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속 차가우리만치 똑 떨어지는 발성·발음과 달리 실제 대화를 나누는 조승우(39)는 말 끝을 흐리며 애교 가득한 목소리로 의외의 보호본능을 자극한다. 소년같은 미소는 덤이다. 그의 대화에는 눈치와 계산이 전혀 없다. 상대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속내를 알고 있다는 것도 굳이 숨기려 하지 않는다. 할 말은 하고, 하고 싶지 않은 말은 하지 않는다. 그 모든 것이 매번 물 흐르듯 자연스럽다. 그래서 조승우와의 인터뷰는 '홀린다'는 표현이 딱이다.
영화 '명당(박희곤 감독)'으로 '내부자들(우민호 감독·2015)' 이후 약 3년만 스크린 컴백이다. 사극 장르로 따진다면 '불꽃처럼 나비처럼(김용균 감독·2009)' 이후 무려 10년만. 그 사이 조승우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연기파 배우로 자리매김 했고, '믿고보는'이라는 수식어를 얻었다. 조승우라는 이름만으로 찍은 최고치의 신뢰도다.
완성된 영화는 조승우가 출연한 작품이기에, 그 이상으로 기대감이 높았기에 다소 아쉬움이 남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조승우는 "다 알고 시작했다"며 "무난해 보일지언정 깨끗하고 순수한 인물을 따라가고 싶었다"고 영화와 캐릭터를 넓은 마음으로 감싸 안았다. 작품은 의심이 가도, 조승우와 그의 선택은 믿을 수 밖에 없는 이유다. - 영화 어땠나. "초반 속도가 치고 나가서 그런지 나는 시원시원하고 좋았다."
- 풍수지리를 소재로 한다. 평소 관심이 있었나. "전혀. 그 쪽은 잘 몰랐다. 영화를 찍은 후에도 그닥 관심은 안 생기더라.(웃음) '타짜(최동훈 감독)' 찍을 때도 그랬다. 화투장을 볼 줄도 몰라 최동훈 감독님이 나를 엄청 답답해 했다. 손이 무뎌서 게임도, 놀이도 못한다. 그냥 작품 할 때마다 확 들어갔다 확 나오는 것 같다."
- 초반에는 전문가처럼 설명하는 신이 나온다. "듣고 있으면 솔직히 너무 당연한 이야기다. 감독님께도 한 번 말한 적 있다. '근데 이거 너무 당연한 이야기 아니에요?' 하하. 어떤 천재적인 과학적 접근 보다는 상식적으로 접근하는게 맞는 것 같더라."
- 영화를 이끌지만 튀는 캐릭터는 아니다. "무난하죠? 하하. 권선징악에 있어 전형적인 캐릭터다. 대립되는 양축을 잡아주는 역할이라도 처음부터 알고 시작했다. 뭐랄까. 축구로 치면 지성이 형은 공격하는 손흥민이고, 나는 공수를 왔다갔다 하는, 지금은 같은 팀, 국가대표는 아니지만 박지성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 본인이 한 수 위라는 뜻인가. "아니, 아니다. 둘 다 '갓'이다. 기성용으로 했어야 하나?(웃음) 사실 내 역할이 평범해 보이고, 뒤로 갈 수록 흥선(지성)이 돋보이고 반전이 있다는 것을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질문을 바로 받으니까 '뭐라고 해야 할까' 싶다. 나에게도 아직 숙제다. 아쉬움은 없다. 시나리오보다 영화가 몇 배는 더 진지하고 흥미롭게 나왔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택한 이유가 뭔가. "난 늘 내 역할과 작품에 대한 100% 확신이 선 상태에서 들어가지 않는다. 늘 '내가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불안감이 크다. '내부자들(우민호 감독)' 때도 그렇고 '명당'도 마찬가지다. 객관적인 시선이 필요했고, 사무실 직원들과도 모니터와 회의를 여러 번 거쳤다. 예전에는 내 의견이 100% 반영됐다면, 이번에는 반반 정도다."
- 박재상은 어떤 인물이라 생각하나. "길잡이다. 영화에서 유일하게 순수한 인물이기도 하다. 티없이 깨끗한 사람 하나가 존재한다는 것이 끌렸다. 심심하고 딱히 보여줄 것 없는 역할임에도 '그것 하나 잡고 가자'고 생각했다. 최근 추세가 악역 혹은 악역 아닌 악역을 배우나 관객이나 원하지 않나. 초심으로 돌아가니 매력이 보였다."
- 실제 닮은 부분이 있다면. "없다. 나도 때가 많이 묻었다.(웃음)
- 노역 분장도 했다. "고민 많았다. '아무리 연기를 잘한다고 해도 부담스럽지 않게 표현해 낼 수 있을까?' 싶더라. 노역을 할 수 있는 선생님들을 따로 모시는게 어떨까 싶을 정도로 자신이 없었다. 그래서 위안 삼은 것이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의 돈키호테다. '그때 접근했던 마인드로 가자'고 스스로 중심을 잡고 덤볐다. 그리고 나 혼자가 아니라 (유)재명이 형도 같이 했으니까.(웃음)" >>②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