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고등학생이 된 아들이 갑자기 공부를 시작했다. 중학교 내내 놀았는데 신기하게도, 입학을 앞두고 불안한 마음이 들었는지 갑자기 태세 전환을 했다. 남자아이들은 마음을 잡으면 달라진다고 했는데… 드디어! 핸드폰 화면을 가고 싶은 대학 로고로 바꾸고, 나름 열심히 한다.
하지만 3년간 쌓인 격차를 따라잡는 일은 쉽지 않은듯하다. 첫 모의고사를 치르고 “잘 봤다”며 웃는 아들을 응원했지만, 나중에 아들 책상에서 조심스레 채점지를 들여다보니 마음이 아렸다.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결과는 냉정했다. 다들 열심히 공부하기에 따라잡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자식 농사만큼 자신의 마음대로 되지 않는 일도 없다. 아이들은 내 몸으로 낳았지만 정말 나와 다른 존재들이다. 부모가 되는 것도 처음이라, 웃고 울며 함께 살아가는 법을 십수 년째 배워가는 중이다. 사춘기 아들은 옷을 벗어서 아무 데나 던졌다. 샤워 후에 욕실 바닥에 널브러진 속옷을 보면 열불이 났다. 귀찮음 때문이었겠지만, 무시당하는 듯한 서운함이 밀려오곤 했다. 그래서 속으로 많이 힘들어하고 화를 내기도 했지만 달라지는 것은 없었다. 내가 하는 잔소리가 어디론가 흩어져버리는 느낌이었다.
그런데 아들이 열심히 노력하고 좌절하는 것을 옆에서 지켜보는데 처음으로 안쓰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최선을 다해 노력하고 있는데 이미 격차가 있다. 기특하면서도 안쓰러운 마음이 들었다. 아들의 행동을 바라보는 나의 마음에도 변화가 생겼다. 여전히 옷을 벗어 방바닥에 던져두지만, “엄마가 빨래 바구니를 사서 줄 테니 거기에 옷을 넣어볼래?”라는 말이 나왔다. 공부하느라 힘들겠다는 마음이 앞서니 즉각적으로 반응해 화를 내기보다는 기다릴 수 있는 여유가 생겼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성선설을 주장하며, 사람에게는 누구나 차마 다른 사람에게 모질게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고 했다. 그가 주장한 네 가지 마음 중에 다른 사람의 불행을 가엾고 불쌍하게 여기는 ‘측은지심’이 있다. 맹자는 제자 공손추와의 대화에서 어린이가 우물 속으로 빠지는 것을 보게 되면, 누구라도 측은한 마음을 갖고 구하려 할 것이라고 했다.
최근의 일련의 사건들로 나는 측은지심을 다른 사람의 불행을 가엽게 여기는 마음에서 나아가 나와 다른 세계를 이해하려는 호기심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측은지심이 생기면 다른 것을 지적하거나 불평하려는 것이 아닌 그 사람을 조금 더 이해하려고 노력하게 된다.
비슷한 깨달음을 얻었던 또 다른 경험이 떠올랐다. 최근 독서모임에서 문요한의 ‘관계를 읽는 시간’을 읽었다. 이 책은 사람마다 세상을 바라보는 심리적 관점이 다르고, 그 차이가 관계 속 행동으로 드러난다고 이야기한다. 단순한 성격 차이를 넘어 서로 다른 ‘관점’을 이해할 때 진짜 소통이 가능하다는 메시지가 인상 깊었다. 누군가는 리드를 좋아하고, 누군가는 안정감을 중시한다.
모두가 같은 기준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한 리더가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았다. 스타트업의 대표인 그녀는 유독 한 직원과 부딪혔다. 지배형인 그녀와 달리 갈등이 생겼을 때 회피하려는 성향이 있는 그와 사사건건 부딪혔다. 처음에는 너무너무 화가 났다고 한다. 그런데 어느 순간 그 사람의 억울해하는 모습을 보면서 “저 사람도 참 안 됐다. 나 같은 지배형인 리더를 만나서 얼마나 스트레스를 받았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놀랍게도 그날 이후로 그녀는 조금 더 너그럽게 그를 대하게 되었다.
아들의 사소한 행동 하나에도 사정이 있었다. 귀찮음도 있고, 정리 정돈보다 중요한 일이 있다고 생각하니 우선 순위에서 밀리는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니 예전 같으면 화부터 났을 장면 앞에서도 웃음이 났다. 이해는 상대방을 위한 배려가 아니라 결국 내 마음을 여유롭게 하는 길이었다.
측은지심은 남을 위해 베푸는 덕목이 아니다. 내 안에 여유와 이해를 키우는 힘이다. 요즘 나는 나 자신에게도 측은지심을 건넨다. ‘너도 참 애썼다’고, ‘괜찮다’고 따뜻하게 응원해 주려 한다. 오늘, 당신도 나와 다른 세계를 향해 따뜻한 호기심을 건네보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