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쉬워하고 있는 대전하나시티즌 선수들. 사진=프로축구연맹이민성 대전하나시티즌 감독. 사진=프로축구연맹 대전하나시티즌의 부진이 심상치 않다. 지난해 승격팀 돌풍에 이어 올해는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 출전권을 목표로 삼았지만, 정작 리그 최하위까지 떨어졌다. 결과뿐만 아니라 경기력 자체에서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반전이 없다면 강등을 걱정해야 한다는 팬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실제 지난 시즌 대전은 K리그 화제의 팀이었다. 승격 첫해인데도 인상적인 경기력으로 팬들의 박수를 받았다. 실점(58)은 리그에서 2번째로 많았으나 득점(56) 역시 리그 3위라 대전의 경기는 늘 ‘보는 맛’이 있었다. K리그2 시절 2270명이었던 평균 관중이 승격 첫해 무려 1만 2856명(3위)으로 급증한 건 대전의 경기력에 팬들이 반응한 결과였다.
파이널 A 진입엔 실패했지만 8위로 승격 첫해 잔류에 성공했다. 나아가 이민성 감독과 대전은 승격 2년차 ACL 진출을 목표로 내걸었다. 국가대표 미드필더 이순민을 필두로 김승대, 홍정운, 아론 등 전력 보강도 이뤄냈다. 그러나 정작 새 시즌 대전은 1승 2무 4패(승점 5)로 최하위까지 추락한 상태다.
부상자들이 속출하는 악재 영향도 무시할 수 없지만, 전술적으로 경기력 자체가 올라오지 않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지난 14일 수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수원FC 원정이 대표적이었다. 이날 대전은 전반 내내 단 한 개의 슈팅도 기록하지 못했다. 후반 선제 실점 이후 추격의 불씨를 지펴야 하는 시점에도 6개의 슈팅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비단 이 경기뿐만이 아니다. 이번 시즌 대전의 경기당 평균 슈팅 수는 6.71개로 12개 구단 중 가장 적다. 1위 강원FC(경기당 12.86개)의 절반 수준이다. 키패스(3.57개) 최하위, 전방패스(119개) 11위 등 패스 관련 지표 자체도 리그 최하위권이다. 공격을 전개하는 작업 자체가 원활하지 않으니 슈팅이 나올 리 없다. 먼저 실점을 하더라도 어떻게든 골을 넣을 것 같았던 지난해 대전의 모습은 아예 자취를 감췄다.
시즌 전만 하더라도 ‘미친 공격’을 선언하며 공격적인 축구를 강조했던 이민성 감독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이 감독은 지난 2월 동계훈련 미디어캠프 당시 “축구에서 골이 안 난다는 건 보기 싫지 않나. 골을 넣기 위해 전념할 것”이라며 “제가 있는 한 대전은 ‘미친 공격’이라고 할 정도의 전술을 유지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선수 변화 폭이 큰 만큼 시간이 필요할 거라는 전제조건을 달았지만, 생각보다 변화의 시기가 매우 늦어지는 모습이다.
물론 지난 시즌 워낙 인상적인 경기력을 보여준 만큼 반등에 대한 기대는 지울 수가 없다. 그러나 부진이 길어지면 결국 이 감독의 거취 문제로도 이어질 수도 있다. 이미 지난 수원FC 원정 패배 직후 일부 대전 팬들도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이민성 감독은 “1~2경기 안에 반등을 못 하면 쉽지 않은 상황이 올 것 같다”면서도 “승패를 떠나 목표에 못 미친다고 하면 감독이 책임을 져야 한다. 또 선수들도 팬들을 생각해서 절실하게 뛰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