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95건
메이저리그

타율·안타·득점·장타율·OPS 1위...이정후, 단연 샌프란시스코 '넘버원' 플레이어 [IS 포커스]

잠시 주춤했던 이정후(27·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맹타를 휘둘렀다. 주요 타격 대부분 팀 내 1위를 되찾았다. 이정후는 7일(한국시간)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리글리 필드에서 열린 2025 메이저리그(MLB) 정규시즌 시카고 컵스와의 원정 경기에 3번 타자·중견수로 선발 출전, 6타수 3안타(1홈런) 3타점 2득점을 기록하며 샌프란시스코의 14-5 승리를 이끌었다. 1회 초 첫 타석에서 침묵한 이정후는 샌프란시스코가 2-0으로 앞선 3회 초 1사 1루에서 상대 선발 투수 콜린 레아의 93.9마일(151.1㎞/h) 포심 패스트볼(직구)를 당겨쳐 105.4마일(169.6㎞/h) 총알 같은 타구를 우중간 담장으로 넘겼다. 올 시즌 4호 홈런이었다. 지난달 14일 뉴욕 양키스전 이후 22경기 만에 쏘아 올린 대포였다. 4월 25일 밀워키 브루어스전 이후 11경기 만에 장타를 추가하기도 했다. 이정후는 7회 초 네 번째 타석에서 상대 불펜 투수 브래드 켈러가 구사한 97.2마일(156㎞/h) 바깥쪽(좌타자 기준) 강속구를 공략해 중전 안타를 치며 멀티히트를 완성했고, 연장 11회 초 여섯 번째 타석에서 라이언 프레슬리의 초구 93.1마일(150.6㎞/h) 몸쪽(좌타자 기준) 낮은 코스 직구까지 우전 안타로 연결하며 '3안타' 경기를 만들었다. 지난달 24일 밀워키전 이후 12경기 만에 한 경기에 3안타를 기록했다. 올 시즌 4호. 이정후는 시즌 타율을 종전 0.302에서 0.312, 장타율도 0.485에서 0.507까지 끌어올렸다. 5월 첫 5경기에서 2번 무안타에 그치는 등 16타수 3안타를 기록하며 주춤했지만, 다시 뜨거운 타격감을 보여줬다. 이정후는 샌프란시스코 타자 중 가장 높은 타율(규정타석 기준)을 유지했다. 이날 컵스전에서 득점 2개를 추가하며 시즌 27개를 쌓아 엘리엇 라모스를 제치고 이 부문도 팀 내 단독 1위가 됐다. 43개를 기록한 시즌 안타 순위 역시 2위 라모스(36개)보다 7개 많은 1위를 유지했다. 3개 더 추가하며 시즌 23개를 마크한 타점은 윌머 플로레스(32개)에 이어 2위였다. 출루율(0.364)은 마이크 야스트젬스키(0.385)에 이어 2위지만, 장타율은 야스트젬스키(0.477)보다 3푼 높은 0.507를 마크하며 1위를 지켰다. 당연히 장타율과 출루율의 합계인 OPS(0.871)도 팀 내 1위다. 심지어 이정후는 주자가 있을 때 타율도 0.350으로 가장 높다.기록이 말해준다. 개막 전까지 내셔널리그 서부지구 1위 경쟁에서 밀릴 것으로 보였던 샌프란시스코의 고공행진을 이끌고 있는 건 단연 이정후다. 4월 셋째 주까지 1위를 지켰던 2루타(11개) 부문도 1위 알렉스 브레그먼, 바비 위트 주니어와 3개 차다. 이정후는 여전히 좋은 타격감을 유지하고 있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5.07 17:30
메이저리그

