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라고만 여겼지만 실제로도 욕심이 없었다. 자그마한 것에 만족을 느끼고 있다. 수입도 작년에 버는 만큼만 벌자는 주의다. 그래서일까. 그는 KBS2 '개그콘서트(이하 '개콘')'에서 2003년부터 14년째 구설수 없이 근속 근무 중이다. 공무원이나 다름없다. 그는 "버라이어티 나간다고 다 성공한다는 보장이 없다. 회사에서 버라이어티를 하려면 '개콘'을 버려야한다고 하더라. 모험을 하기 싫었다. '개콘'을 직장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명훈이 기획한 '명훈아 명훈아 명훈아'라는 코너는 3개월 째 '개콘'에서 가장 인기있는 코너로 꼽힌다. 오나미·김민경·이현정와 펼치는 말장난이 이 코너의 매력이다. 사석에서도 말장난을 잘하는 정명훈의 장기가 여실히 드러났다. "개인기가 있다거나 연기를 뛰어나게 잘하는 게 아니라 평소에 하던 걸 개그에 옮겼다"고 밝혔다.
정명훈은 김준호·김대희 등이 '개콘'을 다시 찾기 전까지 서열 1위였다. 그들이 들어오면서 서열 1위를 뺏겼다. 그러나 불만은 전혀없었다. "'개콘'에 서열이 없어졌어요. 형들도 우리를 불편하게 만들지도 않는다. 다만 김대희 형이 내가 사놓은 의자를 점령해서 앉을 때 불편하다"며 웃음을 보였다.
- '개콘'이 내부 분위기는 좋지만 외부적으로는 침체기가 오래 가고 있다.
"상황이 호전되고 있는 침체기다. 오랜 침체지의 이유는 스타의 부재라고 생각한다. 난 스타는 아니다. 그냥 개그맨이다. 후배들 중에서 매년 스타가 나와주면 좋은데 그러질 못했다. 정말 재밌는 개그맨 한 명이 나오면 그를 원동력으로 삼았는데 그런 친구가 없었다. 개그맨을 뽑는 기준은 잘 모르겠지만 기대한 만큼 역량을 발휘하지 못했다. 나라가 시끄러워 지면서 정치적인 풍자만 다뤘던 것도 분위기를 다운시키지 않았을까 라고 생각한다.
- 그와중에 눈에 띄는 후배가 있다면.
"계속 질문을 받고, 계속 생각을 해봤지만 정말 딱히 눈에 띄는 후배들이 없다."
- 후배들이 섭섭할 것 같다.
"자신이 역량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면 섭섭할 수 있겠지만 내 눈에는 안 보인다. 수지가 좀 뜨기 전이었다면 얘기했을텐데 이미 스타덤에 올랐다."
- 선배의 역할이 중요할 것 같다.
"선배의 부담감은 있다. 중간 이상은 해야하니까. 여전히 지나가는 역할하고 싶다. 선배라 그런 역할을 못하지 않나. 가만히 서있는 역할 할 때가 좋았다."
- 후배들의 활동 반경과 멀리 있는 것 같다.
"후배들은 주로 홍대 여의도 영등포 쪽에서 활동한다. 집에 강남에 있다보니 후배들과의 자리가 잦지 않다. 그래서 후배들에게 잘 사주지 않는다.(웃음) 강남에서 한번 살아보고 싶어서 이사를 했다. 강남은 배달 시스템이 참 잘돼있어서 심심하지 않다. 삼겹살 시키면 불판을 갖다 준다."
- 그동안 구설수가 없는 이유는 뭘까.
"술을 잘 안 마신다. 일주일에 한 번정도. 아마 개그맨들이 마시는 술은 준호 형이 다 마시는 것 같다. 술을 마셔도 동네 집앞에서 먹는 정도다. 거창한데 가서 먹지 않는다."
- 자신이 가장 잘하는 캐릭터는 뭘까.
"그냥 바보 명훈이. 바보 캐릭터를 의외로 잘한다고 생각한다. 바보를 한 번 더 해볼 생각은 있다. 어떤 바보를 할까. 고민 중이다."
- 왜 개그에서 바보 소재를 많이 사용할까.
"옛날 코미디부터 사용됐던 소재다. 그냥 우스꽝스러워서일 것 같다. 시청자들이 개그를 볼 때 본인 보다 약간 잘났다고 생각하면 안 웃는 것 같다. 키 크고 잘생긴 개그맨이 웃기기 쉽지 않은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
- 본인은 잘생겼다고 생각하나.
"잘생겼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냥 호감형이다. 다른 사람들이 봤을 때 편안한 스타일이다.(웃음)"
- 개그 짜는 게 힘들 것 같다.
"대중들이 다음 대사느 행동을 예상할까 안 할까라는 생각을 많이 한다.예상을 넘어서는 말이 나와야 사람들이 웃는다."
- 본인의 개그를 점수로 매긴다면.
"10점 만점에 5~6점. 애매한게 좋다. 너무 튀어도 안 좋다. 개그도 종류가 많고 개그맨마다 웃기는 방법이 다르다. 노래방에서 노래 불러서 점수가 나오는 건 확실한 기준이 있지만 개그는 기준이 없다. 우리 어머니한테 물어보면 단연코 10점이라고 말 할 것이다. 관객들의 웃음 데시벨을 기준으로 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웃음)"
- '개콘'에서만 14년을 있었다. 벗어날 생각은 해본 적 없었나.
