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판대장' 오승환(43)이 21년 만의 긴 여정을 마치고 은퇴한다. 오승환은 30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리는 KBO리그 KIA 타이거즈전을 마치고 은퇴식을 치른다.
2005년 삼성 라이온즈에서 데뷔한 오승환은 2013년까지 KBO리그를 평정한 뒤, 일본프로야구(NPB)와 미국 메이저리그(MLB)에서도 '끝판대장'의 명성을 날리고 한국에 돌아와 5시즌을 더 뛰었다. KBO리그 15시즌 동안 오승환이 기록한 성적은 737경기 44승 33패 19홀드 427세이브 평균자책점 2.32.
오승환이 KBO리그에서 기록한 427세이브는 당분간 깨지지 어려운 기록이다. KBO리그 통산 최다 기록인 데다, 2위 손승락(은퇴)의 271개보다 156개 더 많다. 현역 선수 중에선 김재윤(삼성)이 오승환 다음으로 많은 190개를 기록했는데, 이미 35세가 됐기에 오승환 기록을 뛰어넘기 쉽지 않다. 한·미·일 통산 세이브가 549개라는 것까지 고려하면, 오승환의 업적은 더욱 커 보인다.
통산 기록 외에도 KBO리그에서의 마무리 투수 대부분의 최연소·최초 혹은 최다·최고령 기록은 모두 오승환이 보유하고 있다. 2005년 4월 7일 LG 트윈스전에서 첫 세이브를 올린 이후 2007년 9월 18일 광주 KIA 타이거즈전에서 180경기 만에 100세이브를 올린 오승환은 2009년 5월 5일 대전 한화전에서 26세 9개월 20일의 나이, 254경기 만에 150세이브 고지에 올랐다. 리그 최연소와 최소 경기 150세이브 기록을 갈아치운 것이다.
2005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확정지은 오승환과 진갑용. IS 포토
오승환은 2011년 8월 12일 대구 KIA전에선 최연소(29세 28일), 최소 경기(334경기) 200세이브를 올렸다. 2006년과 2011년에는 47개의 세이브를 올리며 단일 시즌 아시아 최다 세이브 신기록을 달성하기도 했다. 이어 2012년 7월 1일 대구 넥센 히어로즈전에선 통산 228세이브를 기록하며 국내 개인 통산 최다 세이브 신기록을 세웠다.
2013년까지 KBO리그에서 9시즌 동안 277세이브를 올린 오승환은 일본으로 넘어가 한신 타이거즈에서 두 시즌 동안 80세이브를 기록했다. 이후 MLB에선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토론토 블루제이스, 콜로라도 로키스에서 뛰며 4시즌 동안 42세이브를 기록했다. 세계 최고의 무대에서도 전혀 밀리지 않는 '끝판대장'의 면모를 보여줬다.
2011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확정지은 오승환과 진갑용. IS 포토
오승환은 2020년 6월 9일 KBO리그에 복귀했다. 그해 6월 16일 서울 잠실 두산 베어스전에서 복귀 첫 세이브와 함께 개인 통산 400세이브를 올린 그는 8월 14일 대구전에서 408번째 세이브를 작성하며 일본의 이와세 히로키가 보유하고 있던 한·미·일 통산 최다 세이브(407개) 기록을 경신했다.
2021년 오승환은 44개의 세이브를 올리며 2012년 이후 9년 만에 KBO리그 세이브왕에 올랐다. 역대 최고령(39세)이자, 개인 통산 여섯 번째 타이틀이었다. 2022년과 2023년에도 30세이브 이상 올리면서 건재함을 자랑했다. 2024년엔 27개의 세이브를 기록했지만, 구위 하락으로 후반기 필승조에서 낙마할 만큼 고전했다. 절치부심하며 2025년을 준비했으나 모친상의 충격과 부상 여파로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결국 은퇴를 결심했다.
올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한 삼성라이온즈 오승환이 7일 오후 인천 연수구 오라카이 송도파크호텔에서 진행한 은퇴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을 듣고 있다. 2005년 삼성 유니폼을 입은 오승환은 한미일 통산 549세이브를 기록했으며, 삼성 구단은 이만수, 양준혁,이승엽에 이어 오승환의 등번호 21번을 영구결번하기로 결정했다. 인천=김민규 기자 mgkim1@edaily.co.kr /2025.08.07/
"올 시즌을 치르면서 팀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 싶은 마음이 간절했다. 몸에 조금씩 이상을 느끼면서 100% 퍼포먼스를 야구장에서 낼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라며 은퇴 배경을 설명한 오승환은 "삼성이라는 좋은 팀을 만나 이렇게 좋은 기록을 세우고 은퇴하는 것 같다. 삼성은 내 자부심이다"라며 마지막 작별 인사를 고했다.
오승환은 시즌 막판 10개 구단 은퇴 투어 및 성대한 은퇴식을 통해 유니폼을 벗는다. 삼성 구단은 그의 등번호 '21번'을 이만수(22번) 양준혁(10번) 이승엽(36번)에 이은 네 번째 영구결번으로 지정하며 그의 업적을 기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