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0건
자동차

현대차 쏘나타 10개 차종 '제작 결함' 리콜

국토교통부는 현대자동차, 기아, 한국GM에서 판매한 10개 차종 60만7502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 한다고 10일 밝혔다.현대차 쏘나타 등 2개 차종 31만2744대, 기아 포르테 등 4개 차종 28만5327대는 에어백 제어장치 설계 오류로 내부 소자가 손상, 에어백이 펼쳐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오는 11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또 기아 EV9 8592대는 전자식 브레이크 소프트웨어 오류로 원격 제어 주차 기능이 정상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견돼 지난 7일부터 시정조치를 진행하고 있다.한국GM 등에서 수입·판매한 에스컬레이드 등 3개 차종 839대는 전자식 브레이크 소프트웨어 오류로 제동액이 부족할 때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드러나 지난 8일부터 시정조치가 이뤄지고 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10.10 08:29
자동차

급성장 전기차…결함도 덩달아 '폭증'

전기자동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전기차를 대상으로 한 리콜(자발적 시정조치) 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도 전기차 증가와 맞물려 리콜과 정비, 수리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지만, 서비스센터나 정비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관련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상황이다. 상반기 리콜 10만7494대…작년치 이미 넘어 지난달 31일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전기차 안전결함 관련 리콜 현황'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기차 관련 리콜 대수는 10만7494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9만9008대) 리콜 대수를 이미 뛰어넘은 수치다. 2017년 불과 3456건에 불과했던 전기차 리콜은 2018년 1만2264대로 증가하기 시작해 2019년 1만3024대, 2020년 8만604대로 수직 상승하고 있다.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리콜도 급증한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전기차 판매량은 2017년 2만5108대에서 2019년 8만9918대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23만1443대를 기록, 20만대를 돌파했다. 올해는 상반기에만 29만8633대가 팔렸다. 업계는 올해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가 45만대 전후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서 정부는 친환경 정책의 하나로 2022년까지 45만대의 전기차(누적 등록 기준)를 보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제는 올해는 단순한 부품 고장만 발생한 것이 아니라 고전압 배터리 충격 완화 패드,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설계 오류 등 전기차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대거 포함됐다는 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판매되는 차량이 늘어나면 리콜도 덩달아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면서도 "올해는 단순 부품이 아닌 전기차 전용 부품에서 문제가 많이 발생해 우려를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리콜왕은 테슬라 올해 리콜 건수가 많이 늘어난 데는 미국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 영향이 컸다. 올 상반기 테슬라 리콜 규모는 4만1498대로 가장 많은 전기차를 리콜했다. 전년 동기 대비 3000% 이상 늘어난 수치다. 모델3(2만7622대), 모델Y(1만1030대), 모델S(3850대), 모델X(6대) 등이 CPU 열성능 개선 문제, 후방카메라, 안전벨트 등 관련 문제로 리콜됐다. 이어 현대차·기아가 전자식변속제어장치(SCU) 문제로 5만8000여 대를 리콜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현대차는 아이오닉5 등 4개 차종에서 전자식변속제어장치 오류로 경사로 주차 시 차량이 미끄러질 가능성을 확인해 리콜 조치했다. 기아도 EV6에서 같은 문제를 발견해 1만8593대를 리콜했고, 카니발 등 5개 차종은 에어백 경고등 결함 문제로 3447대 리콜했다. 올 하반기에도 전기차 관련 리콜은 끊이질 않고 있다. BMW코리아는 최근 국내 전기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출시한 i4, iX 등 신규 전기차 2종에서 화재 가능성이 발견돼 리콜을 시행 중이다. 리콜 대상 차량에는 배터리셀 생산 공정에서 손상된 음극판 조각이 배터리셀 내부에 유입돼 고전압 배터리에 단락(쇼트)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경우 셀 모듈이 방전되고 화재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푸조도 최근 e-208, e-2008 등 전기차 2종에 대한 리콜을 개시했다. 각 차량의 에어컨 공기 압축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전동 모터의 구리선 피복 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경우가 확인됐다. 해당 장치를 장착한 차량에서 구리선이 에어컨 냉매나 수분에 노출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부식돼 저항이 증가한다. 차량 진단 소프트웨어가 이를 감지하고 메인 배터리의 릴레이를 차단해 파워트레인 작동을 멈추면 시동이 꺼질 수 있다. 리콜 대상 차량은 일정 기간 생산된 1446대다. 제재 강화해 안전성 높여야 최근 전기차 결함이 늘어나는 것과 관련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급발진이나 화재사고 결함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자율주행 기능의 경우 바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이에 국회에서는 보완 법안 발의가 잇따르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26일 전기차의 제작사 결함 시정 조치로 차량 성능 저하가 발생했거나 전기차 주행가능거리 과다 표시 등으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한 경우 제작사가 차량 소유자에게 경제적 보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자동차관리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민홍철 의원은 "최근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 보급이 점차 퍼지고 있는 상황에서 현행 법령이 피해자들을 포용하지 못하는 사례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만큼, 법령개정을 통해 소비자에 대한 제작사의 보호책임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법안 발의 배경을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전기차 리콜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전용 서비스센터나 정비 인력도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 시장 점유율이 높은 현대차만 봐도 전국 1300여 개 정비소 중 371곳 만이 전기차 전담 센터를 운영 중이다. 르노코리아의 경우 410곳으로 가장 많긴 하나 상당수가 블루레벨(전기차에서 고전압과 무관한 일반 정비)이다. 한국GM도 413곳 중 99곳 만이 수리가 가능하다. 수입차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전국에 57개의 서비스센터가 있지만, 이 중 36곳이 수도권에 몰려 있다. 아우디는 전기차 수리가 가능한 서비스센터가 9곳이며 5곳이 수도권에 위치한다. 지난해 국내에서 1만7828대를 판매한 테슬라의 경우 전국에 서비스 센터가 단 8곳뿐이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09.01 07:00
경제

