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LG전자 사옥. 연합뉴스 '가전 명가' LG전자의 미래 먹거리가 본격적으로 빛을 보기 시작했다.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 속 전장(자동차 전자 장치) 사업이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며 업계의 기대를 모았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2022년 3분기 영업이익이 74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1% 증가했다. 지난해 3분기에 GM 전기차 배터리 리콜 비용을 반영한 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줄어든 셈이다. 증권가 컨센서스(전망치)인 8000억원 중반대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매출은 21조176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1% 늘었다. 분기 최대다.
이 중 VS(전장)사업본부가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6% 증가한 2조3454억원으로 분기 사상 최대다. 완성차 업체의 생산 확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효과적으로 공급망을 관리해 2분기 연속 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
영업이익은 961억원을 기록했다. 인포테인먼트·전기차 파워트레인·차량용 조명 시스템 등 모든 사업 영역의 매출 성장과 지속적인 원가 구조 개선으로 2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회사의 주력인 H&A(가전)사업본부의 3분기 매출은 7조4730억원, 영업이익은 2283억원이다. 매출은 역대 3분기 중 최대로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
국내를 비롯해 북미, 유럽 등 선진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성장했으며 공간 인테리어 가전 '오브제컬렉션'을 중심으로 신가전과 스팀가전 등 프리미엄 제품이 실적을 견인했다. 영업이익은 물류비 부담 및 마케팅 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감소했다.
HE(TV)사업본부는 전 세계적인 소비 위축 현상의 직격탄을 맞았다. 3분기 매출 3조7121억원, 영업손실 554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연속 적자다.
지난달 19일(현지시간) 멕시코 라모스 아리즈페에서 열린 LG마그나 전기차 부품 생산공장 착공식에서 조주완 LG전자 CEO(왼쪽에서 네 번째) 등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LG전자 제공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만년 적자에 허덕이던 스마트폰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고 전장 사업에 올인했다. 규모가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는 자율주행·전기차 시장에서 가능성을 본 것이다.
2018년 오스트리아의 차량용 프리미엄 헤드램프 기업인 ZKW에 이어 지난해 세계 3위 자동차 부품 업체 마그나 인터내셔널과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등 공격적으로 투자했다. 이런 사업 확대 전략으로 LG전자 전장 사업은 9년 만에 흑자 전환 결실을 봤다.
LG전자 측은 올해 4분기 전장 사업 전망에 대해 "반도체 공급 이슈 완화 및 완성차 업체의 생산 정상화 기조는 지속하지만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 등 거시경제 환경의 변수가 상존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