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표는 25일 인천 SSG 랜더스전에 선발 등판, 7이닝 2피안타 5탈삼진 무실점 쾌투로 시즌 2승(2패)째를 따냈다. 직전 등판의 부진을 말끔하게 씻어내며 우려를 불식시켰다. 팔꿈치 부상으로 두 달 넘게 전열에서 이탈해 있던 고영표는 지난 19일 롯데 자이언츠를 상대로 치른 1군 복귀전에서 5이닝 9피안타 6실점했다. 투구 내용이 워낙 좋지 않아 SSG전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관심이 쏠렸는데 일단 '반등'했다.
26일 SSG전에 앞서 이강철 감독은 '고영표의 어떤 부분이 달라진 건가'라는 취재진 질문에 "패턴을 잘 바꿨다. (이전과 달리) 초구부터 직구(투심 패스트볼)를 던졌는데 잘 바꿨다"고 말했다. 고영표의 SSG전 투구 수는 83개. 투심 패스트볼(27개)과 체인지업(32개) 커브(18개) 슬라이더(5개)를 섞었다. 2회에는 상대한 세 타자 모두 초구가 커브일 정도로 빠른 공보다 변화구 위주의 투구 레퍼토리였다.
이강철 KT 위즈 감독. IS 포토
이강철 감독은 "항상 1회에 막 들어가다가 안타를 많이 맞았다. (어제 경기에선) 슬라이더를 많이 쓰더라. 그러다 보니까 공이 엄청 빠르게 보이지 않겠나, 강약 조절을 잘했다"고 부연했다. 고영표의 SSG전 직구 최고 구속은 135㎞로 빠르지 않았다. 구위로 압도하는 유형이 아닌 만큼 타자의 체감 구속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사령탑은 변화구를 자주 보여주면서 틈틈이 직구를 던지면 위력적일 거라고 조언했다.
로테이션을 유지하면 고영표는 오는 30일 수원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부상 복귀 후 세 번째 등판을 소화할 예정이다. 이강철 감독은 "스피드(구속)를 내고 이런 게 아니라 자기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를 알아야 한다. 어제 같은 피칭을 해야 한다, 그래야 산다"며 "살려면 어떻게 던져야 하는지 많이 느끼지 않았을까 한다"고 다음 등판을 기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