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들이 삼성 네오 QLED 8K를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지난해 TV 사업이 나란히 보릿고개를 넘었던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다가오는 스포츠 이벤트 수요를 잡기 위해 총력전을 펼친다. 꿈틀거리기 시작한 소비 심리와 초대형 트렌드를 놓치지 않고 제2의 호황을 이끌겠다는 포부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이달 중순 TV 신제품을 앞다퉈 내놓고 전 세계 소비자들의 거실을 공략한다.
삼성전자는 오는 15일 주력 라인업인 네오 QLED(양자점발광다이오드) 8K와 OLED(올레드·유기발광다이오드) 등 2024년형 TV 신제품의 판매에 돌입한다.
네오 QLED 8K는 인공지능(AI) 두뇌를 탑재해 화질을 대폭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512개의 신경망을 가진 3세대 'AI 8K 프로세서'가 콘텐츠의 화질을 8K로 끌어올린다.
삼성전자는 98형 네오 QLED·UHD 신제품도 출시해 초대형 라인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LG 올레드 TV로 콘텐츠를 시청하는 모습. LG전자 제공
'올레드 명가'를 자처하는 LG전자는 오는 13일 2024년형 올레드·QNED TV를 글로벌 시장에 내놓는다.
LG전자 역시 AI 프로세서로 선명한 화질을 보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위 모델인 '올레드 에보' G 시리즈 등에 적용하는 '알파11 프로세서'는 전보다 4배 향상된 AI 학습 성능을 갖췄다.
프레임 내 픽셀 단위까지 세밀하게 보정한다. 넷플릭스와 디즈니 플러스 등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콘텐츠까지 실시간으로 화질을 개선하는 첫 LG TV다.
가격은 삼성 네오 QLED 4K가 75형 기준 819만원, LG 올레드 TV는 77형 기준 650만~900만원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지난해 각각 18년 연속 TV 매출 1위, 11년 연속 올레드 TV 출하량 1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리더십을 이어갔다. 하지만 작년 4분기 삼성전자는 500억원(가전 포함), LG전자는 722억원의 적자를 내며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6월 유럽 축구 스타들이 격돌하는 '유로 2024'에 이어 7월 프랑스 파리에서 올림픽이 열린다. TV 시장 불황을 타개할 만한 스포츠 이벤트들이다.
시장 전망도 긍정적이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임수정 연구원은 "글로벌 TV 시장은 코로나19 특수 이후 부진이 계속돼 왔지만, 대화면 TV로의 교체 수요 심리 및 거시 경제 여건 개선에 대한 기대로 올해는 수량 기준 2~3%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