이정후도 잘하지만...4월 SF 해결사는 '저연봉' 플로레스→저지와 어깨 나란히

이정후의 소속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29일까지 17승 10패를 기록, 월드시리즈 '디펜딩 챔피언' 로스앤젤레스(LA) 다저스와 함께 내셔널리그(NL) 서부지구 공동 1위를 지켰다. '호화 군단' 다저스와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비교해 전력이 떨어지고, 지난 스토브리그에서 이를 상쇄할 만큼 큰 보강도 하지 않았었기에 샌프란시스코의 4월 행보에 시선이 모였다. 이정후는 29일까지 타율 0.324를 기록하며 3번 타자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팀 내 최다 안타(35개)를 기록했고, 득점(22개)도 가장 많다. 특히 2루타 11개를 기록, 이 부문 리그 전체 2위에 올라 있다. 100마일 강속구를 100마일 총알 타구로 응수할 만큼 MLB 무대에 적응을 마쳤다는 평가다. 이정후는 아직 한 번도 두 경기 연속 무안타를 기록하지 않았을 만큼 꾸준하기도 하다. 미국 스포츠 매체들도 이정후의 활약에 감탄한 눈치다. 샌프란시스코의 약진은 이정후 한 명의 힘으로 이뤄진 건 아니다. 빼놓을 수 없는 선수가 바로 윌머 플로레스(34)다. 그는 29일까지 타율 0.248(101타수 25안타) 7홈런 28타점을 기록했다. 타율은 이정후와 비할 바 아니지만, 홈런과 타점이 많다. 타점은 '청정 홈런왕' 애런 저지(뉴욕 양키스)와 함께 MLB 전체 공동 1위를 지켰다. 저지가 30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1타점을 추가하며 한 발 앞서갔지만, 아직 샌프란시스코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을 치르기 전이다. 플로레스의 팀 기여도는 전통적인 타격 지표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승리에 결정적인 타격을 자주 보여줬기 때문이다. 지난 6일 시애틀 매리너스전이 대표적이다. 그는 4-4 동점이었던 9회 말 2사 2루에서 대타로 나서 끝내기 적시타를 치며 팀 승리를 이끌었다. 24일 밀워키 브루어스전에서는 0-0이었던 6회 말 선제 2타점 적시타를 쳤고, 23일 밀워키전 역시 2-2 동점이었던 6회 말 균형을 깨는 솔로홈런을 쳤다. 뉴욕 양키스 원정(양키 스타디움)에서도 3차전은 멀티포를 쏜 이정후가 더 주목받았지만, 4-8로 패한 2차전에선 그가 홀로 4타점을 올리며 샌프란시스코 자존심을 지켰다. 당장 지난달 28일 신시내티 레즈와의 개막전 3-3으로 맞선 9회 초 역전 스리런홈런을 치며 샌프란시스코의 시즌 첫 승을 이끈 것도 그였다. 플로레스는 2013시즌 뉴욕 메츠에서 데뷔, 10~15홈런을 기대할 수 있는 타자라는 정체성으로 빅리그에서 생존했다. 샌프란시스코 이적 뒤 치른 2022시즌 처음으로 규정타석(502) 이상 소화했다. 2024시즌도 그는 부상으로 71경기 밖에 나서지 못했다. 플로레스의 올 시즌 연봉은 350만 달러. 현재 이 선수의 가치는 윌리 아다메스(3114만2857달러), 맷 채프먼(2516만6667달러)와 비교해 크게 떨어진다. 물론 이정후(1683만3334달러)보다도 그렇다. 그런 선수가 MVP(저지)와 타격 주요 지표인 타점에서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효율성 기준으로 현재 최고의 선수는 플로레스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4.30 09:10
메이저리그

