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과 영풍그룹 간 경영권 분쟁의 불씨 중 하나인 서린상사의 경영권이 어디로 넘어갈지 관심이 쏠린다. 법원이 고려아연 측 사내이사 선임이 쟁점인 임시 주주총회 소집을 허가하면서 고려아연에 유리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모습이다.
21일 고려아연은 서울중앙지법 민사50부가 회사가 제기한 임시 주총 소집 허가 신청을 인용했다고 밝혔다. 현재 고려아연 측 4명과 영풍 측 3명으로 구성된 서린상사 사내이사진에 4명을 추가하겠다는 고려아연의 요청도 받아들여졌다.
서린상사는 지난 40년간 고려아연과 영풍의 비철금속 수출·판매와 물류 업무를 맡아온 기업이다. 아연과 연, 알루미늄, 구리 등 다양한 비철금속으로 글로벌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해외 진출 거점이라 알짜 기업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서린상사는 1984년 최창걸 고려아연 명예회장이 설립했다.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짜는 과정에서 고려아연 내에 해외영업부를 두는 대신 별도 법인으로 설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경영은 영풍 측 창업주 3세인 장세환 대표가 이끌고 있다. 지분은 고려아연 측이 66.7%, 영풍 측이 33.3%를 보유하고 있다.
서린상사는 체질 개선이 시급한 상황에 직면해 이런 공동 경영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진단이 나온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1조5290억원으로 37% 하락했다. 영업이익도 570억원에서 175억원으로 뚝 떨어졌다. 영풍 석포제련소 감산 등이 부담으로 작용했다.
그동안 영풍의 반발로 서린상사는 주총을 열지 못했다. 고려아연이 서린상사의 경영권을 장악하려 한다는 주장이다.
고려아연과 영풍은 75년간 공동 경영으로 다진 파트너십이 무색한 경영권 다툼을 이어가고 있다.
최창걸 명예회장의 차남인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2022년 12월 수장에 오른 뒤 사업 방향성이 맞지 않은 영풍의 영향력을 희석하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영풍은 지난 2월 이사회를 시작으로 3월 열린 고려아연 정기 주총까지 고려아연의 배당안과 정관 변경안을 반대하며 표 대결에 나섰다. 고려아연과 HMG글로벌과의 사업 협력을 문제 삼으며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서린상사 임시 주총은 내달 중하순에 열릴 전망이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설립자인 최 명예회장의 뜻을 이어받아 고려아연의 DNA를 되살리고, 서린상사를 고려아연의 해외 영업 전진기지로 삼아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