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사진공동취재단 마약 투약 혐의를 받는 배우 이선균의 갑작스러운 사망에 그의 모교인 한국예술종합학교 동기가 애도의 뜻을 전했다.
지난 27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자신이 이선균의 동기라고 밝힌 한 네티즌 A씨의 글이 올라왔다.
‘이선균의 친구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에는 대학 시절 이선균을 회상하며 그의 죽음을 추모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A씨는 1994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입학 기념 만년필이 담긴 사진을 공개하며 자신을 인증했다.
A씨는 “내가 짧게라도 글 하나를 남기고 싶었던 것은 이선균이 참 착했던 애라는 것을 말하고 싶어서”라고 운을 뗐다.
이어 “사람마다 보는 관점도 다르고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말이 나올 수 있겠지만 기본적인 인성이 참 좋은 친구였다. 남에게 피해 주는 거 싫어하고 업종 선배들에게 예의 있었고 후배들은 잘 챙기려고 노력했던 아이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인간이기에 가질 수 있는 한계는 있었을 거다. 누군들 그러지 않겠냐”며 “비난과 시시비비에 대한 호기심은 조금 미루고 한 인간의 마지막에 최소한의 예의를 보여주면 남은 사람들에게 큰 위로가 될 것 같다”고 부탁했다.
경찰과 소방에 따르면 이선균은 지난 27일 오전께 서울시 종로구의 한 공원 인근에 세워진 차 안에서 의식이 없는 채로 발견됐다. 경찰은 사망 원인을 확인 중이다.
경찰은 지난 27일 오전 10시 12분께 ‘(이선균이) 유서 같은 메모를 작성하고 집을 나섰다’는 내용의 112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했다. 해당 신고자는 이선균의 매니저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의 공동 대응 요청을 받고 출동한 소방은 오전 10시 30분께 이선균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이선균은 올해 초부터 유흥업소 실장 A씨 등과 대마 등 여러 종류의 마약을 투약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선균은 첫 경찰 소환 당시 진행한 간이 시약 검사에 이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1, 2차 정밀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다.
또한 이선균은 지난 26일 변호인을 통해 거짓말 탐지기 조사를 의뢰한다는 의견서를 인천경찰청 마약수사계에 제출한 상태였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ㆍ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상담전화 ☎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생명의 전화 ☎ 1588-9191, 청소년 전화 ☎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