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77건
생활문화

수면유도기기 ‘에이크리스’ CES-DTx 혁신상 및 미국 특허 획득

(주)피티브로(PTBRO)(대표 김태훈)가 개발한 스마트 헬스케어 웨어러블 장치 ‘에이크리스’(AcheLess)가 미국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이 업체는 경남정보대학교 물리치료과 창업 동아리 피티브로 출신 졸업생과 교수진이 의기투합하여 2022년 설립한 메디컬 벤처기업이다. 탁월한 기술력을 앞세워 2023년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투자유치데모데이에서 우수상을 받았고 부산인큐베이팅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된데 이어 2024년 디딤돌 R&D 지원사업에도 선정되었다. 김태훈 대표는 연구진과 함께 전기 자극을 이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 개발에 매진한 끝에 신개념 전기자극치료기(SSP, silver spike point therapy)인 ‘에이크리스’ 개발에 성공했다. 이 제품은 은침이 부착된 특수 패드를 턱과 관자놀이 부위에 붙이고 미세 전류로 자극해서 질병을 완화하는 원리로 작동된다. KC 인증과 국내 특허 5건, 미국 특허 1건, 상표 등록 6건, 디자인 특허 1건을 취득했고 3건에 대해 특허 출원했는데 이 기기는 무게가 150g으로 가벼운데다 조작이 간단하다. 따라서 누구나 쉽게 사용하면서 논문 및 임상시험을 통해 입증한 물리 치료 효과를 체험할 수 있고 크기가 작아 휴대하기 용이하다. 에이크리스는 턱관절 부위 통증과 두통 증상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수면 유도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불면증 완화용 헬스케어 제품으로 사용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5 하반기 일간스포츠 선정 혁신한국인 파워코리아 대상을 수상한 피티브로는 신소재 기반 ‘피티브로 다이나믹 포웨이(4way) 테이프’ 제품도 출시했다. 부산대학교에서 기술을 이전받아 생산하는 이 제품은 스포츠 재활 전문가나 물리치료사가 시행하는 테이핑 요법을 일반인들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설계한 것이다. 제품의 성능과 안정성이 뛰어나고 피부 친화적이어서 의료용품 시장에서 대히트를 기록하는 중이며 대한물리치료교수협의회가 공식 인증(족저근막염 예방 테이프) 제품으로 선정했다. 최근 미국 특허를 획득한 피티브로 김태훈 대표는 “정부와 지자체가 각 중소기업의 사업 특성과 형편을 고려해서 체계적․지속적으로 맞춤 지원을 해야 중소기업들이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해외 바이어들과 수출 계약을 여러 건 체결했고 곧 조달청 등록, 미군 군납이 실현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5.08.30 11:30
생활문화

국내 PP포대 산업 분야 강소기업 활약 주목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FDA 승인을 받은 포장재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를 보인다. 이런 가운데 전남 해남군 옥천면에 위치한 (주)동원(상무 김찬영)이 국내 PP포대 산업 분야에서 꾸준히 성장세를 키우며 업계 발전을 견인해 주목받고 있다. 이 업체는 2017년 설립된 PP포대 생산 전문 강소벤처기업(ISO90001/메인비즈(Main-Biz) 인증)이다. 자동화 생산 설비를 구축하고 PP(Polypropylene) 기반 소재를 사용한 천일염/곡물용 PP포대와 대용량 물질 운반․보관용 벌크 컨테이너 백(톤백)을 주문․생산하고 있다. 이 회사 PP포대 제품의 특장점은 ‘선별적 불량방지 장치를 활용한 제직방식’으로 매우 견고하고 인장 강도가 뛰어나 중량물을 적재하더라도 포대가 찢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방수성․방습성․방충성은 물론 내열성․내오염성․내화학성이 탁월하며 기존 황마 포대보다 무게가 가볍고 위생적이다. 따라서 농산물이나 소금 등 식품을 안전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야외에 장기 보관하더라도 포대가 변색되거나 내구성이 약화되지 않는다. 동원의 PP포대는 리사이클링이 가능한 환경 친화적인 제품인데다 인쇄 적성이 좋아서 고객사들이 브랜드 마케팅 효과를 톡톡히 누리게 된다. 포대 크기를 다양(적재 용량 10~40kg)하게 생산하므로 고객들이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고 소량/대량 주문․생산, 소비자의 특수 요구 사항을 반영한 맞춤 생산도 가능하다. 2025 하반기 일간스포츠 선정 혁신한국인 파워코리아 대상을 수상한 동원에서는 식품용으로 안전성을 인증받은 PP 원료 입고부터 제품 생산까지의 전 공정을 세심하게 관리하고 까다로운 품질 검사를 통과한 제품만 출고하는데, 완성품은 자체 물류 시스템과 전국 거점 창고를 기반으로 전국 각지에 신속․정확히 배송해준다. 이 업체는 변화하는 시장 환경과 소비자 요구에 발맞춰 친환경 PP 포장재 연구․개발에 힘을 쏟으면서 고품질을 앞세워 해외 PP 포장재 시장으로 진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김찬영 상무는 “앞으로 제품 품질 향상 및 생산 효율성 극대화를 목표로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라며 “(주)동원을 단순한 포장재 생산 업체 수준을 뛰어넘어 농산물 유통 전반에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당차게 포부를 밝혔다. 2025.08.29 17:00
생활문화

