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골프협회(KPGA)의 직원 해고와 관련한 경기지방노동위원회 부당해고 구제신청 판정기일이 당초 예정됐던 25일에서 추후로 연기됐다.
KPGA는 올 8월과 9월에 총 3명의 직원에게 해고 통보를 했다. 해고자들을 비롯해 KPGA 노조는 부당해고라고 주장하고 있다.
KPGA는 전 임원 A의 직장내 괴롭힘으로 지난해부터 논란이 계속됐다. A는 업무배제를 거쳐 올해 중에 해임됐는데, 해고 통보를 받은 직원들이 모두 A를 내부 고발했던 사람들이다. KPGA 노조는 3인에게 내려진 해고통보가 A와 관련한 보복성 해고라고 주장하고 있다.
KPGA 노조는 20일 보도자료를 내고 “해고된 피해 직원들은 지난 9월 22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제기했고, 지노위는 11월 25일을 판정기일로 정해 노사 양측에 통보했다. 그러나 대형 로펌을 앞세운 KPGA가 최종 판정을 구하는 심문회의 기일을 연기한 사실이 알려졌다. 사측의 ‘시간 끌기’ 아니냐는 의혹이 나왔다”고 주장했다.
지난 12일 대상시상식 현장에서 진행된 KPGA 노조의 피켓 시위. 사진=KPGA 노조 제공 KPGA는 부당해고 구제신청 대응에 법무법인 율촌을 선임했고, 담당 변호사는 4명이다. 통상 노동위원회 단계에서는 공인노무사가 사건을 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을 미루어 보면 이례적인 대응이다.
KPGA 노조 측은 “당초 11월 25일로 예정됐던 심문회의는 율촌 측이 ‘다른 재판 일정과 겹친다’는 이유를 들어 연기 신청을 했고, 결국 절차가 미뤄졌다. 그러나 새 기일은 정해지지 않고 기약이 없어 피해 직원들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다. 생계가 걸린 부당해고 피해자들에게 하루라도 빠른 판정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협회는 절차를 늦추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한 KPGA 노조는 “사태의 근원적 해결이 아닌 방어 중심의 대응에 과다한 비용을 쓰는 동안 KPGA의 조직 정상화는 더욱 멀어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직장 내 괴롭힘과 피해 직원들에 대한 보복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는 가운데, 내부 구성원들 사이에서는 협회장이 책임을 회피하며 협회 재정과 인력을 낭비하고 있다는 견해가 확산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