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서울 광화문 사옥. KT 제공
KT 서울 광화문 사옥. KT 제공
KT가 상장 이후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지만 비용 상승의 여파로 우울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KT는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32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9% 줄었다고 7일 밝혔다. 연결 기준 매출은 6조6974억원으로 3.4% 늘었다.
KT는 "임금 및 단체 협상 3분기 조기 타결과 콘텐츠 소싱 비용 평활화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전년 동비 대비 감소했다"고 했다.
무선 사업은 5G 가입자가 전체 핸드셋 가입자 중 70%인 951만명을 돌파하고, 국내외 여행객 증가에 따른 로밍 사업 매출 확대와 알뜰폰 사업의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유선 사업은 프리미엄 요금제 가입자가 확대되며 전년 동기 대비 1.8% 성장했다.
이 중 인터넷 사업은 고품질 서비스의 수요 증가로 가입자 중 기가인터넷 비중이 68%로 확대되며 매출이 전년 대비 3.2% 늘었다.
미디어 사업은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VOD 결합 요금 등 프리미엄 요금제의 가입자가 늘어나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9% 뛰었다.
기업서비스 사업은 기존에 수주한 엔터프라이즈 DX(디지털 전환) 사업의 매출이 가시화하고, 부동산 사업의 호조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7% 성장했다.
AI(인공지능)·뉴비즈 사업은 일부 B2B(기업 간 거래) 프로젝트 사업의 발주 지연과 수익성 낮은 사업의 효율화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
KT는 주주 가치 제고 차원에서 회계연도 기준 2023~2025년도의 주당 배당금을 최소 2022년도 수준으로 보장하기로 했다.
김영진 KT CFO(최고재무책임자) 전무는 "KT는 경영 안정화 속에서 B2C(기업-소비자 거래) 및 B2B 사업의 균형 잡힌 성장과 KT그룹의 핵심 사업 포트폴리오에서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