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IT

LG전자는 이제 자동차 부품 회사?…'전장' 미운 오리서 백조로

'가전 명가' LG전자의 미래 먹거리가 본격적으로 빛을 보기 시작했다.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 속 전장(자동차 전자 장치) 사업이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며 업계의 기대를 모았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2022년 3분기 영업이익이 74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1% 증가했다. 지난해 3분기에 GM 전기차 배터리 리콜 비용을 반영한 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줄어든 셈이다. 증권가 컨센서스(전망치)인 8000억원 중반대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매출은 21조176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1% 늘었다. 분기 최대다. 이 중 VS(전장)사업본부가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6% 증가한 2조3454억원으로 분기 사상 최대다. 완성차 업체의 생산 확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효과적으로 공급망을 관리해 2분기 연속 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 영업이익은 961억원을 기록했다. 인포테인먼트·전기차 파워트레인·차량용 조명 시스템 등 모든 사업 영역의 매출 성장과 지속적인 원가 구조 개선으로 2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회사의 주력인 H&A(가전)사업본부의 3분기 매출은 7조4730억원, 영업이익은 2283억원이다. 매출은 역대 3분기 중 최대로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 국내를 비롯해 북미, 유럽 등 선진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성장했으며 공간 인테리어 가전 '오브제컬렉션'을 중심으로 신가전과 스팀가전 등 프리미엄 제품이 실적을 견인했다. 영업이익은 물류비 부담 및 마케팅 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감소했다. HE(TV)사업본부는 전 세계적인 소비 위축 현상의 직격탄을 맞았다. 3분기 매출 3조7121억원, 영업손실 554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연속 적자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만년 적자에 허덕이던 스마트폰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고 전장 사업에 올인했다. 규모가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는 자율주행·전기차 시장에서 가능성을 본 것이다. 2018년 오스트리아의 차량용 프리미엄 헤드램프 기업인 ZKW에 이어 지난해 세계 3위 자동차 부품 업체 마그나 인터내셔널과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등 공격적으로 투자했다. 이런 사업 확대 전략으로 LG전자 전장 사업은 9년 만에 흑자 전환 결실을 봤다. LG전자 측은 올해 4분기 전장 사업 전망에 대해 "반도체 공급 이슈 완화 및 완성차 업체의 생산 정상화 기조는 지속하지만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 등 거시경제 환경의 변수가 상존한다"고 했다. 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2.10.29 15:40
IT

'월드컵·연말 특수도 없다' 삼성·LG 불어닥친 TV·가전 한파

국내 가전 투톱인 삼성전자와 LG전자에 한파가 들이닥쳤다. 전 세계적인 금리 인상 기조에 소비 심리가 꽁꽁 얼어붙어 TV·가전 시장이 마이너스 성장 곡선을 그리고 있다. 단기 실적에도 먹구름이 드리울 전망이다. 24일 증권가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올해 3분기 TV·가전 매출은 예년보다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잠정 실적을 발표한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10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73% 감소했다. LG전자는 7466억원으로 25.1% 올랐지만, 지난해 3분기 GM 전기차 볼트의 배터리 리콜 비용 4800억원을 반영했던 것을 감안하면 30.7% 줄어든 셈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오는 27일과 28일에 사업 부문별 확정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김광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삼성전자 VD(TV)·가전·하만(전장) 영업이익을 6000억원으로 추정했다. 2021년 3분기 삼성 가전과 하만의 영업이익 7600억원, 1500억원에 비하면 턱없이 모자라다. 모바일과 디스플레이가 나름 선방한 가운데 반도체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LG전자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미래 먹거리인 VS(전장) 사업을 제외하고 주력인 H&A(가전)와 HE(TV) 사업 모두 시장의 예상을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HE 사업본부는 28분기 만에 영업손실을 냈던 지난 2분기에 이어 이번에도 적자를 면치 못할 가능성이 크다. 고의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LG전자 TV 사업에 대해 "유럽의 수요 부진이 예상보다 심각하고, 그동안 상대적으로 견고했던 미국도 부진했다"며 "가전과 마찬가지로 재고 소진을 위한 마케팅 비용 집행으로 전 분기 대비 적자 폭이 커진 것으로 추정한다"고 했다. LG TV 출하량의 30%,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 출하량의 50%가 유럽에 쏠려 매출은 유로화 결제 비중이 큰데 패널을 포함한 원재료는 달러 결제 비중이 크다.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유로가 약세인 현 상황이 수익성에 불리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대목인 카타르 월드컵과 연말 성수기가 다가오고 있지만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표정은 어둡다. 당분간 가전·TV 시장의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워서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의 통계를 보면 대규모 프로모션 효과로 올해 4분기 전 세계 TV 출하량은 5696만대로 전 분기보다 10.8% 오를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전년 동기와 비교해선 여전히 3.5% 낮다. 2022년 연간 출하량은 2억200만대로 지난 10년 동안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가전 시장도 좀처럼 회복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시장조사업체 GfK의 조사에서 국내 가전 시장은 지난해 4분기부터 주춤하다 올해 상반기 성장률이 4.6% 떨어지며 침체기에 접어들었다. 대형가전(-8.7%)·생활가전(-7.2%)·주방가전(-3.6%) 모두 판매가 줄었다. 롤프 뷰어클 GfK 소비자 전문가는 "8%에 달하는 물가 상승이 실질 소득 감소로 이어져 구매력을 떨어뜨리고 있다"며 "훨씬 더 많은 돈을 난방비 지불을 위해 써야 한다. 신규 구매와 같은 다른 비용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2.10.25 07:00
산업