정보통신 올인원시스템 구축, 신기술 개발 박차 가하다

통신 설비는 개인과 기업 간 정보 전달 및 커뮤니케이션, 비즈니스의 필수 요소여서 통신 분야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한 (주)인테크(대표 이상국)는 통신 시설 서비스 전문 기업이다. 이 업체는 2002년 디아이스통신기술(주)로 출범해 2016년 인테크로 상호를 변경했고 지금은 홈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흔들림 방지 카메라용 짐벌, 선박용 블랙박스 장치 등 다수 특허 기술을 보유한 정보통신 분야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ISO 45001/14001, MAIN-Biz/Inno-Biz 인증을 획득한 이곳의 주요 사업은 정보통신공사와 엔지니어링이다. 정보통신공사 면허를 보유한 전문 인력들이 차별화된 기술과 노하우를 발휘해 LAN 네트워크, 통합 배선, 홈 네트워크, IT/IoT/OT 시스템, CATV, CCTV, 구내방송 설비, 출입통제/주차관제 SI 시스템, PACS(의료영상저장․전송) 시스템 등 각종 정보통신 설비 공사를 실시한다. 아파트/오피스텔/호텔/리조트/학교/전산센터/공장 등 일반 건축물은 물론 병원/공항/미군부대/국방부/철도청 등 특수 건축물에 최적화된 통신 설비를 설계해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해준다. 2025 상반기 일간스포츠 선정 혁신한국인 파워코리아 대상(기술혁신/정보통신 부문)을 수상한 인테크가 진행하는 모든 통신 설비 공사는 관련 법규를 준수하면서 국제표준규격과 공인 인증을 획득한 자재로 약속된 기간에 면밀하게 시공하고 하자 발생 시 즉각 A/S해준다. 이 업체는 타워팰리스, 아크로비스타, 평택FED, 제주신화월드 등의 통신 설비 공사를 수주․완료하며 높은 실적을 쌓았다. 지금도 6년째 인천국제공항에서 정보통신 시스템 구축 공사를 하고 있으며 건설사들과 협력해 신축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의 통신 설비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이외에 데이터센터, 제조 라인 등 대규모 현장에 광케이블 및 네트워크 랜 케이블 포설․접속, 케이블 유지․보수 서비스도 제공한다. 인테크는 2026년 특허 기술 상용화 절차에 착수하고 2030년까지 자사의 기술력이 돋보이는 상품을 양산․출시하며 글로벌기업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2025년 벤처기업부장관상을 수상한 이상국 대표는 “최근 공공기관 클라우드 전환 구축을 완료해 MSP 운영 관리도 담당하고 있으며 통신 설비 시공 품질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에 힘을 쏟는다”고 말했다. 2025.07.03 11:30
산업

그로텍이엔씨, 벤처기업 인증 취득

식음료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전문기업 그로텍이엔씨가 벤처기업 인증을 받았다. 그로텍이엔씨는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벤처기업 인증을 취득했다고 5일 밝혔다. 그로텍이엔씨가 획득한 인증은 벤처기업 인증 가운데 벤처투자유형으로, 외부 투자기관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기업에게 부여된다. 그로텍이엔씨는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하고 있으며 앞으로 성장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됐다. 이번 벤처기업인증 획득을 통해 그로텍이엔씨는 관련 사업에 대한 법인세 감면, 투자유치 기회 확대, 정부과제 선정시 우대, 정책 자금 등 전부 지원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그로텍이엔씨 관계자는 "이 인증을 계기로 앞으로도 기업 경쟁력을 강화해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그로텍이엔씨는 초콜릿과 제빵 계란물 대량작업에 특화된 피스톨레박스와 파베이크 오븐개발로 특허를 취득하며 독자적 기술력을 입증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5.06.05 15:47
생활문화