국토부, 테슬라 모델3·아우디 A3 등 3만824대 리콜

국토교통부는 테슬라코리아,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범한자동차, 기흥모터스에서 수입·판매한 총 14개 차종 3만8246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한다고 17일 밝혔다. 테슬라코리아 리콜 대상 차량은 모델3, 모델Y 등 2개 차종 3만3127대(판매이전 포함)다.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차량 운행 시 안전벨트 경고음이 울리지 않은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확인됐다. 또 모델3, 모델Y 등 2개 차종 210대(판매이전 포함)는 성에 제거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전면 유리의 성에가 정상적으로 제거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확인됐다. 해당 차량은 오는 25일부터 개선된 소프트웨어로 원격 자동 업데이트를 실시한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A3 40 TFSI 등 5개 차종은 조수석 승객 감지 장치 배선 연결부의 접촉 불량으로 사고 발생 시 에어백이 펼쳐지 않는 결함이 드러났다. 해당 차종들은 오는 28일부터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부품 교체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무상 수리를 받을 수 있다. 이밖에 범한자동차에서 수입·판매한 E-SKY 버스 등 4개 차종 69대는 차량 전·후면에 자동차 안전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등화장치를 설치한 것이 보고됐다. 또 기흥모터스에서 수입·판매한 할리데이비슨 팬아메리카 등 3개 이륜 차종 348대(판매이전 포함)는 계기판 소프트웨어 오류로 영하의 온도에서 시동을 걸 경우 계기판 화면이 보이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나타났다. 해당 차량들은 모두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개선된 부품으로 무상 교체·수리가 가능하다. 국토부는 "만약 결함시정 전에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2.17 16:17
경제

기아 카니발·레이, 벤츠 S클래스 등 26만대 '제작결함' 리콜

기아와 벤츠 등 5개 자동차 회사 26개 차종이 리콜된다. 국토교통부는 기아, 메르세데스 벤츠코리아, 만트럭버스코리아, 기흥모터스, 화창상사 등 5개사 26개 차종 26만6632대에서 제작 결함을 발견해 시정조치(리콜)한다고 10일 밝혔다. 기아의 카니발 등 5개 차종 25만590대는 충돌 시 에어백 제어장치 제조 불량으로 충돌 시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벤츠코리아의 CLS 400 d 4매틱 등 7개 차종 1만781대는 엔진 제어장치 소프트웨어에서 냉각수 펌프 내 진공 압력이 높게 설정돼 냉각수가 누수되고, 전기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또 S 580 4매틱 등 6개 차종 3805대는 엔진 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오류로 엔진 시동 후 차량 도난방지장치 데이터가 엔진 제어장치에 저장되지 않아 엔진 시동이 꺼지는 등 안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S 400 d 4매틱 838대는 뒷바퀴 브레이크 패드를 유럽 사양으로 인정하면서 부품 장착 시에는 미국 사양으로 인정된 패드를 장착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차량에 대해서는 추후 시정률을 감안해 과징금이 부과될 예정이다. 만트럭버스코리아의 TGX트랙터 등 2개 차종 395대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자동차 안정성제어장치의 기능고장 경고등 점등이 지연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차량에 대해서도 시정률을 고려해 과징금이 부과된다. 기흥모터스의 할리데이비슨 팬아메리카 등 2개 이륜 차종 181대는 동승자 손잡이가 좌석 받침대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창상사의 인디언 치프 빈티지(CHIEF VINTAGE) 등 3개 이륜 차종 42대는 주행 중 전조등이나 안개등이 점등되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해당 차량들은 각 제작사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받을 수 있다. 제작사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이나 휴대전화 문자로 시정방법 등을 알려야 한다. 시정조치 전에 결함 사항을 자비로 수리한 소유자는 제작사에 수리비용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2.10 15:26
경제