"해봤다. 그런데 버라이어티를 하고 싶으면 '개콘'을 나와야 한다고 하더라. '개콘'을 버리고 나가서 다른 걸 잘 할 수 있을까라는 믿음이 없었다. 주가 되는 개콘을 놔서는 안된다고 판단했다. '개콘'을 직장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 버라이어티에서 불러도 안 나갈 건가.
"부르면 나간다. 그런데 많이 불러주지 않는다. 좀 더 재밌는 코너를 해야하나.(웃음) 최근 '해투3'에 나갔을 때도 캐릭터는 괜찮았다. '욕심없는 캐릭터'였다. 그런데 정말 욕심이 적다. 사소한 것에 만족을 느낀다."
- '개콘'이 내부 분위기는 좋지만 외부적으로는 침체기가 오래 가고 있다.
"상황이 호전되고 있는 침체기다. 오랜 침체지의 이유는 스타의 부재라고 생각한다. 난 스타는 아니다. 그냥 개그맨이다. 후배들 중에서 매년 스타가 나와주면 좋은데 그러질 못했다. 정말 재밌는 개그맨 한 명이 나오면 그를 원동력으로 삼았는데 그런 친구가 없었다. 개그맨을 뽑는 기준은 잘 모르겠지만 기대한 만큼 역량을 발휘하지 못했다. 나라가 시끄러워 지면서 정치적인 풍자만 다뤘던 것도 분위기를 다운시키지 않았을까 라고 생각한다.
- 그와중에 눈에 띄는 후배가 있다면.
"계속 질문을 받고, 계속 생각을 해봤지만 정말 딱히 눈에 띄는 후배들이 없다."
- 후배들이 섭섭할 것 같다.
"자신이 역량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면 섭섭할 수 있겠지만 내 눈에는 안 보인다. 수지가 좀 뜨기 전이었다면 얘기했을텐데 이미 스타덤에 올랐다."
- 선배의 역할이 중요할 것 같다.
"선배의 부담감은 있다. 중간 이상은 해야하니까. 여전히 지나가는 역할하고 싶다. 선배라 그런 역할을 못하지 않나. 가만히 서있는 역할 할 때가 좋았다."
- 후배들의 활동 반경과 멀리 있는 것 같다.
"후배들은 주로 홍대 여의도 영등포 쪽에서 활동한다. 집에 강남에 있다보니 후배들과의 자리가 잦지 않다. 그래서 후배들에게 잘 사주지 않는다.(웃음) 강남에서 한번 살아보고 싶어서 이사를 했다. 강남은 배달 시스템이 참 잘돼있어서 심심하지 않다. 삼겹살 시키면 불판을 갖다 준다." - 그동안 구설수가 없는 이유는 뭘까.
"술을 잘 안 마신다. 일주일에 한 번정도. 아마 개그맨들이 마시는 술은 준호 형이 다 마시는 것 같다. 술을 마셔도 동네 집앞에서 먹는 정도다. 거창한데 가서 먹지 않는다."
- 자신이 가장 잘하는 캐릭터는 뭘까.
"그냥 바보 명훈이. 바보 캐릭터를 의외로 잘한다고 생각한다. 바보를 한 번 더 해볼 생각은 있다. 어떤 바보를 할까. 고민 중이다."
- 왜 개그에서 바보 소재를 많이 사용할까.
"옛날 코미디부터 사용됐던 소재다. 그냥 우스꽝스러워서일 것 같다. 시청자들이 개그를 볼 때 본인 보다 약간 잘났다고 생각하면 안 웃는 것 같다. 키 크고 잘생긴 개그맨이 웃기기 쉽지 않은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
- 본인은 잘생겼다고 생각하나.
"잘생겼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냥 호감형이다. 다른 사람들이 봤을 때 편안한 스타일이다.(웃음)"
- 개그 짜는 게 힘들 것 같다.
"대중들이 다음 대사느 행동을 예상할까 안 할까라는 생각을 많이 한다.예상을 넘어서는 말이 나와야 사람들이 웃는다."
- 본인의 개그를 점수로 매긴다면.
"10점 만점에 5~6점. 애매한게 좋다. 너무 튀어도 안 좋다. 개그도 종류가 많고 개그맨마다 웃기는 방법이 다르다. 노래방에서 노래 불러서 점수가 나오는 건 확실한 기준이 있지만 개그는 기준이 없다. 우리 어머니한테 물어보면 단연코 10점이라고 말 할 것이다. 관객들의 웃음 데시벨을 기준으로 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웃음)"
- '개콘'에서만 14년을 있었다. 벗어날 생각은 해본 적 없었나.
"해봤다. 그런데 버라이어티를 하고 싶으면 '개콘'을 나와야 한다고 하더라. '개콘'을 버리고 나가서 다른 걸 잘 할 수 있을까라는 믿음이 없었다. 주가 되는 개콘을 놔서는 안된다고 판단했다. '개콘'을 직장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 버라이어티에서 불러도 안 나갈 건가.
"부르면 나간다. 그런데 많이 불러주지 않는다. 좀 더 재밌는 코너를 해야하나.(웃음) 최근 '해투3'에 나갔을 때도 캐릭터는 괜찮았다. '욕심없는 캐릭터'였다. 그런데 정말 욕심이 적다. 사소한 것에 만족을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