핏투게더, 'FIFA Preferred Provider' 재인증 받아… FIFA와 공동연구 지속할 것

국제축구연맹(FIFA)이 스포츠 퍼포먼스 트래킹 시스템(EPTS) 분야의 선두 기업인 ㈜핏투게더를 'FIFA Preferred Provider'(FPP)로 재지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재지정은 핏투게더의 뛰어난 기술력과 제품의 높은 품질을 FIFA가 다시 한번 인정한 결과다.FIFA 품질 프로그램은 축구 용품 및 기술에 대한 엄격한 품질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충족하는 기업에게 인증을 부여하는 권위 있는 제도다. 핏투게더는 FIFA의 IMS(International Match Standard) 인증을 아시아 기업 최초로 2021년 획득한 뒤 FPP 자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글로벌 축구 시장에서 기술력을 선도하는 기업임을 입증했다. FPP는 EPTS 분야에서 FIFA가 특별히 선호하는 기술 제공업체에 부여하는 자격이다. 핏투게더는 이번 재지정을 통해 FIFA가 주관하는 각종 대회 및 기술 개발 프로젝트에 우선적으로 참여하고 협력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확보하게 됐다.FIFA는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핏투게더와 진행하는 공동연구에 대해서도 밝혔다. 제안된 모델은 PDOP(Position Dilution of Precision), 평균 신호 강도 및 RTK(Real-Time Kinematic) 측위 기술을 활용하여 GNSS 신호 오류를 더 깊이 이해하게 한다. 이후 경기장 특성, 기후와 같은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GNSS 데이터 성능을 정량화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FIFA는 이러한 이해가 최종 사용자에게 현재 기술의 이점과 한계를 알리고, 기술 제공업체가 축구계의 발전을 위해 시스템을 개선하도록 장려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FIFA 관계자는 "핏투게더와의 공동 연구는 웨어러블 기술의 데이터 품질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EPTS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전 세계 축구의 과학적 분석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이번 FIFA Preferred Provider 재지정은 핏투게더가 데이터 기반 스포츠 과학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핏투게더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콘텐츠진흥원와 국민체육진흥공단,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각종 지원사업으로 웨어러블 EPTS를 개발해왔다. 또한 국내 다수의 유력 VC로부터 250억원 이상의 투자를 받았었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FIFA 품질인증, FPP를 시작으로 카타르 Apsire Academy 파트너, MLS이노베이션 랩 3개 기업 중 1개로 선정되는 등의 글로벌적인 성과를 내왔다.핏투게더 윤진성 대표는 “코로나팬데믹 이후로 급격하게 성장하는 웨어러블 EPTS 시장에서 기술적인 강점을 다시 한번 인증받아 기쁘다”면서 “투자자와 정부부처의 지원을 받은 만큼 이제는 양적인 성장을 통해 수출을 장려하고 새로운 산업을 선도하면서 이에 답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2025.03.26 11:36
생활문화