볼보트럭, 아우디 등 총 4282대 리콜…소프트웨어 결함

볼보트럭, 아우디 등 5개사에서 수입·판매한 차량 총 4282대가 제작결함으로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대상이 됐다. 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볼보트럭코리아의 수입·판매 차종 FH 트랙터 등 3095대에서 가변축 자동 하강이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해 지연되는 오작동이 발견됐다. 국토부는 리콜을 진행한 뒤 추후 시정률 등을 고려해 과징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스텔란티스코리아의 지프 그랜드 체로키L 689대는 충돌 사고 때 에어백이 안펴지는 오작동이 드러났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의 A8 60 TFSI LWB qu 134대는 기어 변속장치가 후진 위치에 있을 때 후방 카메라 끄기 기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혼다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포르자750 등 2개 이륜 차종 328대는 엔진제어장치 및 자동변속기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설정 오류가 발견됐다. 출발 때 연료 분사량과 자동변속기의 유압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아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있다. FMK의 마세라티 르반떼 트로페오 등 4개 차종 36대는 연료호스 내 온도·압력 센서 케이스의 내구성 부족으로 균열과 파손이 발생하고, 연료 누유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리콜 대상 차량은 각 제작·판매사의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받을 수 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12.09 16:06
경제

제네시스 G80 등 7개사 22개 차종 리콜…71만대 규모

국토교통부는 현대차, 기아, 한국GM 등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총 22개 차종 71만4720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리콜) 한다고 27일 밝혔다. 우선 현대차·기아에서 제작·판매한 제네시스 G80 등 4개 차종 70만583대는 전자제어 유압장치(HECU) 내부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돼 리콜에 들어간다. HECU는 브레이크장치(ABS), 차체자세제어장치(ESC), 구동력제어장치(TCS)를 통합 제어해 주행 안전성을 유지하는 장치를 말한다. 또 쏠라티(EU) 158대는 승객 좌석의 고정 상태가 불량해 충돌 시 승객 좌석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확인됐다. 국토부는 우선 리콜을 진행하도록 하고 추후 시정률 등을 고려해 과징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한국GM에서 수입·판매한 볼트EV 9476대도 리콜 대상이다. 해당 차종은 고전압 배터리 완충 시 잠재적 화재 위험성이 있어 지난해 11월부터 충전율을 90%로 낮추는 임시 시정조치를 시행해 왔다. 이번 리콜에서는 고전압 배터리 점검 후 이상 변화가 있는 배터리는 교체하고 배터리 진단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게 된다. 또 트래버스 158대는 타이어 제조 불량으로 주행 중 타이어가 손상될 가능성이 확인돼 리콜에 들어간다. 르노삼성차 마스터 2065대는 연료공급 호스와 실린더 헤드 커버가 맞물려 호스에 마모나 손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연료가 새고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발견됐다. 벤츠 GLE 450 4MATIC 등 5개 차종 1177대는 에어컨 응축수 배수 호스 연결부의 조립 불량으로 응축수가 운전석과 조수석 바닥으로 흘러 각종 전기장치의 합선을 유발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또 GLE 250 4MATIC 등 3개 차종 66대는 후방 사이드 스포일러의 고정 불량으로 주행 중 차체로부터 떨어져 나가 안전운전에 지장을 줄 수 있었다. 토요타 벤자 V6 등 2개 차종 546대는 운전석 도어 전기 배선이 짧아 장기간 도어 개폐가 반복될 경우 사이드 에어백 센서 전기배선이 단선돼 사이드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차량은 다음 달 10일부터 한국토요타자동차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무상 점검 후 개선된 부품으로 교체를 받을 수 있다. BMW S1000RR 이륜 차종 133대는 실린더헤드 내 로커암 고정용 나사가 느슨하게 체결돼 나사 홈에서 엔진오일이 새고, 이로 인해 제동 시 미끄러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발견됐다. 스포츠모터사이클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790 ADVENTURE 등 2개 이륜 차종 127대(판매 이전 포함)는 앞브레이크 레버 복귀 스프링의 장력 부족으로 레버 작동 후 원위치로 돌아오지 않아 재출발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각 제작사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문자로 시정방법 등을 알릴 예정이며, 결함시정 전 결함 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차량 소유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5.27 11:20
경제