'볼넷 2개 포함 3출루' 이정후, 4할대 출루율 진입 눈앞…OPS NL 7위, 팀 1위

이정후(27·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4할대 출루율 진입을 눈앞에 뒀다.이정후는 25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라클 파크에서 열린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홈 경기에 3번 타자·중견수로 선발 출전, 3타수 1안타 2볼넷 1득점 1타점을 기록했다. '3출루'로 활발하게 공격을 이끈 이정후의 활약을 앞세워 샌프란시스코는 6-5로 역전승을 거뒀다.경기 후 이정후의 타율은 0.333(96타수 32안타)를 유지했다. 눈길을 끄는 건 출루율. 0.388에서 0.398까지 끌어올려 4할대에 근접했다. 부문 메이저리그(MLB) 전체 19위이자 내셔널리그(NL) 11위, 팀 내에선 마이크 야스트렘스키(0.414)에 이은 2위이다. 출루율에 장타율(0.583)을 합한 OPS는 0.981로 MLB 전체 11위, NL 7위, 팀 내 1위에 해당한다. 타격의 정확도는 물론이고 출루에 장타 능력까지 흠잡을 곳이 없다. 이날 이정후는 1회 첫 타석부터 2루타를 때려냈다. 0-1로 뒤진 1사 2루 찬스에서 밀워키 오른손 선발 토비아스 마이어스의 초구 포심 패스트볼을 잡아당겨 우익수 방면 장타로 연결했다. 이로써 이정후는 홈런왕 출신 피트 알론소(뉴욕 메츠)와 MLB 2루타 부문 공동 선두(11개)로 올라섰다.3회 두 번째 타석은 볼넷, 5회 세 번째 타석에서도 볼넷으로 걸어 나간 뒤 후속 맷 채프먼의 홈런 때 득점까지 올렸다. 6회와 8회는 각각 1루 땅볼과 중견수 뜬공으로 범타. 샌프란시스코는 4-5로 뒤진 8회 말 1사 2,3루에서 상대 야수 선택으로 동점을 만든 뒤 계속된 1사 1,3루에서 좌익수 크리스티안 옐리치의 포구 실책을 틈타 역전 점수를 뽑았다. 9회 초 마무리 투수 카밀로 도발이 무사 1루 위기를 실점 없이 막아내며 1점 차 승리를 챙겼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4.25 08:04
메이저리그

'MLB 2루타 공동 1위 11개' 이정후, 볼넷 2개 포함 '3출루'…SF 6-5 역전승

2루타 생산을 재개한 이정후(27·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팀 승리에 힘을 보탰다.이정후는 25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라클 파크에서 열린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홈 경기에 3번 타자·중견수로 선발 출전, 3타수 1안타 2볼넷 1득점 1타점을 기록했다. '3출루'로 활발하게 공격을 이끈 이정후의 활약을 앞세워 샌프란시스코는 6-5로 역전승을 거뒀다.이날 이정후는 1회 첫 타석부터 2루타를 때려냈다. 0-1로 뒤진 1사 2루 찬스에서 밀워키 오른손 선발 토비아스 마이어스의 초구 포심 패스트볼을 잡아당겨 우익수 방면 장타로 연결했다. 이로써 이정후는 피트 알론소(뉴욕 메츠)와 메이저리그(MLB) 2루타 부문 공동 선두(11개)로 올라섰다. 3회 두 번째 타석은 볼넷, 5회 세 번째 타석에서도 볼넷으로 걸어 나간 뒤 후속 맷 채프먼의 홈런 때 득점까지 올렸다. 6회와 8회는 각각 1루 땅볼과 중견수 뜬공으로 범타. 샌프란시스코는 4-5로 뒤진 8회 말 1사 2,3루에서 상대 야수 선택으로 동점을 만든 뒤 계속된 1사 1,3루에서 좌익수 크리스티안 옐리치의 포구 실책을 틈타 역전 점수를 뽑았다. 9회 초 마무리 투수 카밀로 도발이 무사 1루 위기를 실점 없이 막아내며 1점 차 승리를 챙겼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4.25 07:44
메이저리그

