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이정은(48)은 tvN '미스터 션샤인'에서 부모를 잃은 김태리(고애신)의 든든한 버팀목 함안댁으로 열연했다. 김태리·신정근(행랑아범)과 보여준 사랑스러운 매력 덕에 '함블리'라는 별명을 얻었다. 구수한 사투리로 내뱉는 은근한 유머뿐만 아니라 신정근과 애틋한 로맨스, 마지막엔 스스로 의병이 돼 선택한 숭고한 희생까지 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줬다.
1991년 연극 '한여름밤의 꿈'으로 데뷔한 이정은은 '라이어' '순우 삼촌' 뮤지컬 '빨래' 등 연극배우로 활발히 활동했다. 그러다 2013년 영화와 TV로 주 무대를 옮겼고 2015년 '오 나의 귀신님' 서빙고 보살 역을 차지게 소화하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이후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종횡무진했다. 영화 '곡성' '옥자' '택시운전사' 드라마 '리멤버 - 아들의 전쟁'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 '역도요정 김복주' '쌈 마이웨이' 등 잘되는 작품엔 항상 이정은이 있었다. 이정은은 "숟가락만 얹었을 뿐"이라며 손사래 쳤다.
-구동매나 이완익 등 캐릭터 설정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렸다. "드라마의 인물을 구성할 때 다양한 시각이 흥미를 만드는 것 같다. 논란이 일어날 수 있지만 다르게 보는 시각을 제안하는 것이다. '미스터 션샤인'에서는 고종도 다른 시각으로 만들지 않았나. 다른 캐릭터들도 마찬가지로 입체적으로 만들기 위해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 교과서에 나오는 그대로 만들었다면 재미없지 않았을까."
-가장 인상 깊었던 신은. "바람개비 신이다. 대본에는 '바람개비를 돌리고 있다' 정도로만 적혀있었다. 태리가 나한테 머리를 기댄다는 지문이 아예 없었다. 태리가 조용하게 '알려주고 싶었다'고 하면서 빨간 바람개비를 접고 있을 때 나한테 카메라가 넘어왔는데 거사라는 말에 울컥했다. 애기씨하고 함안댁이 사이가 좋지만, 애기씨는 누구에게 의지하지 않는 주체적인 역인데 유일하게 그 신에서만 우리 둘의 관계가 보인다. 그때 애기씨하고 함안댁이 어떻게 살아왔을지 상상이 펼쳐졌다."
-'아는 와이프'도 굉장히 매력적인 캐릭터였다. "그전에는 귀엽다는 말을 못 들었는데 갑자기 많이 듣게 됐다. 그게 작품의 힘인 것 같다. '아는 와이프'는 놀이동산에 놀러 가는 기분이었다. 기억도 없고 유일한 기억은 차서방에 대한 것이고 어딘가 헤매고 있지만 헤매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으니까. 두 역할이 시기적으로 같은 시기에 방영이 돼서 많은 분이 다채로운 연기를 했다고 칭찬한다. 그렇지만 사실 찍은 시기는 '미스터 션샤인' 끝난 이후여서 캐릭터 분리는 됐다." -인기를 실감하는지. "사실 실감은 잘 못 했다. 그런데 알아보시는 분들이 많고 또 친구들이 카톡을 많이 보내더라. 소속사에서도 '함안댁 이모티콘 세트' 이런 걸 만들었던데 내가 그런 표정인 줄 몰랐다. 모아놓고 보니 웃기더라. 대중들이 이런 면을 좋아한다는 걸 새롭게 알게 됐다. 밖에 다니면 많이 알아보시니까 '인기가 생겼구나' 생각한다. 또 이런 인터뷰를 하면서도 느낀다."
-수입은 과거보다 늘었을 것 같다. "연극을 할 때보다 훨씬 많이 늘었다. 하지만 어머니가 다 챙겨간다. 제가 손이 커서 잘 못 모으기 때문에 어머니가 월급 통장을 갖고 있다. 후배들 술 사주고 그런다. 출연료를 200만 원을 받으면 후배들에게 그것보다 더 많이 사줬다. 하지만 노년이 오고 있어서 걱정된다."
-양희승 작가나 김석윤 감독 등 페르소나로 활약 중인데. "양 작가님은 배우인데 배우 같지 않은 면이 있다고 생각해주시는 것 같다. 제가 누구나 말하고 들었을 것 같은 느낌이 있어서 그런 면을 좋게 생각하는 듯하다. 한동안 아팠다가 연극을 못하게 돼고 방송과 영화로 넘어왔다. 현장에서는 웬만하면 지친 티를 안 낸다. 딸린 식구가 너무 많고 중요한 인생의 시기를 같이 보내고 있는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왕이면 작업할 때 즐겁게, 화이팅하면서 하려고 한다. 그런 것도 좋게 봐주시는 것 같다."
-잘되는 작품에 항상 출연하는 것 같다. "사실 발만 담근 작품도 있다. '옥자'도 잠깐만 나왔다. 하지만 그런 일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려고 한다. 사람보고 돼지 소리를 내라고 한다든가. (웃음) 양희승 작가도 '아는 와이프'에서 과거가 바뀌면 영업하는 여자가 된다고 말했는데 그게 너무 웃겼다. '내가 다단계야?'하면서 웃었다. 예상하지 못한 걸 주는 감독, 작가들과 작업하는 게 재밌다. 숟가락만 얹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