국토부, 제네시스 GV80 등 9개사 총 2만7414대 리콜

국토교통부는 국내외 자동차 브랜드 23개 차종 2만7414대에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리콜) 한다고 22일 밝혔다. 먼저 현대·기아차에서 제작·판매한 GV80 8783대는 제조공정 중 고압연료펌프에 발생한 흠집으로 인해 내부에 이물질이 생기고, 이로 인해 연료 공급이 되지 않아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됐다. G70과 스팅어 등 2개 차종 2165대에서도 메인 연료펌프 내부 부품 제조 불량으로 연료 공급이 되지 않아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됐다. 볼보자동차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XC60 7755대는 앞 유리 와이퍼 암 고정 너트 체결 불량으로 와이퍼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불모터스에서 수입·판매한 푸조 3008 1.6 BlueHDi 등 10개 차종 7612대는 엔진 제어장치와 변속기 제어장치 간 통신 불량으로 엔진 제어장치가 리셋 되고, 이로 인해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파사트 1.8 TSI GP 등 2개 차종 916대는 앞 좌석 등받이 조절 레버가 반대 방향으로 장착돼 등받이 고정이 불안정하고 사고 발생 시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어 리콜된다. 한국GM에서 제작·판매한 트레일블레이저 13대는 앞 좌석 조절 장치 고정 볼트가 일부 누락되거나 체결이 불량해 급제동 또는 차량 충돌 시 탑승자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익스플로러 등 2개 차종 10대는 앞 좌석 등받이 고정 볼트 및 너트가 제대로 조여지지 않아 충돌 시 측면 에어백이 펼쳐지더라도 탑승자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할 가능성이 지적됐다. 이밖에 바이크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트라이엄프 스트리트 트윈 등 2개 이륜 차종 127대도 리콜 대상이다. 이들 차종은 차대번호 라벨 보호 덮개가 작게 제작·장착돼 핸들 조작 시 덮개 하단의 돌기와 전기 배선 묶음과의 간섭이 생기고, 이로 인해 등화장치 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됐다. 모토로싸에서 수입·판매한 두카티 스트리터파이터 V4 S 등 2개 이륜 차종 33대는 발전기 로터(Rotor)의 내구성이 약해 로터가 파손되고 이로 인해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돼 리콜이 결정됐다. 이번 리콜 대상 차량은 제작·판매사 서비스센터에서 무상 수리받을 수 있다. 리콜 전 자동차 소유자가 자비로 수리한 경우 제작사에 비용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9.22 15:16
경제

제네시스 EQ900·G80 리콜…화재 가능성

현대자동차의 제네시스 차종 5000여 대를 포함해 BMW와 포드 등 12개 차종이 리콜 조치됐다.국토교통부는 현대자동차, BMW코리아,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에프엠케이가 판매 한 12개 차종 1만813대에 대해 제작결함으로 리콜 조치한다고 18일 밝혔다.현대차가 판매한 제네시스 EQ900(HI) 3851대와 G80(DH) 1129대는 운행 시 과다 누유로 불이 날 가능성이 확인됐다.국토부 관계자는 "오일 공급관과 호스 연결부 위치 불량이 주 원인이며 해당 차량은 19일부터 현대자동차 서비스 센터, 블루핸즈에서 부품을 무상으로 교체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BMW코리아가 판매한 535i 등 2671대는 시동꺼짐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어 2016년 리콜이 실시됐지만 결함 가능성 차량이 추가로 확인돼 리콜 대상에 포함됐다.M3모델 290대에서는 전자장비 미작동 등으로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9일부터 BMW 전국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 가능하다.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에서 판매한 컨티넨탈 1930대는 주행중 도어 열림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돼 결함시정에 들어간다.몬데오 916대는 리어테일 램프 안전기준에 부적합해 리콜을 실시하고 과징금도 부과한다. 19일부터 포드세일즈 서비스 코리아 공식 딜러 정비공장 및 지정 정비공장에서 무상으로 수리받을 수 있다.에프엠케이가 수입판매한 M145 26대는 에어백 내부 ECU(전자제어장치) 납땜 불량으로 에어백 전개 상태가 정확히 감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됐으며 지난 16일부터 마세리티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리콜조치를 진행 중이다.국토부는 자동차의 결함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제작결함정보를 수집·분석하는 자동차리콜센터(www.car.go.kr)를 운영하고 있다. 홈페이지에서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상시적으로 해당차량의 리콜대상 여부 및 구체적인 제작결함 사항을 확인 할 수 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2019.07.18 13:20
경제

