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두산 베어스 제공
지난해 가을야구를 이끌었던 두산 베어스의 필승 공식이 완전히 무너졌다.
두산은 지난달 30일 KT 위즈와 홈경기를 3-8로 대패했다. 패인은 불펜이었다. 두산은 6회까진 3-4로 KT를 쫓았지만, 7회 1사 1·2루에서 올라온 최지강이 무너졌다. 그는 연속 적시타와 투런 홈런을 허용했고, 경기는 단숨에 5점 차로 기울었다.
최지강은 1년 전만 해도 두산의 필승조였다. 그는 지난해 55경기에 등판해 3승 1패 1세이브 15홀드 평균자책점(ERA) 3.24로 팀의 셋업맨으로 활약했다. 150㎞/h 이상의 고속 싱커를 던지면서 스위퍼, 체인지업, 커터 등 다양한 구종을 보유한 덕에 좌·우 타자를 가리지 않고 잡아냈다.
사진=두산 베어스 제공
올해 모습은 딴판이다. 결막염을 앓아 지난달 8일에야 1군에 등록된 그는 8경기 1승 3패 1홀드 ERA 11.05(팀 내 최하위·1일 기준)로 부진하다. 싱커 평균 구속은 147.7㎞/h로 지난해보다 1㎞/h 빨라졌지만, 시즌 피안타율이 0.371에 달한다.
최지강만 흔들리는 게 아니다. 지난해 두산 필승조로 활약했던 투수들 대부분 부진하다. 이병헌은 ERA 5.79로 부진하다 2군에 내려갔고, 이영하도 ERA가 4.41로 높다. 또 다른 필승조 자원 홍건희는 개막 직전 오른쪽 팔꿈치 내측인대 손상을 입었다.
마무리 김택연(4세이브 ERA 2.38) 성적은 나쁘지 않지만, 팀이 매번 지니 좀처럼 등판할 기회가 없다. 4월 등판이 6경기에 불과하다. 등판이 규칙적이지 못하니 휴식 후 성적이 오히려 나빠졌다. 4월 19일까지 실점이 없던 그는 최근 2경기에서 5실점(3자책)을 내줬다.
사진=두산 베어스 제공
두산은 필승조가 아닌 박치국(ERA 2.70) 홍민규(ERA 2.13) 박신지(ERA 1.08) 등은 큰 실점 허용 없이 호투 중이다. 다만 이들이 기록한 홀드와 세이브는 다 합쳐 각각 1개에 불과하다. 부담 적은 상황에서 만든 기록을 믿고 필승조로 써도 같은 성적을 낼지 알 수 없다.
두산은 일단 1일 왼손 베테랑 고효준을 등록한다. 지난해 SSG 랜더스에서 방출된 고효준은 입단 테스트를 거쳐 지난달 17일 두산과 육성 선수로 계약했다. 이승엽 감독은 "최근 경기 후반 리드가 뒤집어지는 경우가 많다. 고효준이 그 부분을 좀 잡아주면 좋겠다"며 "불펜진에 어린 선수들이 매우 많다. 고효준의 경험이 선수들에게 도움을 준다면 전력 이상의 효과를 누리지 않을까"라고 바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