완벽했던 이정후의 24일...딱 한 가지 아쉬움→북극곰에 내준 2루타 1위

이정후(27·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올 시즌 세 번째 '3안타 퍼포먼스'를 보여줬다. 2루타 부문 1위는 '북극곰' 피트 알론소(뉴욕 메츠)에게 내줬다. 이정후는 24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오라클 파크에서 열린 2025 메이저리그(MLB) 정규시즌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홈경기에 3번 타자·1루수로 선발 출전, 4타수 3안타 1득점을 기록했다. 6일 시애틀 매리너스전, 10일 신시내티 레즈전에 이어 올 시즌 세 번째로 한 경기에 3안타를 몰아쳤다. 이정후는 타율을 0.315에서 0.333로 끌어올렸다. 이정후는 1회 말 밀워키 선발 투수 프레디 페랄타의 150㎞/h 높은 포심 패스트볼(직구)를 밀어쳐 좌중간 안타를 쳤다. 4회 두 번째 타석에선 뜬공으로 물러났지만, 0-0 동점이었던 6회 말 무사 1루에서 다시 페랄타를 상대로 우전 안타를 치며 선취점 기회를 열었다. 바깥쪽(좌타자 기준) 낮은 코스 스트라이크존에 걸친 체인지업을 절묘하게 잡아당겼다. 샌프란시스코는 이어진 상황에서 맷 채프먼이 볼넷으로 출루하며 만루를 만들었고, 윌머 플로레스가 바뀐 투수 닉 미어스를 상대로 2타점 적시타,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가 땅볼 타점, 크리스티안 코스가 추가 적시타를 치며 4-0으로 앞서나갔다. 빅이닝 신호탄은 이정후였다. 이정후는 7회 네 번째 타석에서도 투수 크렉 요호를 상대로 내야 안타까지 추가했다. 빗맞아 투수 오른쪽으로 흐른 타구를 요호가 처리하지 못했다. 3안타. 샌프란시스코는 4-2로 승리하며 시즌 16승(9패)째를 기록했다. 이정후는 단연 이 경기 승리 주역이었다. 결과, 퍼포먼스, 팀 기여도 모두 완벽했던 이날 딱 한 가지가 따라주지 못했다. 전날(23일)까지 이정후와 함께 2루타 부문 공동 1위(10개)였던 뉴욕 메츠 거포 피트 알론소가 필라델피아전 10회 말 1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끝내기 득점 발판을 놓는 중전 2루타를 치며 시즌 11호 2루타를 새긴 것. 이정후는 밀워키전에서 안타 3개를 쳤지만, 2루타는 추가하지 못해 1위 자리를 알론소에게 내줬다. 알렉스 브레그먼(보스턴 레드삭스)와 함께 공동 2위. 물론 알론소와 브레그먼은 이정후보다 몸값이 훨씬 높은 선수들이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4.24 19:15
메이저리그

SF 타자 중 가장 빠른 164.9㎞/h…'총알 타구'로 존재감 뽐낸 '3안타' 이정후

이정후(27·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타격은 이번에도 돋보였다.이정후는 24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라클 파크에서 열린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홈 경기에 3번 타자·중견수로 선발 출전, 4타수 3안타 1득점 맹활약했다. 팀의 4-2 승리를 이끈 이정후는 시즌 타율을 0.315에서 0.333(145타수 38안타)까지 끌어올렸다. 출루율(0.388)과 장타율(0.581)을 합한 OPS가 0.969에 이른다.이날 이정후는 1회 말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안타로 출루했다. 0볼-2스트라이크로 볼카운트가 불리했지만, 밀워키 오른손 선발 프레디 페랄타의 3구째 93.9마일(151.1㎞/h) 포심 패스트볼을 밀어 쳐 좌전 안타로 연결했다. 4회 말 두 번째 타석 범타로 물러난 이정후는 6회 말 '멀티 히트'를 달성했다. 이번엔 페랄타의 88.5마일(142.4㎞/h) 초구 체인지업을 잡아당겼다. 타구 속도가 102.5마일(164.9㎞/h)로 측정됐는데 이는 이날 샌프란시스코 타자 중 가장 빠른 수치. 2위는 윌리 아다메스의 6회 안타로 99.6마일(160.2㎞/h). 흐름을 탄 이정후는 7회 말 빗맞은 타구가 투수 방면 안타로 연결되는 행운까지 따랐다.이날 샌프란시스코는 선발 투수 로건 웹이 6과 3분의 1이닝 6피안타 무실점 쾌투로 시즌 3승(1패)째를 따내며 평균자책점을 1.98(경기 전 2.40)까지 낮췄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4.24 15:15
메이저리그

2G 연속 침묵은 없다...이정후, 밀워키전 첫 타석부터 총알 타구 생산

역시 두 경기 연속 무안타는 없었다. 이정후(27·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첫 타석부터 안타를 쳤다. 이정후는 24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오라클 파크에서 열린 2025 메이저리그(MLB) 정규시즌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홈경기에 1번 타자·중견수로 선발 출전, 0-0이었던 1회 말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첫 타석에 타서 투수 프레디 페랄타가 구사한 3구째 93.9마일(151.1㎞/h) 포심 패스트볼(직구)를 받아쳐 좌전 안타로 연결했다. 타구 속도는 90.1마일. 페랄타는 이전 두 시즌(2023·2024) 각각 12승과 11승을 거두며 3점 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3선발급 투수다. 이정후는 전날(23일) 출전한 밀워키전에서는 5타석에 나서 안타 없이 볼넷 1개만 기록했다. 타율도 0.329에서 0.315까지 떨어졌다. 올 시즌 한 번도 두 경기 연속 무안타가 없었던 이정후는 침묵 뒤 나선 이날(24일) 밀워키전에서 안타를 치며 꾸준히 좋은 타격감을 증명했다. 지난 19일 로스앤젤레스(LA) 에인절스전 이후 4경기 연속 멀티히트가 없었는데, 첫 타석부터 안타를 치며 올 시즌 9번째 멀티히트 기대감을 높였다. 샌프란시스코와 밀워키전은 2회 초가 진행 중이다. 0-0으로 맞서 있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4.24 11:14
메이저리그