IoT, ICT 융합기술, 친환경 자동화 시스템의 뉴 패러다임

인류의 삶을 위협하는 이상 기후 현상에 대한 심각성이 부각되면서 친환경이 21세기를 대표하는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이런 시점에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주)시스템테크(대표 황순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주)시스템테크는 2009년 설립된 친환경 솔루션 자동화 시스템 개발․공급 전문 기업이다. 오랜 기간 조선․자동차․철강․석유화학․원자력․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전문적으로 공급하며 고급 엔지니어링 기술을 축적해왔다. 이를 토대로 친환경 선박 연료인 초저온 LNG 공급용 왕복동 펌프 모터의 가변 속도를 제어하는 데 ‘DRIVE UNIT’을 적용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는 초저온 펌프 제품을 생산하는 글로벌기업 A사와 당사의 모터 기술을 융합한 산물로서, 기존 화학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 엔진을 저탄소 친환경 LNG 연료와 병행하도록 이중 연료 엔진으로 전환하는 데 필수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이 신기술을 적용하면 연료 소비량 절감, 탄소 배출량 저감 효과를 얻으면서 선박을 효율적, 친환경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글로벌 트렌드인 ESG 경영을 실현하게 된다. 연료 펌프와 고정밀 속도 제어가 가능한 Drive System이 연동되는 고효율 방폭 모터는 국내는 물론 일본, 중국, 북미, 유럽 선주사에 공급되고 있다. 이외에도 미래 친환경 에너지로 각광받는 수소자동차 충전소의 액화수소 연료 공급 시스템에도 적용되고 있다. 현재 전국 21개소에 충전소 설치중에 있으며, 향후 150여 곳에 충전소가 설치될 예정이다. 2025 일간스포츠 선정 혁신한국인 파워코리아 대상을 수상한 시스템테크는 국내 자동화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의 모범 사례가 됨으로써 2022년 혁신성장유형 벤처기업 인증을 취득했다. 또 국가 경제 발전의 핵심축인 무역 분야에서 탁월한 수출 성과를 거둔 공로를 인정받아 2024년 제61회 무역의 날 삼백만불 수출 탑, 한국무역협회 표창을 수상했다. 시스템테크 황순태 대표는 “급변하는 시장 변화에 발맞춰 당사 기술을 초고압, 초저온 액화가스 공급 기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며 시장 확장에 나서는 한편, 글로벌 네트워크와 IoT, ICT 융합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에너지 관련 친환경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거듭날 계획”이라는 청사진을 밝혔다. 2025.03.03 11:00
생활문화

스카이브, ISO 13485 인증 획득...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공략 본격화

정형외과 의료기기 전문 기업 스카이브가 의료기기 품질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 13485 인증을 획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뢰성을 더욱 강화했다. 2023년에는 FDA 510(k) 승인도 받아 해외 시장 진출의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노비즈(기술혁신형 중소기업) 확인서와 벤처기업확인서를 획득하며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다.ISO 13485는 의료기기 품질관리 국제 표준으로, 이번 인증을 통해 스카이브는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게 됐다.스카이브의 인공무릎관절은 1만 건 이상의 한국인 해부학적 영상 이미지를 바탕으로 개발되어 한국인에게 최적화된 제품이다. 특히 환자의 편안한 움직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첨단 기술이 적용되었다.또한 VR(가상현실)을 이용한 의료진의 수술교육 AR(증강현실)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수술 계획의 정밀도를 높이고, 보다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의 회복 과정 개선에도 도움을 준다고 알려졌다.스카이브는 2023년 FDA 510(k) 승인을 획득하며,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FDA 510(k)는 의료기기가 기존 허가 제품과 동등한 안전성과 효과를 갖추었음을 입증하는 절차로, 이를 통해 스카이브의 인공관절 제품이 미국 내 판매 및 유통이 가능하게 됐다.스카이브는 오는 '2025년 3월 미국 정형외과 학회(AAOS,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에 참가해 자사의 혁신적인 인공관절 제품과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AAOS 학회는 세계적인 정형외과 전문가들이 모이는 자리로, 이를 통해 스카이브는 글로벌 의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스카이브의 강경탁 대표는 "이번 ISO 13485 인증 및 FDA 510(k) 승인을 바탕으로 글로벌 정형외과 시장에서 더욱 신뢰받는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특히, 2025년 AAOS 학회를 통해 전 세계 의료진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기술력을 적극 알릴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스카이브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인공관절 및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고도화하며,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혁신적인 의료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음을 밝혔다. 2025.02.27 11:30
생활문화

