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이슈IS] 가요 협회들, 멜론 사기 혐의 수사에 촉각…"단체 움직임"
510만 명 넘는 유료 회원을 보유한 국내 최대 음원사이트 멜론이 저작권자에 줘야하는 수십억 원을 가로챘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가요 협회들은 일제히 사태 파악에 나섰고, 나아가 공동대응책을 마련하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다.검찰은 지난 달 27일 강남구 삼성동의 멜론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SK텔레콤 자회사 로엔엔터테인먼트 시절인 2009~2011년 사이, 멜론이 유령 음반사를 만들어 저작권료 수십억 원을 빼돌린 혐의를 수사 중에 있다. 로엔엔터테인먼트는 음원 수익의 46%를 제외한 나머지 54%를 저작권자에게 지급해야 했으나, LS뮤직이라는 유령 음반사를 만들어 저작권자 몫 10~20%가량을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또 저작권자들에게 나눠주도록 돼 있는 미사용 정기권 구매 금액을 로엔엔터테인먼트가 빼돌렸을 가능성도 수사 중이다.검찰 조사와 함께 저작권신탁단체들도 긴급 회의에 나섰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음저협), 한국음반산업협회(음산협),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음실연), 함께하는음악저작인협회(함저협) 등은 수사 내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멜론이 공식적으로 협회들에 저작권료 부당 취득 의혹이 불거진 사실을 알리지 않아 대부분 기사를 통해 접했다는 반응이다. 이들 협회들은 수사 결과가 나온 이후 필요한 공식입장을 밝힌다는 계획이다.함저협 측은 "단체가 만들어지기 이전의 일이라 직접적 연관성은 없지만 나중에 가입한 회원들 중 일부에 해당사항이 있을 수 있어 검찰 조사를 지켜보고 있다"면서 "회원 보호 차원의 가이드라인을 만들고자 협회들 차원에서 공동 창구를 열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협회 관계자들은 "실무진들끼리 이야기를 주고 받은 것으로 안다.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어떤 협회가 직접적 연관성이 있는지 달라진다. 저작권료에서 문제가 생긴 것인지, 저작인접권료에서 부당 수익을 빼돌린 것인지에 따라 협회 차원에서의 대응이 달라질 것"이라며 "직접 피해를 본 사실이 있다면 협회 차원의 형사고소도 가능한 큰 문제"라고 말했다.SK텔레콤은 뉴스를 통해 "당시 로엔엔터테인먼트를 운영했던 계열사를 상대로 관련 자료를 찾고 사태를 파악 중"이라고 했다. 현재 멜론을 운영하는 카카오 측은 "인수하기 전 일어난 일로 자세한 내용은 알지 못한다. 수사에 협조하겠다"고 전했다.황지영기자 hwang.jeeyoung@jtbc.co.kr
2019.06.04 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