LG전자 3분기 매출 역대 최고…전장 사업 성장세

LG전자가 올해 3분기에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했다. LG전자는 3분기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 21조1714억원, 영업이익 7466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작년 3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4.0%, 영업이익은 25.1% 늘었다. 매출은 역대 최고였던 올해 1분기 20조9690억원)을 넘어섰다. 다만 작년 3분기(영업이익 5968억원)에 제너럴모터스(GM) 전기차 리콜 관련 충당금 약 4800억원이 반영된 점을 고려하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3분기 호실적은 코로나19 특수 감소로 가전과 TV 수요가 위축된 반면 전장부품(VS) 사업과 LG오브제컬렉션 등 프리미엄 제품 등이 선전한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전장 부문은 반도체 부족 완화에 따른 완성차 생산 개선 효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9년 만에 첫 연간 흑자 달성이 기대된다. HE(TV 등) 사업은 OLED TV 물량 증가와 11월 월드컵 수요 등의 호재에도 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 측은 “순이익과 사업본부별 실적은 이달 말 예정된 실적설명회에서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오용 기자 bandy@edaily.co.kr 2022.10.07 15:27
생활/문화

SKT, 작년 4분기 영업익 두 배 증가…"올해 매출 20조 목표"

SK텔레콤이 5G 가입자 증가와 신사업 성장에 힘입어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이 두 배 이상 늘었다. SK텔레콤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33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9.46%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4조839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74% 늘었다. 2020년 연간 매출은 18조6247억원, 영업이익은 1조3493억원을 기록했다.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5.0% 성장했다. 미디어와 커머스 등 신사업이 전년 대비 15.3% 증가해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이동통신(MNO) 사업도 5G 가입자가 확대되면서 2.8% 증가했다.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21.8% 늘었다. 신사업은 미디어 가입자 증가 및 홈·주차 등 보안 신사업과 커머스 거래액 성장을 바탕으로 영업이익이 27.5% 상승했다. SK텔레콤의 별도 기준 연간 매출은 5G 가입자 확대와 데이터 사용량 증가에 따라 전년 대비 2.8% 증가한 11조746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7.5% 늘어난 1조231억원을 달성했다. 신사업 연간 영업이익은 총 3262억원으로, 전체 영업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9년 14%에서 24%로 커지며 영향력을 키웠다. 미디어 사업에서 SK브로드밴드는 티브로드 합병과 IPTV 가입자 증가로 매출 3조713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7.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9.2% 증가한 2309억원을 달성했다. 보안사업은 출동보안과 정보보안 등 핵심사업과 홈·주차·언택트 솔루션 등 신규 사업이 고르게 성장하며, 매출이 전년 대비 12.2% 증가한 1조3386억원을 기록했다. 11번가와 SK스토아 등 커머스 사업은 온라인 쇼핑 활성화 추세와 거래액 증가를 기반으로 두 자릿수 성장과 함께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2.1% 증가한 8142억원을, 영업이익은 110억원을 기록했다. SK텔레콤 윤풍영 CFO(최고재무책임자)는 "2020년에는 5대 사업부의 완성과 함께 MNO 및 신사업 등 모든 분야가 고른 성장을 지속했다"며 "2021년은 인공지능(AI) 기반의 빅테크 컴퍼니로의 진화를 가속하는 동시에 사상 최초 매출 20조원에 도전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2.03 12:0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