‘엘라탄 안전장화’ 건설⋅수산⋅조선소⋅식당 등 각종 산업 현장에서 인기

국내 특수화 분야에서 독보적 위상을 차지한 (주)에이로(A-ro)(대표 채경록)가 혁신적인 작업화를 출시하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부산광역시 사상구에 본사를 둔 이 업체는 2007년 설립된 신발 제조 및 신발용 신소재 개발 전문 벤처기업이다. 주요 생산 품목은 기능성 워킹화, 안전장화(작업화), 컴포트화, 욕실화, 비치샌들, 슬리퍼, 지압샌들, EVA 소재 아웃솔/미드솔 등이다. 2024-2025 일간스포츠 선정 혁신한국인 파워코리아 대상을 수상한 에이로는 착용자의 발 건강과 안전, 착화감, 환경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면서 다년간 축적된 기술과 자체 개발한 신소재를 토대로 에이로 엘라탄 PU 안전장화를 새로 선보였다. 엘라탄 안전장화는 폴리우레탄 혼합물로 제작하면서 신발 앞부분에 기존에 사용해온 스틸 토캡 대신 총알도 뚫리지 않는 복합 소재 플라스틱 토캡을 사용하고 바닥에 섬유복합체 내답판을 삽입한 것이 특징이다. 이 신발은 건설 현장의 못이나 콘크리트/진흙/석회 등 이물질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나 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경유/가솔린, 바닷물이 묻어도 소재의 물리적 특성이 변하지 않고 미세 정전기를 막아주면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기를 바닥으로 배출하는 대전 기능이 탁월하다. 논슬립 아웃솔을 채택해 미끄러지지 않으며 -40도 극저온에서도 잘 견딜 정도로 견고하고 내구성과 방수성․통기성이 뛰어나다. 또 가볍고 유연한데다 충격흡수성이 좋고 인체공학적 설계로 발이 편안해서 상표 특허와 KC 인증을 취득했다. 국가 R&D 과제를 통해서 제품 국산화에 성공한 것이다. 신발 소재 개발부터 제조·유통을 포괄하는 원스톱 경쟁력으로 세계 신발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채경록 대표는 “고기능성 ‘엘라탄 안전장화’는 건설⋅제조⋅수산⋅청소업체⋅조선소⋅고깃배⋅냉동창고⋅식당⋅탄광 등 각종 산업 현장에서 사용 가능하다”고 말했다. 2025.01.08 09:45
경제일반

문체부‧관광공사, ‘2024 관광벤처의 날’ 36개 우수기업 선정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와 한국관광공사(이하 공사)가 가장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한 관광기업 36곳을 선정했다.문체부와 공사는 23일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2024 관광벤처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 ‘관광벤처의 날’은 2019년부터 시작된 우수 관광기업 대상 시상식으로, 코로나19로 중단된 2020년과 2021년을 제외하고 4회째를 맞이했다. 올해는 총 7개 부문에서 우수기업 36개 사를 선정해 시상했다. 이 중 최우수기업 8개 사에는 문체부 장관상을, 28개 사에는 공사 사장상을 수여했다. 성장관광벤처로 2024년 신규기업 부문 최우수상을 받은 ‘주식회사 디벨로펀’은 지역 고유 관광자원을 리브랜딩해 지역 재생에 이바지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경남 창원의 침체된 원도심을 ‘소리단길’이라는 브랜드로 탈바꿈시켜 핫플레이스로 자리 잡게 했다. 특히, 관 주도가 아닌 민간 청년창업가 주도로 추진된 결과라는 점도 이번 평가에 주요하게 작용했다.관광 글로벌 챌린지 프로그램 부문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된 ‘가제트코리아’는 합리적인 휴대전화 로밍 서비스를 위한 고객 맞춤형 전자 SIM 요금제를 제공하고 있다.관광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부문 최우수 기업 ‘아이코닉 무브먼트’는 ICT 기반 실감형 콘텐츠를 제작하는 기업으로, 창업 3년 남짓의 초기 스타트업임에도 불구하고 올 한 해 19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며 태국, 중국 등 글로벌 시장 공략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관광 플러스테크 부문의 최우수상은 기술과 생성AI 결합을 통해 여행사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누아’가, 관광기업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혁신바우처 지원사업 부문은 GPS 기반의 등산ㆍ트래킹 코스 안내와 완주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로포인트트레일’이 최우수상을 받았다. 올해 혁신바우처 사업에서 처음 도입한 서비스 로봇 부문에서는 장작 등 물품 배달을 로봇으로 해결한 ‘산으로 간 니모 캠핑장’이 특별상을 받았다.김동일 공사 관광산업본부장은 “올해는 초기 관광기업들의 사업 아이디어를 검증하는 실증화 사업 기회를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며 “앞으로도 국내외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싱가포르, 도쿄, 방콕에 설치된 해외 관광기업지원센터를 통해 우수 관광벤처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4.12.24 09:36
생활문화

