픈

 롯데호텔이 20일 롯데리조트속초(http://www.lotteresortsokcho.com/)의 그랜드 오픈 세레모니를 가졌다. 롯데리조트속초는 제주(롯데아트빌라스), 부여(롯데리조트부여)에 이어 롯데호텔이 세 번째로 오픈 하는 리조트이다.  이번 행사에는 최문순 강원도지사, 이양수 국회의원, 이병선 속초시장, 김종희 속초시의회 의장을 비롯한 강원도 및 속초시 관계자와 더불어 송용덕 호텔&서비스BU장(부회장), 김정환 호텔롯데 대표이사 등 롯데그룹BU장 및 계열사 소속 대표이사로 구성된 내외빈 80여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상암동 MBC 사옥의 '미러맨'으로 유명한 유영호 작가의 작품 '빛을 주는 사람' 앞에서 진행된 테이프 커팅식을 시작으로 객실, 식음업장 및 부대시설 투어가 이어졌다. 김정환 대표이사는 "롯데리조트속초는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관광명소로 자리매김 할 것"이며 "강원도와 속초시의 관광산업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롯데리조트속초는 대지 면적 7만196㎡(약 2만1천평)에 지상9층, 지하 3층 규모로 총 392실(호텔 173실, 콘도 219실)을 갖추고 있다. 천혜의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강원도 속초시 대포동에 위치하여 3면이 바다로 둘러 쌓여 있으며, 모든 객실에서 아름다운 동해 바다를 감상할 수 있는 오션뷰(Ocean View)를 자랑한다. 최근 서울-양양 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수도권에서의 접근성 또한 크게 개선되었다.또한, 속초의 푸른 바다를 파노라마로 즐길 수 있는 인피니티 풀, 워터 슬라이드와 찜질방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춘 워터파크, 환상적인 뷰를 자랑하는 '루프탑 9(Roof Top 9)' 등 다채로운 부대시설도 준비되어 있어 강원도를 찾는 국내외 여행객들을 발걸음을 사로잡을 것으로 예상된다.이석희 기자 2017.07.21 05:43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