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BO리그 프로야구 SSG 랜더스와 KIA 타이거즈의 더블헤더 2차전 경기가 11일 오후 인천SSG랜더스필드에서 열렸다. 6회말 1사 만루 구원 등판한 최지민이 김성현에 이어 신범수에게 밀어내기 볼넷을 내준 후 교체사인을 바라보고 있다. 인천=김민규 기자 /2025.05.11/
제구. KIA 타이거즈 왼손 불펜 최지민(22)이 풀어야 할 '숙제'다.
최지민의 9이닝당 볼넷 허용(BB/9)은 11일 기준 10.29개에 이른다. 최소 10이닝 이상 소화한 KBO리그 72명의 불펜 중 최하위. BB/9이 두 자릿수인 불펜은 현재 최지민이 유일하다.
최지민의 제구는 지난 시즌에도 '약점'이었다. 2023시즌 3.94개였던 BB/9이 7.83개로 크게 오른 것. 그런데 올 시즌 볼넷 허용이 눈에 띄게 더 늘었다. 전체 스트라이크 비율은 56%로 56.9%를 기록한 전년 대비 큰 차이가 없지만 볼을 몰아서 던진다는 게 문제. 타자들이 제구 불안을 간파한 탓인지 적극적으로 배트를 내지 않는다. 그 결과 초구 헛스윙 비율이 5.6%(2024시즌 9.3%)로 떨어졌고 루킹 스트라이크 비율은 19.9%(2024시즌 16%)로 올랐다.
11일 인천 SSG 랜더스전에서 부진했던 최지민의 피칭 모습. IS 포토
11일 SSG 랜더스와의 더블헤더 2차전에선 최지민의 '수치상 문제'가 다시 한번 드러났다. 이날 최지민은 1-3으로 뒤진 6회 말 1사 만루 위기에서 팀의 세 번째 투수로 마운드를 밟았다. 1-1로 맞선 1사 만루에서 밀어내기 볼넷과 적시타를 허용한 두 번째 투수 전상현의 부진을 극복하는 게 임무였다. 그러나 결과는 최악에 가까웠다.
최지민은 김성현과 신범수에게 연속 밀어내기 볼넷을 내줬다. 특히 신범수는 공 4개가 스트라이크존을 크게 벗어난 스트레이트 볼넷. 두 타자 상대 투구 수 9개 중 스트라이크는 단 1개에 불과했다. SSG 타자들은 단 한 번도 배투를 휘두르지 않았다. 최지민의 공식 기록은 0이닝 2사사구 무실점. 홈플레이트를 밟게 한 주자 2명은 전상현의 몫이었다.
11일 인천 SSG 랜더스전에서 거듭 볼넷을 허용한 최지민. IS 포토
이범호 감독은 최지민의 약점을 누구보다 잘 안다. 이날 경기 전 이 감독은 최지민에 대해 "좌우 타자를 안 가리는데 점수 차가 조금 있어야 한다. 아무래도 제구(불안)나 이런 게 좀 있으니까 선두타자 볼넷을 내주면 뭔가 다 꼬여버린다"며 "좀 더 편안한 상황에 지민이를 올려주려고 생각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경기 후반 동점 혹은 역전을 위협받는, 이른바 '하이 레버리지' 상황에선 제구 불안이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부담을 줄여주려고 애쓴다.
하지만 현재 불펜 구성상 마음먹은 대로 경기 운영이 되지 않는다. KIA는 최근 왼손 필승조 곽도규가 팔꿈치 수술로 시즌 아웃돼 최지민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졌다. 타이트한 분위기에서 호출되는 횟수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
2025 KBO리그 프로야구 SSG 랜더스와 KIA 타이거즈의 더블헤더 2차전 경기가 11일 오후 인천SSG랜더스필드에서 열렸다. 6회말 1사 만루 구원등판한 최지민이 김성현에 이어 신범수에게 밀어내기 볼넷을 내주고 고개를 숙이고 있다. 인천=김민규 기자 /2025.05.11/
최지민이 제구를 잡을 수 있느냐는 KIA 불펜의 선결과제다. 그의 역할을 대신할 또 다른 왼손 불펜이 여유롭지 않다는 점에서 결국 최지민의 '반등'이 중요하다. 2023시즌의 위력(58경기, 평균자책점 2.12)을 회복할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