핏투게더, 2024년 FIFA EPTS 품질 프로그램 최우수 성적 받아

FIFA의 공식 우선 공급자(Preferred Provider)인 스포츠테크 기업 핏투게더(Fitogether)가 2024년 FIFA 전자 퍼포먼스 및 추적 시스템(EPTS) 품질 프로그램 내 웨어러블 분야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이러한 성과는 문화체육관광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체육 스포츠 분야의 글로벌 스타트업을 육성하려는 정부 부처의 각종 지원을 통해 이룩한 성과라고 평가된다.FIFA EPTS Quality 프로그램(품질 프로그램)은 축구 경기에서 사용되는 웨어러블 및 광학 추적 장치의 안전성과 성능을 평가하고 인증하기 위해 설계된 제도다. 이 프로그램은 선수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데이터 기반의 경기 분석과 운영을 돕는 장비의 신뢰성을 검증한다. FIFA는 이를 통해 축구 기술 산업의 품질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에는 FIFA Basic과 FIFA Quality로 나뉜다.FIFA Basic 마크는 웨어러블 장치가 선수들에게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단계다. 안전성 테스트를 통과한 장비에만 FIFA Basic 마크가 부여된다. FIFA Quality 마크는 위치와 속도 데이터의 정확성, 장치의 신뢰성 등을 평가해 성능 기준을 충족한 장치에 부여된다. 평가 기준은 속도(Velocity)와 위치(Position)을 각각 6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개별 구간에서의 정확성을 Well-above부터 Well-below 5단계로 구분해 평가한다.핏투게더는 이번 평가에서 FIFA Quality 마크를 획득한 웨어러블 EPTS 6개 기업 중 한 곳이었으며, 특히 범위별 각각 평가에서 속도와 위치 모두 Well-above가 나오면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특히 RTK GPS모델인 Y 뿐만 아니라 일반모델인 x-live도 전 영역에서 Well-above가 나왔다는 점에서 경쟁업체 대비 우수한 기술력을 FIFA로부터 인증 받았다. 2024년 FIFA 품질 프로그램에는 핏투게더를 포함해 호주의 상장사인 캐터펄트(Catapult), 영국의 스탯스포츠(STATSports) 등 글로벌 스포츠테크 기업들이 참여했다.Quality 리포트는 FIFA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한데, 해당 리포트를 참고해보면 핏투게더 다음으로 독일의 키넥슨사와 영국의 스탯스포츠가 우수한 평가를 받은 기업이었다. 키넥슨의 경우 속도부분에서 5~10km/h, 10~15km/h, 15~20km/h, 20~25km/h에서만 Above 등급을 받고 나머지에서는 Well-Above를 받았다. 영국의 스텟스포츠의 경우 LPS를 활용한 제품의 속도에서는 10~15, 15~20, 20~25km/h 영역에서 Above를 위치에서는 5~10km/h, 10~15km/h, 25+km/h에서 above를 받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전부 Well-above를 받았다.핏투게더 윤진성 대표는 “올해 갱신 평가에 우리보다 훨씬 크고 저명한 기업들이 많아 결과를 낙관만 할 순 없었다”면서, “그래도 오랫동안 기술력에 집중한 결과 그 성과를 전부 well-above가 나왔다는 점에서 만족한다”고 말했다. 또한 초정밀 측위에 사용되는 RTK GPS 적용하지 않은 Cell X의 평가 결과에 대해서 “Cell X에 사용되는 일반 GPS의 하드웨어적인 한계에도 이렇게 우수한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 가장 고무적”이라고 평가하면서, “올해 끝낸 97억 시리즈C 자금과 이 결과로 글로벌 시장으로 성장해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핏투게더는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육진흥공단 등이 지원하는 각종 스포츠영역의 혁신 R&D과제와 중소벤처기업부의 지원을 받아 EPTS를 개발하고 사업화해왔다. 최근에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스케일업팁스에 선정돼 초정밀 측위가 가능한 Cell Y 제품을 개발 중에 있다.핏투게더 CTO인 박철우 이사는 “2년마다 진행한 FIFA EPTS 테스트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원동력은 이러한 각종 정부부처의 지원”이라면서, “초기 기술개발에만 집중했던 당사에게 기술개발자금, 특허 & 수출전략, 법무와 관련된 지원을 준 각 정부부처 공무원분들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2024.12.06 14:33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