통산 104승 투수가 반갑다니...'좌완 킬러' 이정후, 퀸타나 상대 2G 연속 장타 겨냥

이정후(27·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104승 투수를 상대로도 '좌투 킬러' 면모를 이어갈 수 있을까. 이정후는 23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오라클 파크에서 열리는 2025 메이저리그(MLB) 정규시즌 밀워키 브루어스전에 3번 타자·중견수로 출전한다. 이정후는 전날(22일) 밀워키전에서 4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네 번째 타석에서 상대 좌완 불펜 투수 제러드 케이닉의 낮은 싱커를 공략해 우중간 3루타를 쳤다. 타율은 0.333에서 0.329로 소폭 떨어졌지만, 장타율은 0.593에서 0.600으로 끌어올렸다. 지난 시즌(2024) 좌투수 상대로 타율 0.227에 그쳤던 이정후는 올 시즌 전혀 다른 대응을 보여주고 있다. 22일 기준으로 좌투수 상대 29타수 13안타를 기록하며 타율 0.448를 마크했다. 정상급 셋업맨 호세 알바라도가 구사한 160㎞/h 몸쪽(좌타자 기준) 싱커를 우전 안타로 만드는 등 한층 나아진 대처 능력을 보여줬다. 23일 밀워키전에서도 안타 생산이 기대된다. 밀워키 선발 투수가 좌완 호세 퀸타나이기 때문이다. 퀸타나는 2012시즌 데뷔, 빅리그에서만 14시즌째 뛰고 있는 베테랑이다. 통산 361경기에 등판, 104승(103패)·평균자책점 3.72를 기록했다. 지난 2시즌 뛰었던 뉴욕 메츠를 떠나 올 시즌은 밀워키 유니폼을 입었다. 이정후는 지난해 4월 23일 뉴욕 메츠 원정에서 선발 투수로 나선 퀸타나와 세 차례 승부했다. 첫 타석에서는 땅볼로 물러났지만, 두 번째 타석 불리한 볼카운트(0볼-2스트라이크)에서 바깥쪽 슬러브를 잡아 당겨 우전 안타로 만들었다. 통산 전적은 3타수 1안타. 퀸타나는 지난 12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전에서 7이닝 무실점, 17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전에서 5와 3분의 2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두 경기 모두 호투하며 팀 승리를 이끌고 2승을 거뒀다. 이정후는 리그 2루타 부문 1위를 지키고 있을 만큼 빼어난 타격감을 이어가고 있다. 빅리그 베테랑과 예비 슈퍼스타의 맞대결에 시선이 모인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4.23 07:53
메이저리그