'화재 위험' 포르쉐 파나메라 2808대 등 리콜

한 대 가격이 2억원대에 이르는 스포츠 세단 포르쉐 '파나메라'가 화재 위험으로 리콜(시정조치)에 들어간다.국토교통부는 포르쉐·혼다·푸조·볼보·BMW·FCA(피아트크라이슬러) 등 6개 수입 자동차 브랜드의 12개 차종·4197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됨에 따라 자발적 리콜이 진행된다고 23일 밝혔다.구체적 리콜 사유를 보면 포르쉐코리아가 판매한 파나메라(970) 2808대의 경우, 에어컨 송풍기 제어장치 실링(밀봉 부분) 사이로 수분이 유입돼 내부 회로 단락에 따른 화재 발생 가능성이 확인됐다.혼다코리아가 판매한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오딧세이' '파일럿' 880대에서는 타이밍 벨트의 코스(벨트와 기어가 맞물리는 부분)가 적정 강도를 확보하지 못해 파손과 함께 엔진이 정지할 위험이 발견됐다.FAC의 지프 레니게이드 BV 440대의 경우 승객 보호 컨트롤러 모듈과 통신 오류(잘못된 명령어 전달) 탓에 에어백이 펴지지 않을 위험이 있었다.한불모터스가 판매한 푸조 508 2.0 블루HDi 등 6개 차종 35대도 리콜 대상이다. 인젝터 레일과 연결된 고압 연료 파이프 너트가 규격에 맞지 않아 연료 파이프 손상, 화재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이다.이밖에 볼보자동차코리아의 XC90 22대는 냉각수 호스 누수 가능성으로, BMW코리아의 i3 94Ah LCI 12대는 동력제어장치 EME의 회로 기판 불량에 따른 구동 모터 전원 공급 차단 위험으로 각각 리콜에 들어간다.리콜 안내는 포르쉐코리아·혼다코리아·에프씨에이코리아·한불모터스 푸조·볼보자동차코리아·BMW코리아 고객 센터에서 받을 수 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2019.05.23 16:24
연예

한국GM '스파크' 등 4개 차종 11만대 리콜

국토교통부는 한국GM·혼다·BMW 등 4개 차종 11만2247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리콜)한다고 26일 밝혔다.한국지엠이 제작·판매한 넥스트 스파크 11만1992대에 주행 중 시동 꺼짐 현상이 발견됐다.엔진제어장치(ECM) 소프트웨어 설정이 잘못돼 엔진에서 불완전 연소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저속 구간에서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한국지엠은 이미 지난 3월 10일부터 이 결함에 대해 “해당 현상 발생 시 제동과 조향이 가능하고 즉시 재시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 운행에는 영향이 없다”며 리콜이 아닌 공개 무상 수리를 시행 중이었다.하지만 국토부와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조사 결과, 안전 운행에 지장을 주는 제작 결함으로 결론이 났고 한국지엠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리콜로 전환됐다.해당 차량 소유자는 27일부터 한국GM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엔진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혼다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시빅 196대는 브레이크액 저장장치 마개에 경고 문구가 제대로 표기돼 있지 않아 자동차 안전기준을 위반했다.국토부는 자동차관리법 74조에 따라 혼다에 과징금을 부과하고 26일부터 해당 차량의 소유자들에게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브레이크액 저장장치 마개를 교환하도록 조치했다.BMW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M6 쿠페 45대는 사고 시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과도한 폭발 압력으로 발생한 부품의 금속 파편이 탑승자들에게 상해를 입힐 만한 위험이 발견돼 리콜 처분을 받았다. 해당 에어백은 일본 타카타사에서 만든 제품이다.해당 차량의 소유자는 27일부터 BMW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받을 수 있다.한불모터스에서 수입·판매한 시트로엥 C4 칵투스 1.6 블루 HDi 14대는 브레이크 호스가 차체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손상과 제동력 저하 가능성이 있어 리콜 처분을 받았다.해당 차량의 소유자는 30일부터 한불모터스 서비스센터에서 무상 수리를 받을 수 있다.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7.10.26 13:1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