지금까지 2G 연속 침묵은 없었다...이정후, 밀워키 상대 안타 재생산 겨냥

이정후(27·샌프란시스 자이언츠)가 안타 생산 재가동을 노린다. 이정후는 22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오라클 파크에서 열리는 2025 메이저리그(MLB) 정규시즌 밀워키 브루어스전에 3번 타자·중견수로 선발 출전한다. 피츠버그 파이리츠 대표 유망주였다가 올 시즌 밀워키에서 선발진 한 자리를 꿰찬 퀸 프리스터를 상대한다. 이정후는 21일 로스앤젤레스(LA) 에인절스전에서 5타수 무안타에 그쳤다. 일본인 투수 기쿠치 유세이와의 승부에서 고전했다. 타율은 0.355에서 0.333로 떨어졌다. 지난 15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전 이후 두 번째 '5타수 무안타' 경기였다. 이정후는 올 시즌 한 번도 두 경기 연속 무안타를 기록하지 않았다. 지난달 28일 신시내티 레즈와의 개막전에서 무안타를 기록했지만, 바로 이어진 30일 신시내티 2차전에서 안타를 쳤다. 지난 9일 신시내티전 무안타 뒤 이어진 10일 경기에선 3안타를 기록했다. 15일 필라델피아전에서도 안타를 치지 못했지만, 이튿날 같은 팀과의 경기에서 멀티히트를 기록했다. 올 시즌 이정후는 21경기에 출전했다. 무안타는 4경기뿐이었다. 안타를 치지 못한 다음 경기에서 오히려 더 좋은 타격을 보여줬다. 이날 밀워키전도 기대를 모은다. 이정후는 2024시즌에도 밀워키전은 출전하지 않았다. 어깨 부상 탓에 37경기 만에 시즌아웃된 탓이다. 밀워키엔 리그 대표 타자였던 크리스티안 옐리치, 지난 시즌 내셔널리그(NL) 올해의 신인상 투표 3위에 오른 잭슨 추리오, 2루수 골드글러브 수상자 브라이스 투랑이 뛰고 있다. 이정후처럼 콘택트 능력이 뛰어난 1라운더 기대주 살 프렐릭도 있다. 프렐릭은 타율 0.342를 기록, 21일 기준으로 NL 타율 부문 3위에 올라 있다. 0.333를 마크한 이정후는 5위. 이정후가 처음 상대하는 투수, 처음 상대하는 밀워키전에서 어떤 퍼포먼스를 보여줄지 주목된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4.22 09:08
메이저리그

'구단 역사상 첫 개막 3경기 4홈런' 저지, 볼넷까지 3개… OPS 2.461, 이걸 누가 막나

슬러거 애런 저지(33·뉴욕 양키스)의 시즌 초반 타격감이 폭발하고 있다.저지는 31일(한국시간) 미국 뉴욕주 양키스타디움에서 열린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홈 경기에 3번 타자·우익수로 선발 출전, 1타수 1안타(1홈런) 3볼넷 4득점 2타점 원맨쇼를 펼쳤다. 4번 재즈 치좀 주니어(4타수 3안타 2홈런 3득점 5타점)의 활약까지 더한 양키스는 12-3 대승으로 개막 3연전을 싹쓸이했다.지난 28일 시즌 첫 경기에서 4타수 1안타로 타격감을 조율한 저지는 2차전 6타수 4안타 3홈런 8타점 맹타를 휘둘렀다. 3차전 100% 출루까지 더한 그의 시즌 타율은 0.545(11타수 6안타)까지 치솟았다. 출루율(0.643)과 장타율(1.818)을 합한 OPS가 무려 2.461에 이른다. 말 그대로 '만화 같은' 성적이다. 이날 저지는 1회 첫 타석부터 홈런을 터트렸다. 0-1로 뒤진 1사 1루 풀카운트 상황에서 밀워키 선발 애런 시베일의 6구째 89.7마일(144.4㎞/h) 컷 패스트볼을 잡아당겨 왼쪽 펜스를 넘겼다. 비거리가 410피트(125m)로 측정된 큼지막한 타구. 메이저리그(MLB) 공식 홈페이지 MLB닷컴은 '저지가 양키스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개막 첫 3경기에서 4홈런을 기록했다'라고 전했다. 이 부문 MLB 최고는 '3경기 5홈런'을 때려낸 2015년 애드리안 곤살레스(당시 LA 다저스). 그뿐만 아니라 저지는 첫 3경기에서 11타점을 책임져 타점이 공식 통계로 집계된 1920년 이후 역대 공동 2위에 이름을 올렸다. 부문 1위인 1935년 돌프 카밀리(12타점)에 불과 1개 뒤졌다.1회 홈런 이후 밀워키 타자들은 정면 승부를 피했다. 저지는 3회, 6회, 7회 모두 볼넷으로 걸어 나갔다. 밀워키 투수진의 이 같은 전략은 실패였다. 후속 치좀 주니어의 화력이 폭발하면서 저지의 볼넷이 득점으로 연결, 대량 실점의 빌미가 된 것이다. 밀워키는 시베일(3이닝 4피안타 3피홈런 5실점)에 이어 등판한 두 번째 투수 타일러 알렉산더마저 2와 3분의 1이닝 1피안타 2실점 부진해 완패를 당했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3.31 07:3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